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기본정보
질환명 (한글) | 후두염 | |
---|---|---|
질환명 (영문) | Laryngitis | |
분류 | 호흡기계 질환 | |
상병코드 | J04 | |
정의 | 일반적으로 후두에 발생하는 모든 염증성 병변을 말한다. 그 원인과 발생부위에 따라서 증상이 나타나는 양상이 다르고 치료방법도 달라진다. 세균성인 경우는, 인두 · 후두 · 기관 등을 포함한 상기도염의 부분증상으로 생기나, 성대 혹은 후두개 부위에 국한해서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 |
원인 | 90%이상이 Virus성 질환으로 항생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 |
증상 | 세균성인 경우는 대개 병변이 급속히 진행하므로 급속 후두염으로 불리며 주증상으로는 쉰목소리, 기침과 발성시의 통증, 분비과다에 의한 객담 등이 나타난다. 2차적 세균감염이 있으면 체온이 38℃ 정도로 상승하며 증상이 더 심해진다. 소아는 기도가 좁아서 부종이 심할 경우에는 호흡곤란을 일으키기 때문에 기관 절개 수술을 해야 할 경우가 있다. 후두 소견으로는 성대가 붉게 충혈되고 부종이 있으나, 운동자체는 손상받지 않는다. 점막하출혈이나 위막양 변화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 |
치료 |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에는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증상이 없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전신적인 발열과 심한 기침 · 통증 등이 있는 경우는 세균에 의한 2차감염으로 보고 광범위 항생제와 진해거담제를 투여하고 적당한 온도 ·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때는 안정을 취하면서 발성을 억제하고 성대를 쉬도록 해야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다. | |
기타 | 음성 남용이나 만성적인 후두자극, 즉 담배나 매연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에는 주로 성대부위에 만성적인 염증성 변화가 나타나서 점막이 비후 되거나 점막하조직의 만성적인 부종 · 혈관확장 · 출혈 등의 소견을 보이게 된다. 주증상은 역시 쉰목소리이며 성대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나 동통은 거의 없다. 만성적으로 농후한 분비물이 성대에 묻어 있어서 발성이 잘 안되거나 습관적인 기침을 하게 된다. 이러한 만성 후두염의 치료는 먼저 원인을 제거하고 성대를 쉬게 해야 한다. 발성방법의 교정이 도움을 줄 수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