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본초정보

藥品名(성분명) 생강 生薑
  • 의약품 이미지
    의약품 이미지
  • 의약품 이미지
    의약품 이미지
생약명 Zingiberis Rhizoma
分類 辛溫解表藥
主要 成分 Zingerone, gingerol,shogaol, dihydrogingerol ,zingiberol, cineol, zingigerone, borneol
基源 생강과(Zingiberaceae)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의 신선한 根莖
性味·歸經 性味 : 辛, 溫. 肺·胃·脾經에 入한다.
歸經 :
效 能 解表, 散塞, 止嘔, 開痰. 鎭吐藥으로 利尿, 健胃, 鎭咳, 祛痰의效가 있다. 水毒上衝에 의한 嘔吐, 咳嗽, 吃逆, 惡心 等을 치료.
散寒解表 - 風寒感冒
溫中止嘔 - 胃寒嘔吐, 脹滿泄瀉(嘔家의 聖藥)
化痰止咳 - 寒痰咳嗽, 喘咳
主 治 感冒風寒, 嘔吐, 痰飮, 喘咳, 脹滿, 泄瀉.
處 方 例 生薑半夏湯 《金櫃要略》: 半夏, 生薑汁; 心下비경, 嘔氣, 惡阻를 치료한다.
生薑瀉心湯 《傷寒論》 : 生薑, 炙甘草, 人蔘, 乾薑, 黃芩, 半夏, 黃連, 大棗;
傷寒發汗, 胃中不和, 心下비경을 치료한다
用量·用法 0.1 - 0.3g, 煎服한다. 또는 汁으로 服用하며 外用으로도 사용.
禁 忌 陰虛內熱한 者. 胃熱喉痛, 目疾, 溫邪, 姙婦
藥理 作用 1.健胃作用
2.殺菌作用
3.興奮作用
應 用 A. 發汗解表

1. 歷代의 風寒發散藥에는 거의 生薑이 보조약으로 배합되어 있다.{傷寒論}에 生薑으로 感氣治療에 대한상세한 언급이 있고, 後世에서 이것을 답습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특히 초기 感氣에 生薑片 적당량과 蘇葉 5錢을 달여 茶처럼 복용하면 汗腺을 자극하여 땀을 내고 열을 내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風寒 感氣로 嘔吐 . 腹痛 . 泄瀉할 때 藿香 . 蘇葉 . 厚朴 . 陳皮를 加하여 투약하면 散寒止痛 . 止瀉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感氣로 코가 막히고 頭痛 . 咳嗽 . 痰多 증상이 있을 때는 前胡 . 荊芥 . 杏仁 . 半夏를 加하여 쓰면 기침도 멎게 하고 痰을 제거하는 효과도 있다. 감기에 단독으로 쓰기에는 효능이 약하므로 보조품으로 활용한다.

3. 얇은 옷을 입고 소나기를 맞으면 惡寒 . 腹痛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때는 즉시 生薑 적당량을 얇게 썰어 끓인 다음 그 물로 몸을 닦으면 곧 땀이 나면서 좋아진다.

4. 갑자기 차게 하여 코가 막히고 기침이 나올 때 생강과 蔥白을 넣고 끓여 설탕을 넣고 따뜻할 때 복용하고 땀을 내면 좋아지기 때문에 민간에서 자주 이용하고 있다.

5. 추위로 기침이 나와 밤에 잠을 잘 수가 없을 때는 生薑으로 大저穴과 肺兪穴 주위를 마찰하면 기관지의 경련을 억제하여 기침을 멎게 하는 효과가 있다.

B. 溫胃止嘔

1. 生薑의 주성분 Gingeol은 口腔粘膜 및 胃粘膜을 자극하여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胃酸抑制를 하므로 健胃 . 식욕증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평소 식욕이 좋고, 소화가 잘 되며 더워하는 사람은 구태여 쓸 필요가 없다. 또 소화기능이 둔화되어 있을 때 사용하면 위의 연동을 강화하고 이상발효를 억제하여 가스배출을 촉진한다.

2. 生薑은 소화기능조정 작용이 있어 嘔吐를 멈추므로 "嘔家의 聖藥"이라 불린다. 生薑汁을 몇 방울 물에 타서 먹거나 生薑 1片을 씹어 먹어도 구토는 멎는다. 또 生薑으로 만든 雪糖類를 수시로 복용해도 좋다. 胃寒嘔吐에는 항상 半夏를 加하여 溫中降逆止嘔하고(小半夏湯), 胃寒으로 밥맛이 없고 上腹部에 膨滿感을 느끼며 속이 메슥거릴 때는 鷄內金 . 麥芽 . 神曲과 같이 쓰면 좋다. 胃熱嘔吐에는 竹茹 . 黃連을 加하여 和中淸熱止嘔한다. 기타 止嘔藥에 生薑汁을 이용하면 止嘔작용이 증강된다.

3. 水熱互結로 胃中不和 . 心下비硬에는 半夏 . 黃連 등을 加하여 쓴다(生薑瀉心湯).

C. 抗菌解毒

1. 生薑에는 抗菌作用이 있으므로 細菌性痢疾, 急性腸炎, 黃疸性肝炎, 학질 등을 치료할 때 쓰면 치료율이 높아진다.

2. 圓形脫毛症에는 껍질을 벗긴 生薑을 환자가 달아올라 따끔거릴 때까지 반복 마찰하여 10일 정도 지속하면 모발이 다시 난다. 또는 탈모가 된 부위를 쑥으로 뜸을 해도 모발이 난다.

3. 腰筋의 피로에 의한 손상, 全身關節痛, 慢性胸膜炎, 肋間神經痛, 限局性腹膜炎, 腹痛 등에 같은 양의 生薑과 토란을 섞어 바르면 좋다. 방법은 토란은 껍질을 벗겨 으깨고 같은 양의 生薑은 즙을 내어 잘 섞은다음 밀가루를 적당히 넣어 천에 발라 疼痛 부위에 붙인다(겨울에는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다). 1일 2회 갈아 붙인다. 이렇게 하면 그 날 중에 바로 효과가 나타난다.

4. 生薑은 藥毒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어 半夏 . 南星 및 魚蟹中毒을 解毒한다. 半夏와 南星은 有毒하므로 生薑으로 포製하여 해독하여야 하고 만약 半夏와 南星을 먹어 중독이 되면 喉舌麻痺를 느끼므로 생강을 찧어 충복하거나 3∼5錢을 달여서 복용해도 해독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魚蟹中毒에는 蘇葉과 같이 쓴다. 이 외 補藥을 조제할 때 大棗와 배합하면 식욕을 증진하고 소화흡수력을 증가한다.
修治 熱 - 去皮, 冷 - 留皮
參考 生姜皮 - 利尿消腫
乾姜 - 性熱 - 溫中散寒, 溫肺化痰, 能走能守, 治裏寒
포乾姜 - 高溫 - 溫中止血, 溫中止澁, 守而不走, 治中焦虛寒 脾不統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