용법 · 용량
(경구 : 정제, 엘릭실제)
1. 성인
1) 급속 포화요법(포화량 : 1.0-4.0㎎) : 디곡신으로서 초회 0.5-1.0㎎, 이후 0.5㎎을 6-8시간마다 경구투여하고 충분한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한다.
2) 완서 포화요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3) 유지요법 : 1일 0.25-0.5㎎을 경구투여한다.
2. 소아
1) 급속 포화요법
2세 미만 : 1일 체중 ㎏당 0.06-0.08㎎을 3-4회 분할 투여한다.
2세 이상 : 1일 체중 ㎏당 0.04-0.06㎎을 3-4회 분할 투여한다.
2) 유지요법
포화량의 1/5-1/3을 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주사제)
1. 성인
1) 급속 포화요법(포화량 : 1.0-2.0㎎) : 디곡신으로서 1회 0.25-0.5㎎을 2-4시간마다 정맥주사하고 충분한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계속한다.
2) 완서 포화요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3) 유지요법 : 1일 0.25㎎을 정맥주사한다.
2. 소아
1) 급속 포화요법
① 신생아, 미숙아 : 1일 체중 ㎏당 0.03-0.05㎎을 3-4회 분할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② 2세 미만 : 1일 체중 ㎏당 0.04-0.06㎎을 3-4회 분할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③ 2세 이상 : 1일 체중 ㎏당 0.02-0.04㎎을 3-4회 분할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2) 유지요법
포화량의 1/15-1/10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1. 경고
앰플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앰플주사제)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방실블록(특히 애덤스-스토크스증후군), 동방블록, 경동맥동증후군 환자
2) 디기탈리스 중독, 폐쇄성 심근병증(특발성 비대성 대동맥판하협착증 등) 환자
3) 심실빈맥 환자
4) WPW증후군 환자
5) 이 약에 과민증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급성 심근경색, 심실성 기외수축, 심내막염, 폐성심, 갑상선기능항진 또는 저하증, 신장애 환자 (저용량에서도 중독을 일으키기 쉽고 효과의 발현이 현저하지 않으므로 과량 투여로 중독을 일으킬 위험이 있음.)
2)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3) 전해질평형실조(저칼륨혈증, 고칼륨혈증, 고칼슘혈증, 저마그네슘혈증) 환자
4) 동기능부전증후군 환자(동서맥을 유발 또는 악화시키거나 동방블록을 일으킬 수 있다.)
5) 중증의 호흡기질환 환자(디기탈리스제제에 대한 심근의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4. 부작용
1) 다음과 같은 중독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에는 감량하거나 휴약하고 다시 저용량에서 재투여를 시작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① 소화기계 : 식욕부진, 구역,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② 순환기계 : 부정맥(심실성 기외수축), 방실블록, 빈맥, 현저한 서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③ 눈 : 시각장애(빛이 없는 곳에서 가물가물하게 보임, 황시, 녹시, 복시 등)가 나타날 수 있다.
④ 정신신경계 : 어지러움, 두통, 방향감각상실, 착란, 허약, 감정둔화, 피로, 권태, 우울 등이 나 타날 수 있다.
2) 과민증 : 발진, 두드러기, 자반, 부종, 호산구증가, 혈소판감소, 홍반성 루푸스(LE)양증후군 등 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3) 기타 : 드물게 여성형 유방, 근력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일반적 주의
1) 이 약을 투여할 경우에는 관찰을 충분히 하고 과거 이 약 투여 2~3주 이내에 디기탈리스제제 또는 기타의 강심배당체가 투여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신중히 투여량을 결정한다.
2) 흡수불량증후군 또는 위장관이 복구된 환자는 더 많은 용량이 필요하다.
6. 상호작용
1) 다음 약물과 병용투여시 디기탈리스 중독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병용투여할 경우에는 관찰을 충분히 하고 신중히 투여한다. : 칼륨배설성 이뇨제(치아짓계 이뇨제, 에타크린산, 클로르탈리 돈, 푸로세미드 등), 아미오다론, 스피로노락톤, 칼슘제, 레세르핀계 약물, 아트로핀계 약물, β -차단제, 교감신경효능약, 갑상선제제, 퀴니딘, 칼슘길항제, 이트라코나졸, 인도메타신, 프로파 페논, 캅토프릴, 플레카이니드, 프라조신, 프로판텔린, 테트라사이클린, 에리트로마이신, 리튬염,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카르베녹솔론, 미라베그론
2) 다음 약과 병용투여시 이 약의 흡수를 지연 또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 약의 흡수 저해를 피하기 위하여 가능한 투여간격을 늘이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 콜레스티라민, 프라디오황산염 마이신, 제산제, 카올린-펙틴, 설파살라진, 네오마이신, 메토클로프라미드, 디페녹실레이트, 리 팜피신, 페니토인, 페니실라민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이 약은 모유중으로 이행하므로 수유중인 부인에 투여할 경우에는 신중히 투여한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투여할 경우에는 부작용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신중히 투여량을 결정한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
고령자에 투여할 경우에는 부작용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신중히 투여량을 결정한다.
10. 적용상의 주의
빠른 정맥주사는 혈관수축으로 고혈압을 일으키거나 관상혈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고혈압성 심부전 및 급성 심근경색시 주사속도를 천천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