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화면사이즈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통합 Q&A

  • 알림 / 문의
  • 통합 Q&A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 등 복약상담에 대한 내용은 약을 처방 받으신 약국 또는 해당 병원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내용보기

기타문의 <가정 내 올바른 폐의약품 처리 정보를 담은 종합어플리케이션 제안>

작성자 : 송민지10/1/2012 12:50:00 PM
안녕하세요. 저희는 고려대학교 학부생 연구팀 Sante(상떼)입니다. 저희는 지난 6월부터 "가정 내 폐의약품 처리 실태조사와 정책 홍보 개선안의 제안"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2007년 환경부와 보건복지부의 공동주관으로 “가정 내 폐의약품 올바르게 버리기” 시범사업이 시작된 지 5년, 그리고 2010년부터 사업이 전국적으로 시행된 지 2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폐의약품의 올바른 폐기방법에 대해서 많은 국민들이 인지하지 못하고 있고, 그나마 알고 있는 사람들도 제대로 실천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2010년 자원순환연대에 의해 수행된 전국 설문조사에 의하면 폐의약품의 주 배출원은 시민(68.4%)이였으나 약국의 폐의약품 수거사실을 아는 국민은 54.8%였고, 실제 약국에 수거한 경험이 있던 응답자는 16.9%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약사들마저도 이러한 인식 부족의 문제를 지적해 시민을 대상으로 한 폐의약품 수거 홍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습니다(59.4%).

가정 내 폐의약품을 제대로 버리지 않고 보관하여 자가처방을 하는 경우에는 약물 오남용과 약화사고의 위험성이 너무나도 큽니다. 실제로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는 농촌지역, 의약품에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시는 노인 분, 그리고 보이고 손에 닿는 것은 입으로부터 넣어 확인하는 경향이 있는 어린이들이 집 안의 의약품들을 잘못 먹는 약화사고가 자주 일어나고 있습니다. (책임기관인 보건복지부는 이제서야 가정 내 폐의약품으로 인한 약화사고에 대해 진상 파악에 나서고 있습니다)

약화사고 외에도 가정 내에서 폐의약품을 올바르게 폐기하지 않을 시에는 환경오염의 우려가 큽니다. 해당 문제의 환경 영향을 연구하신 순천향대학교 환경보전학과 박정임 교수님의 논문에 의하면 싱크대, 변기 등 하수도를 통해 환경으로 흘러 들어가는 화학성분(특히 항생제, 호르몬제)은 소량으로도 생태계를 교란시킨다는 점에서 문제가 됩니다. 수용성 의약품 역시 처리과정에서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하천이나 해양에 배출되어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킵니다. 이렇게 수생생물과 토양의 미생물은 장기간에 걸쳐 의약품에 만성적으로 노출됩니다. 생활쓰레기와 함께 종량제 봉투에 배출하는 것 역시도 문제가 됩니다. 의약품은 고온에서 소각해야 하는데 생활쓰레기와 함께 저온소각 될 경우 불완전 연소가 되어 대기와 토양 오염의 원인이 됩니다.

정부와 의료 관계자, 그리고 무엇보다 국민들에게 해당 사업의 중요성을 알리고 폐의약품을 올바르게 폐기하는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 저희 연구팀은 “폐의약품의 올바른 폐기의 중요성과 그 방법”을 홍보하는 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저희가 기획하고 있는 홍보 방안들 중에는 스마트폰과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종합복약지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에 마켓에 출시된 약학정보원의 훌륭한 복약지도 및 의약품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에
1)가정 내 폐의약품을 왜 제대로 버려야 하는지,
2)어떻게 제대로 버릴 수 있는지(수거함이 있는 약국/보건소/주민센터 위치정보),
3)그리고 언제 버려야 하는지 (유효기한, 약품이 변질되는 조건, 변질 여부 확인 방법, 약품 폐기 알람 기능에 대한 정보 등) 등에 관한 정보를 수정 및 추가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저희가 9월 한 달 동안 온/오프라인을 통해 실시한 “종합 복약지도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수요조사”의 결과, 상당수의 스마트폰 유저들은 약품의 처방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을 함께해주는 어플리케이션을 원하고 있다고 확인되었습니다. (자세한 통계치는 추후에 제공해드리겠습니다^^)

따라서 약학정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팜케어”에도 이러한 가정 내 폐의약품의 올바른 폐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켜주시어 보다 종합적인 복약지도/의약품 정보 제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도와주셨으면 합니다.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정책을 보다 널리 알려 전국민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취지니 꼭 저희 제안을 진지하게 고려해주셨으면 합니다.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될 내용에 관해 자세한 자료가 필요하시다면 연락을 주시면 관련 논문과 저희가 직접 정리한 자료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의약품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려는 저희 학생들의 순수한 열정에 공감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연구 지도교수: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김진영 교수
연구 팀장: 송민지
소속: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

댓글달기

검색결과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No 구분 제목 작성자 작성일
2501기타문의식별표시정보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조호재2012-10-08
2500기타문의  식별표시정보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관리자2012-10-09
2499의약품/식별이약... 무슨 약성분이져 ??각시탈2012-10-08
2498의약품/식별  이약... 무슨 약성분이져 ??관리자2012-10-09
2497기타문의약품처방 상황?장진수2012-10-07
2496기타문의  약품처방 상황?관리자2012-10-08
2495기타문의<가정 내 올바른 폐의약품 처리 정보를 담은 종합어플리케이션 제안>송민지2012-10-01
2494기타문의  가정 내 올바른 폐의약품 처리 정보를 담은 종합어플리케이션 제안관리자2012-10-08
2493의약품/식별성분이 같으면 효과도 같나요?김홍근2012-09-23
2492의약품/식별  성분이 같으면 효과도 같나요?관리자2012-09-24
2491기타문의약품정보 마우스로 드래그 할 수있었으면 좋겠어요!김경원2012-09-11
2490기타문의  약품정보 마우스로 드래그 할 수있었으면 좋겠어요!관리자2012-09-13
2489Pharm IT3000PM2000XE 해상도 문제정지면2012-08-29
2488Pharm IT3000  PM2000XE 해상도 문제관리자2012-09-04
2487의약품/식별악토넬과 칼디비타 칼슘제를 같이 일년동안 복용했는데요,..mdr00702012-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