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기본정보
질환명 (한글) | 회충증 | |
---|---|---|
질환명 (영문) | Ascariasis | |
분류 | 감염성 질환 | |
상병코드 | B77 | |
정의 | 회충의 기생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 |
원인 | 회충의 감염으로 일어난다. 대변에 섞여 배설된 수정란은 약 2주간 성숙하면 감염이 가능한 성숙란이 된다. 이 성숙란이 야채나 기타의 식품, 또는 먼지 속에 섞여서 체내로 들어와 감염하게 된다. 유충은 장벽을 뚫고 들어가 혈관 · 림프관내를 통하여 간장에, 또한 혈류를 통하여 폐 · 기관지로 옮겨가서 기관과 인두로 거슬러 올라가고 인두에서 식도 · 위 · 소장에 이르러 성충이 된다. | |
증상 | 회충의 기생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은 매우 다양한데, 유충의 체내이행에 의한 것과 성충의 기생에 의한 것으로 나뉜다. 전자의 증상으로는 폐에 있어서의 일과성인 알레르기성 염증, 두통 · 권태감 · 현기증등의 신경증상, 혈액상에서의 호산구 증가 등이 있다. 후자에는 회충이 소장에 기생함으로써 나타나는 복통 · 설사 · 이식증 등이 있다. 또한 회충이 담관이나 충수로 잘못 들어감으로써 일어나는 급성복통[증] 외에 복막천공이나 장폐색도 보이곤한다. | |
치료 | Albendazole Flubendazole 일회 투여로 완전히 박멸된다. | |
기타 | 예방 사후 치료보다는 회충의 알을 충분히 줄일 수 있는 비료나 농약을 사용하거나, 식품을 잘 씻는 데에 주의를 기울여 예방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