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기본정보
질환명 (한글) | 전정기능의장애(양성 발작성 현기증) | |
---|---|---|
질환명 (영문) | Vertigo | |
분류 | 눈 및 귀 질환 | |
상병코드 | H81 | |
정의 | 전정신경의 이상에 의해 유발되는 현기증에는 메니에르씨병(Meniere's syndrome, diopathic endolymphatic hydrop)과 양성 발작성 현기증(BPPV :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이 대표적이다. 양성 발작성 현기증은 미로기능의 장애로써 청각장애 없이 머리를 특정한 위치로 취하면 갑자기 발작성의 현기증 및 안진, 오심, 구토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바라니의 체위성현기증(nystigmus 발현)이 나타나며, 발작이 지속되는 경우 전정 운동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질환 역시 모든 연령에서 발생될 수 있으나, 중년 또는 젊은이에서 주로 발생한다. 일생에 단 한번 발생하거나 여러 번 재발할 수도 있으며 현기증의 지속시간은 보통 수초로 매우 짧다. | |
원인 | 미로기능의 장애로써 발생한다. | |
증상 | 양성 발작성 현기증은 미로기능의 장애로써 청각장애 없이 머리를 특정한 위치로 취하면 갑자기 발작성의 현기증 및 안진, 오심, 구토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 |
치료 | 약물요법 양성 체위성 현기증 :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적용강도가 다소 차이는 있으나, 궁극적으로 사용 약물 및 모든 치료방법은 메니에르씨병과 동일하다. | |
기타 | 1. 식이요법 식이요법중 가장 중요사항은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생성을 억제하여 endolymph volume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즉, 내이(inner ear)내에 endolymph이 축적되면 증상이 악화되므로 endolymph의 축적을 예방하는데 간접적인 도움이 되는 저염식이(3g/day)가 권장된다. 담배는 뇌로의 산소공급을 감소시킴으로써 임상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줄이거나 끊도록 권한다. 과로는 간혹 현기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 적절한 휴식은 현기증 치료에 도움이 되므로 환자에게 적절한 휴식을 취하도록 권유한다. 2. 진단 모든 연령에서 발생될 수 있으나, 중년 또는 젊은이에서 주로 발생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2배가량 높게 발병한다. 진단은 환자 과거력(머리의 위치변화에 따른 현기증 유발 유무 및 누웠을 경우에 방안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증상), Dix-Hallpike positional maneuver법(먼저 환자를 앉힌 후 환자의 오른쪽으로 머리를 45도까지 돌리게 한 후 등뒤쪽으로 눕힌 후 nystagmus 또는 현기증발생을 확인하는 법)으로 확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