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기본정보
질환명 (한글) | 심근경색 | |
---|---|---|
질환명 (영문) | Myocardial Infarction | |
분류 | 순환기계 질환 | |
상병코드 | I21 | |
정의 | 관상동맥의 완전한 폐색으로 인하여 그 혈액공급 영역의 심근이 급격하게 괴사상태에 빠진 것을 말한다. 관상동맥이 폐쇄되면 그 곳에서부터 말초의 심근에까지 허혈상태에 빠지므로 관벽성괴사를 일으킨다. | |
원인 | 심근경색은 일반적으로 죽상경화로 이전에 좁아져있던 관상동맥에 혈전성 폐색이 생겨 관상동맥의 혈류가 갑자기 줄어들면서 발병한다. 혈관손상은 흡연, 고혈압, 지방축적과 같은 인자에 의해 촉진된다. | |
증상 | 환자마다 괴사의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심한 흉통과 심인성 쇼크, 급사망에 이를 수 있다. 흉통은 nitroglycerin 설하정으로 쉽게 진정되지 않으며 20-30분 동안 지속되며 무겁고 짓누르는 듯하며, 협심증보다 심하고, 지속되며 주변 신체부위인 팔, 턱, 목, 구강 등으로 퍼지게 된다. 흉통없이 진행되는 심근경색(silent myocardial infarction)은 사망에 이르지 않은 심근경색의 10-30%에서 보이며 당뇨환자, 여성, 노인에게서 더 많다. 환자에게서 모든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으며 이른 아침 및 오전(아침 6-11시)에 가장 빈도가 높다. 오심(50%), 구토, 발한, 미열, 숨가쁨, 불안과 함께 어지럽거나 위약해짐을 느낀다. 신체검사 결과 통증의 부위 및 심한 정도, 심장부잡음 유무를 알 수 있다. 심박동수는 느리거나 빠를 수 있으며 혈압도 낮거나 높을 수 있다. 심한 괴사의 경우 심부전, 폐부종, 부정맥의 증상을 보이며 예후가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심전도는 흉통을 호소하는 환자에게서 정확하고 신속히 심근경색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치료 | 1) 약물요법 Nitroglycerin, 혈전용해제(streptokinase, recombinant tissue-plasminogen activator (rtPA), anisolated plasminogen streptokinase activator complex(APSAC, anistreplase), urokinase) 등을 사용하며, 풍선확장술(PTCA,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및 혈관우회로술(CABG, coronary artery graft surgery)을 시행하기도 한다. 풍선확장술은 대퇴동맥으로 관을 삽입하고 병소부위에서 혈관의 내강에 압력을 가하여 혈관내피의 죽상을 분리하고, 밀어내어 확장시키는 것이고, 혈관우회로술은 관상동맥의 막힌 부위를 우회하여 다른 혈관으로 이어주는 수술을 말한다. | |
기타 | 분류 심전도에 따라 Q-wave 와 non-Q-wave로 분류하여 환자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1) Q-wave 심근경색 심근전층에 괴사가 있음을 말하며 낮은 심박출량으로 심기능이 저하되며 단기 사망률이 높고 괴사 부위가 넓어 심부전, 부정맥이 더 심할 수 있다. 2) Non-Q-wave 심근경색 전층 심근 괴사가 아니며 심박출량은 낮지 않고 단기사망률은 높지 않으며 괴사부위는 넓지 않으나 허혈 부위는 넓다. 재발률과 장기사망률에 있어서는 두 형태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심부잡음, 급성 폐부종, 심부전에 의한 심인성 쇼크가 나타남에 따라 사망률은 급격히 증가함을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