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기본정보
질환명 (한글) | 월경곤란 | |
---|---|---|
질환명 (영문) | Dysmenorrhea | |
분류 | 비뇨생식기계 질환 | |
상병코드 | N944 | |
정의 | 건강한 사람도 월경이 시작되면 하복부에 위화감을 느끼거나 경우에 따라 통증도 느끼게 되는데 이 중 하복부의 통증이 격심해져서 매우 심한 경련으로 앓아눕거나 진통제를 복용해야 하는 상태로 된 것을 월경이상이라 함. 일차적인 월경이상은 초경후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이차적인 월경이상은 초경을 한 후 수년이 지난 다음에 생김. 일반적으로 월경이상이 있어도 임신에 지장은 없으며 대개 아기를 낳은 후에는 월경이상이 줄어듬. 보통 초경 시작 2년 이내에 나타나고, 그 이후에 나타나는 월경곤란증은 대개 속발성 월경곤란증이다. 원발성 월경곤란증은 자궁내막에서 분비되는 prostaglandin 및 혈관경련 등에 의한 자궁근 수축의 결과라고 여겨지고 있다. 속발성 월경곤란증의 원인으로는 자궁근종, 월경과다, 자궁내막 융종, 자궁경관 협착,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염 등이 있다. | |
원인 | 자궁 벽의 근육이 지나치게 수축되거나 또는 수축이 장기간 계속되어 생긴다. 이 자궁 수축현상은 체내에서 생성되는 prostaglandin(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호르몬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월경이상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이 호르몬의 분비가 더 많이 된다고 여겨진다. 혈액이 자궁에서 질로 나올때 자궁경부가 확장되기 때문이다. 외부의 유기적인 원인들은 다음과 같다 : 골반의 감염, 자궁내막염( 특히 20세 후에 발생하는 월경이상시에 많음), 자궁의 양성 종양, 자세가 나쁠경우, 자궁 발달 상태가 불완전할 경우 | |
증상 | 심한 경우엔 정상생활을 하지 못할 정도로 통증을 느낀다. 이러한 증상은 월경중 자궁근의 활동성이 증가되면 그 수축이 심해져서 통증을 느낀다. 통증은 월경 첫날에 가장 심하고 2일을 넘기지 않는다. 사춘기가 지난 여성의 52%에서 월경곤란증을 느끼고 그 중 10%는 매달 1-3일 동안 아무런 일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무력하게 된다. 하복부, 등하부, 넓적다리에 찌르는 듯한 통증과 경련이 있다. 이따금씩 메스꺼움과 구토, 발한, 경우에 따라 설사, 무기력해짐 증상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며. 또 매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 |
치료 | 약물요법 상세한 병력과 내진에 따른 치료의 지침을 정하고 치료 전에 원발성과 속발성 월경곤란증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① 원발성 월경곤란증의 치료 대증요법 수술(신경절제술) 약물치료 성호르몬제, 자궁진통 용해제, prostaglandin 합성 억제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② 속발성 월경곤란증 원인 질환을 치료하면 증상이 소실될 수 있다. | |
기타 | 일반요법 담배는 혈액순환에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줄이거나 끊도록 권한다. 알코올은 혈당을 높이는 요인이 되므로 당뇨로 인한 월경곤란증을 경험하는 환자는 음주를 제한하는 것이 좋다. 적당한 운동과 안정, 국소 온열요법은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더욱 좋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통증발작시 뜨거운 물수건이나 뜨거운 물병을 이용해 찜질을 하면 통증을 어느정도 경감시킬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튜브에 뜨거운 물은 넣고 10-15분 정도 앉아있는다. 평상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