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기본정보
질환명 (한글) | 자궁내막증 | |
---|---|---|
질환명 (영문) | Endometriosis | |
분류 | 비뇨생식기계 질환 | |
상병코드 | N80 | |
정의 | 자궁외 부위에서 자궁내막과 유사한 조직이 발견되는 상태로 난소, 자궁의 인대, 직장 질 중격, 자궁·직장·난관·방광을 덮고 있는 방광, 자궁경부, 질 등에서 호발한다. 아랫배의 비정상적 위치에 자궁내막과 유사한 조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러한 조직은 난소표면, 자궁뒷부분, 골반강 아랫부분, 장벽, 드물게는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부위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 |
원인 |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다음과 같은 가설이 전문인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상일 경우에는 배란기동안 자궁 내막이 두꺼워져서 수정란이 잘 착상될 수 있게 되고, 착상되지 않으면 막 조직이 벗겨져 생리혈과 함께 배출된다. 그러나, 때때로 이러한 물질이 나팔관에서 나와 골반강으로 들어가 자유롭게 떠다니다가 다른 조직에 부착된다. 이 조직들은 자궁에서처럼 두꺼워졌다가 벗겨지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새로운 조직을 만들어내고 이것이 골반사이에 있는 자궁내막조직을 서로 붙게 만들어 통증및 다른 증상들을 일으킨다. | |
증상 | 개인마다 상당히 차이가 있으나 보편적으로 월경곤란증, 불임, 복통, 성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월경기간 동안(특히 마지막날) 골반의 통증이 증가한다. 소변에 피가 섞여 나온다. 요통, 장관수축으로 인한 통증, 대변에 피가 섞여나온다. | |
치료 | 약물요법 Progestin제제는 난포의 성장을 억제하고 자궁내막 병변의 황체호르몬, 안드로젠 수용체에 작용하여 병변의 위축을 직접 유발한다. 약물치료로 자궁내막 증세가 치료되더라도 재발율이 매년 5-20%로, 완치를 위해서는 수술적인 방법으로 병변 부위를 제거해야 한다. | |
기타 | 일반주의 1) 아이를 갖고자 할 때는 가능한한 빨리 임신하도록 할 것(임신을 하면 이 질환이 치료된다. 임신을 연기하면 불임이 될 수도 있다.) 2) 탐폰 대신 위생대를 사용할 것(탐폰을 사용하면 월경이 끝난후 계속해서 더 흐를 수 있다). 3)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배나 등을 뜨거운 것으로 찜질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