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화면사이즈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통합 Q&A

  • 알림 / 문의
  • 통합 Q&A

의약품에 대한 부작용 등 복약상담에 대한 내용은 약을 처방 받으신 약국 또는 해당 병원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내용보기

의약품 / 식별 수유부가 복용한 약물에 대한 궁금증.

작성자 : 관리자6/15/2011 10:37:00 AM
안녕하세요? 약학정보원입니다.

복용한다고 말씀해주신 의약품 중 의약품 첨부문서의 수유 관련 항에
'유즙 중에 이행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라는 문구가 있는 의약품은
부광아젭틴정(동물실험 결과), 모프리드정(동물실험 결과), 소론도정 이상의 3 제품입니다.

의약품 첨부문서의 수유 관련 항에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은 등의 이유로
'수유 중에는 투여를 피한다(복용시 수유를 중단한다)'라는 문구가 있는 의약품은
부광아젭틴정, 모프리드정, 엘도란트캡슐, 소론도정, 오엠피정 이상의 5 제품입니다.

보다 자세한 첨부문서의 사항은 약학정보원에서 검색하실 수 있으십니다.
일반적으로 수유부와 관련된 정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첨부문서에는 '안전하다'는 표현보다는 주의, 경고 문구가 많습니다.


외국의 자료 중 소론도정 성분(prednisolone)에 대한 수유 정보가 있어 번역한 것을 아래에 옮겼습니다.
================================================================
프레드니손/프레드니솔론과 임신(Prednisone/Prednisolone and Pregnancy)

"수유하는 동안 프레드니손/프레드니솔론을 복용해도 되나요?"

네. 프레드니손과 프레드니솔론은 적은 양만이 유즙 중에 이행합니다. 프레드니손은 신체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호르몬과 구조가 매우 유사한데, 그 호르몬은 유즙 생성과 아이의 건강에 필수적인 호르몬입니다. 이러한 호르몬을 사람이 자연적으로 만들어내기 때문에, 프레드니손 또는 프레드니솔론이 유즙 중에 존재하는 양이 엄마의 유즙 생산이나 아기에게 유해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유즙 중의 프레드니손 또는 프레드니솔론의 양은 의약품을 복용한 후 약 1시간 정도 후에 가장 많아집니다. 유즙 중의 양을 줄이려면 프레드니손 또는 프레드니솔론을 복용한 후 4시간 가량 지난 후에 아기에게 수융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능한 한 적은 용량을 복용하는 것 또한 유즙 중 의약품 농도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미국 소아과 학회(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는 프레드니손과 프레드니솔론을 일반적으로 수유와 병행할 수 있는 것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출처 : OTIS(Organization of Teratology Information Specialists)
http://www.otispregnancy.org/files/prednisone.pdf
================================================================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수유부에 대한 약물 사용 정보가 적기 때문에
의료 전문가에 따라 의약품 사용 방식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물론, 많은 수의 의약품이 수유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만큼
수유 시 섣불리 의약품을 사용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의약품을 복용하게 되실 때에는 반드시 의사에게 수유 상태임을 알리셔야 합니다.

아기의 이상 증상이 수유 중 의약품 복용으로 인한 것인지,
혹은 다른 질병 상태나 그 외의 이유로 인한 것인지
또는 고열 증상으로 인한 다른 영향은 없는지를 정확히 알기 원하신다면
소아과 전문 의사에게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수유 중인 아기에게 이상 증상이 나타났음을 의약품을 처방한 의사에게도 알려주셔야 합니다.
방문이 어려우시다면 전화 등으로 연락하셔서 아이에게 이상 증상이 나타났으며
의약품 복용을 중단하는 것이 좋을지, 의약품 복용을 계속 하고 당분간 수유를 중단하는 것이 좋을지,
혹은 보다 안전한 다른 의약품으로 교체가 가능한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아기에 대한 의약품 노출의 영향을 최소화하려면
의약품을 복용하는 수유부는 아기에게 수유한 직후 의약품을 복용하거나,
아기가 잠이 들려고 할 때(긴 잠)의 바로 직전에 의약품을 복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 미국 소아과 학회 정책 中 http://aappolicy.aappublications.org/cgi/content/full/pediatrics;108/3/776)


아울러 The March of Dimes의 'Feeding your baby' 번역한 자료를 옮기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수유와 의약품, 전문의약품
수유는 대부분의 아기에게 가장 좋은 영양 공급원입니다. 수유를 할 때 아기는 엄마의 몸에 흡수된 영양소, 비타민, 기타 다른 물질들을 공급받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이 먹는 음식이나 의약품의 종류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수유하는 엄마들은 의약품이 아기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지 어떤지에 대해 걱정스러울 수도 있겠습니다. 일부 여성들은 단기간(두통이나 감기 등)이나 장기간(천식이나 고혈압 등)의 질병 상태를 가질 수도 있겠지요. 이러한 건강상의 문제는 의약품 사용을 필요로 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의약품 및 전문의약품 :
각각의 의약품들이 수유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기 위해서는 좀 더 조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이 있으니, 바로 의약품을 복용하기 전에 항상 아기의 의사와 상담할 것과 당신이 수유 중임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일반의약품(약국에서 살 수 있는 의약품)이나 전문의약품(의사에게 처방받은 의약품)은 수유 중 복용하더라도 괜찮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아기의 의사와 먼저 상담해야 합니다) 몇 가지 이유를 들자면 다음 등과 같습니다.
- 의약품이 유즙으로 이행하는 양이 매우 적습니다. (복용량의 1% 미만)
- 유즙 중의 의약품 양이 매우 적고 대부분의 일반의약품은 아기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많은 경우의 일반의약품(진통제 등)은 엄마가 복용하는 데 괜찮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의약품의 라벨과 첨부 문서를 읽어야 합니다.
- 당신이 수유하고 있음을 알렸다면 의사가 당신에게 준 의약품은 괜찮습니다. 일부 전문의약품(암 치료제나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의약품)은 수유 시의 복용이 안전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어떤 의약품을 복용하기 전에는 항상 여러분의 의사나 아기의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출처 : March of Dimes
http://www.marchofdimes.com/baby/feeding_medications.html
========================================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송정혜님께서 말씀하시길..
=================================

안녕하세요

만 6개월 남자아기에게 모유수유를 하고있는 애기엄마 입니다.

알레르기성 감기증상으로 병원에 갔다가 다음과 같은 약을 처방받았습니다.

"아젭틴정, 모프리드정, 엘도란트캡슐, 코데닝, 소론도정, 오엠피정..."

의사에게 모유수유중이라고 이야기를 했고

담당의사는 "모유수유에 상관없는 약"이라며 "먹어도 된다"며 처방해줬습니다.

그런데 문제는...제가 이약을 복용한 그 날부터

애기가 열이 나기 시작했습니다.(39도가 넘는 고열)

3일동안 처방받은 약을 먹다가...이상하다 싶어서 약을 중단했습니다.

약을 끊자 신기하게도 애기가 열도 안나고 잠도 잘 자더군요...

혹시나 싶어서 "드러그인포"라는 싸이트에서 위의 약들을 검색해보았고

평소 다니던 병원의 담당의사(내과)에게 문의를 하였습니다.

평소 다니던 병원의 의사선생님은

"저 약들중에 4개가 수유부에게는 사용하면 안되는 약"이라고 하더군요.

모유수유를 통해 아기에게 전달이 될수있다며,
그래서 수유부에게는 쓸 수 있는 약이 한정되어 있다더군요.

그 이야기를 듣고 저 약을 처방해준 의사와 통화를 했습니다.
그런데 저 약을 처방해준 의사는 "그럴리가 없다"며 수유부가 먹어도 된다며
자기는 10년을 넘게 저렇게 처방을 했답니다.

두분 다 내과전공한 의사들인데 두사람의 말이 다릅니다.
주변에 지인(의사& 간호사)에게 물어도 보았는데
그들도 다 같이 "저 약들은 복용중에는 수유를 중단해야 된다"고 했습니다.

도대체.....
위의 약들은 수유부가 먹어도 되는약입니까?
안되는 약입니까?

궁금하고 답답하고 속상한 마음에 글 남깁니다.

빠른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달기

검색결과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No 구분 제목 작성자 작성일
2201의약품/식별  베로신-G관리자2011-06-23
2200기타문의의약품 정보에 관하여이규빈2011-06-22
2199의약품/식별문의드려요이래성2011-06-21
2198의약품/식별  문의드려요관리자2011-06-21
2197의약품/식별궁금합니다김소정2011-06-18
2196의약품/식별레보스타정500mg이희주2011-06-16
2195의약품/식별  레보스타정500mg관리자2011-06-16
2194의약품/식별어플 개발 언제쯤될까요^^?홍윤숙2011-06-12
2193Dik WEBDik 2.5 6월 3일자 업데이트에러엄동연2011-06-12
2192Dik WEB  Dik 2.5 6월 3일자 업데이트에러강승환2011-06-15
2191Dik WEB   Dik 2.5 6월 3일자 업데이트에러엄동연2011-06-22
2190의약품/식별수유부가 복용한 약물에 대한 궁금증.송정혜2011-06-10
2189의약품/식별  수유부가 복용한 약물에 대한 궁금증.관리자2011-06-15
2188Dik WEB로자탐 검색이 안됨노동범2011-06-09
2187Dik WEB  로자탐 검색이 안됨관리자2011-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