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정보
藥品名(성분명) | 마황 麻黃 |
|
---|---|---|
생약명 | Ephedrae Herba | |
分類 | 辛溫解表藥 | |
主要 成分 | ephedrine, pseudo-ephedrine, l-N-methylephedrine,
l-norephedrine, d-N-pseudomethylephedrine, d-demethyl-pseudo-ephedrine, ephedine정유성분 nonacosanol, nonacosane, triacontaol |
|
基源 | Ephedra sinica Stapf E.equisisetina Bge. E. intermedia Schrenk et Mey. | |
性味·歸經 | 性味 : 辛·微苦, 溫. 肺·膀胱經에 入한다 歸經 : |
|
效 能 | 發汗解表, 宣肺平喘, 利水. 發汗, 解熱, 鎭痛, 鎭咳, 利尿藥으로 表熱實證에 쓴다. | |
主 治 | 風寒表證, 咳嗽喘息, 水腫. | |
處 方 例 | 麻黃湯 《傷寒論》 : 麻黃, 桂枝, 杏仁, 甘草 ; 外感風寒, 惡寒,無汗, 頭痛, 身疼 등의 表實한 者를 치료한다.
三拗湯 《和劑局方》 : 麻黃, 杏仁, 甘草 ; 感冒風寒, 咳嗽氣喘을치료한다. 麻杏甘石湯 《傷寒論》 : 麻黃, 杏仁, 甘草, 石膏 ; 裏熱 壅閉로 身熱煩渴, 喘咳氣粗, 鼻翼扇張한 者를 치료한다. |
|
用量·用法 | 1.5 - 9g, 煎服한다. | |
禁 忌 | 表虛自汗한 者.발한작용이 강하므로 表虛自汗, 陰虛盜汗, 腎不納氣에 의한 虛喘에는 조심해야 함.과량을 쓰지 말고, 달일 때 위에 뜨는 거품을 제거해야 함. | |
藥理 作用 | 1.發汗作用
2.解熱作用 3.氣管支平滑筋弛緩作用 4.利尿作用 5.血壓上昇作用 6.抗 Virus作用 |
|
應 用 | A. 發汗解表
1. 麻黃에는 강한 발한작용이 있으므로 감기로 인한 惡寒 . 發熱 . 頭痛 . 鼻塞 . 無汗 . 脈浮緊 등 表實證에는 桂枝를 加하여 發汗解表力을 증강한다(麻黃湯). 성인에게 2錢을 사용하면 발한작용이 강해진다. 4∼12세에는1錢을, 4세 이하는 5∼8分을 사용한다. 한 번 땀을 내어 오한발열이 거의 제거되면 중단해야지 계속 복용하면 탈기된다. 麻黃은 겨울철의 감기나 추운 지역의 감기에 쓰는 것이 좋고, 더운 지역이나 봄 . 여름의 감기에는 거의 쓰지 않는다. 만일 사용한다면 용량을 줄여서 써야 한다. 2. 麻黃의 발한작용을 이용하여 麻疹透發不暢(5∼8分)이나 風疹身痒(蕁麻疹, 1∼1.5錢)에 生地黃 . 何首烏 . 浮萍 . 荊芥 . 蟬退 . 薄荷 등을 加하여 쓰면 發疹을 촉진하고 해열 . 鎭咳 . 呼吸을 안정시키며 가려움증도 없애준다. 發疹이 나타나면 복용을 중지해야지 계속 복용하면 역시 脫氣될 수 있다. B. 宣肺平喘 1. 麻黃에 함유되어 있는 Ehedrine은 氣管支 平滑筋의 경련을 완화시켜주므로 肺氣不宣에 의한 咳嗽喘息에는杏仁 . 甘草를 加하여 止咳平喘 작용을 증강한다(三拗湯), 寒飮咳嗽에는 細辛 . 乾薑 . 半夏 등을 加하여 溫肺化飮한다(小靑龍湯). 단 藥劑耐性이 생기므로 장기간 사용은 하지 않고 쉬었다가 다시 투약하는 방법을 택한다. 2. 熱邪癰肺로 인한 咳嗽에는 石膏 . 杏仁 . 甘草 등을 加하여 사용하면 초기의 염증을 억제하고 止咳消痰의 효과가 있다(麻杏甘石湯). 肺熱의 조건이 있으므로 鼻翼을 벌름거리는 모습을 보일 때가 좋다. 만성 기관지염의 발작으로 咳嗽와 喘息이 극심하고 호흡이 급박하며 黃色 가래, 발열 등을 보일 때는 麻黃을 君으로 하고 桑白皮 . 半夏 . 蘇子 등을 加하여 쓴다(定喘湯). 단 기관지의 痙攣이 보이지 않을 때는 구태여 麻黃을 쓸 필요가 없으며 반복하여 일어나는 喘息發作에는 麻黃을 증상에 따라 적당히 사용할 필요가 있다. 단 장기간 복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C. 利水消腫 1. 麻黃에 포함된 알칼로이드에는 利尿 및 排尿量을 증강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急性腎炎에도 사용한다. 눈두덩이 붓고 몸이 무거우며 소변이 줄어들거나 혈뇨가 보이는 水腫實證에 表證을 겸하면 白朮 . 石膏를 加하여 利水泄熱한다(越婢湯). 水腫에 脈沈하고 寒이 보이면 附子를 加하여 溫陽利水한다(麻黃附子甘草湯). 초기에는 용량을 2錢까지 올려서 쓰고 배뇨가 순조로워지면 용량을 줄인다. 2. 小便이 막혀 나오지 않아서 아랫배가 팽만하거나 小便色이 붉고 양이 적으면서 시원치 않을 때는 淸熱利尿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나 일부 환자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利尿와 發汗作用을 동시에 갖춘 麻黃을 같이 쓸 필요가 있다. D. 祛濕止痛 麻黃은 각종 류머티즘의 초기에 증상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는 주로 桂枝, 羌活, 獨活, 진교 등과 배합하여 쓴다. 만성에는 5∼8分을 補血活血 . 祛風濕藥과 함께 쓴다. 급성으로 血沈 속도가 빠를 때는 麻黃과 石膏를 사용하면 좋은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越婢加朮湯). 또 麻黃은 寒邪를 발산시키고 發汗작용이 있으므로 薏苡仁이나 白朮을 배합하여 風濕痺痛을 치료한다(麻杏薏甘湯). 이외 熟地黃 . 肉桂 . 白芥子 등을 배합한 陽和湯은 陰疽 . 痰核에 활용한다. |
|
修治 | 그대로 쓰면 발한작용이 강하고, 구어서 쓰면 발한작용은 약해지지만 止咳平喘작용이 강해짐(潤肺). | |
參考 | 麻黃을 쓰면 잠이 오지 않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럴 때 附子證이 있으면 附子와 같이 쓰면 대개는 不眠症이 없어진다.
麻黃을 쓰면 체표에 있는 筋肉과 血管이 수축하고 心肺 쪽으로 혈액이 많이 유입된다. 또한 기관지 平滑筋이 확장되면서 심장박동의 폭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기관지가 확장 이완하게 되면 몸안의 노폐물들이 肺나氣管支를 통해서 잘 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 吸入量이 많아지면서 痰飮이나 수분 등을 소모시키는 기전이 강화된다. 이와 비슷한 작용을 하는 것이 반하로, 임상에서 麻黃이나 半夏를 장기간 사용할 때는 진액을 보충할 수 있는 麥門冬, 人蔘, 地黃 등을 같이 써야 한다. 콩나물 기르는 콩을 시루에 담아 여기에 麻黃을 삶아 식힌 물을 붓고 천으로 덮어놓으면 싹이 나기 시작하는데 그때 천을 걷어 버리고 말려서 쓴다. 이 콩을 사용하면 부작용이 없고 강력한 發汗作用도 없어 좋다. 配合에 따른 효능 麻黃 + 桂枝 - 發汗解表(麻黃湯) 麻黃 + 附子 - 溫經散寒(麻附辛湯) 麻黃 + 杏仁 - 止咳平喘(麻黃湯) 麻黃 + 乾姜 - 溫肺化飮(小靑龍湯) 麻黃 + 石膏 - 淸熱宣肺(麻杏甘石湯) 麻黃 + 白朮 - 利水消腫(越婢加朮湯) 麻黃, 桂枝, 細辛의 비교 【공통점】發散風寒하므로 風寒感冒, 風濕痺痛에 씀. 【차이점】 麻黃 : 發汗力强 - 表實無汗 桂枝 : 發汗力弱, 助陽解表作用 - 表虛有汗 細辛 : 少陰經의 風寒發散 - 陽虛外感, 老弱者의 感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