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기본정보
질환명 (한글) | 위막성장염 | |
---|---|---|
질환명 (영문) | Pseudomembranous Enterocolitis | |
분류 | 소화기계 질환 | |
상병코드 | K52 | |
정의 | 소장과 대장에서 발생하는 드물지만 심각한 질병으로 위장관 수술을 한지 5-7일 후 또는 수술전 쇠약한 상태의 환자에게 항상제를 투여하였을 경우 발생하며 내막과 장관내 깊숙한 부위에 염증이 생기거나 조직 세포가 사멸케 된다. | |
원인 |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이다. 보통 증상을 유발 독소를 생산하는 파상풍균이나 포도상 구균에 의한다. 이러한 균들을 장내에 서식하게 되는데 광범위 항생제를 과량 사용하여 다른 정상 박테리아가 죽게 되면장염을 일으킨다. 이 질병은 외과 수술후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
증상 | 복부 경련과 함께 설사(때로 피가 섞여나오기도 함), 발열, 백혈구 수의 증가, 혈압 강하 (때때로 맥박이 약해지고 심박이 빨라지는 등 쇼크를 일으키기도 함), 오심, 구토, 부위 감각 상실 | |
치료 | 약물적 치료법 chlostyramin, vancomyoin, metronidazole을 복용할 수 있다. (장내 미생물의 균형이 깨졌을 때 일어나는 2차적인 비 박테리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함) 지사제 투여시 신중하게 할 것(지사제는 장에 구멍이 생기게 할 수 있으므로). 염증을 감소시키기 의해 단시간 동안 코티손을 다량 사용한다. | |
기타 | 가정에서의 치료법 증상을 유발하는 항생제의 복용을 중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