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본초정보

藥品名(성분명) 산약 山藥
  • 의약품 이미지
    의약품 이미지
  • 의약품 이미지
    의약품 이미지
생약명 Dioscoreae Radix
分類 補氣藥
主要 成分 Saponin, Mucin, Arginine, Allantoin, Amylase, Choline.
基源 薯슚科(마과;Dioscoreaceae)식물인 薯슚(Dioscotea opposita Thunb.)의 塊狀莖.
性味·歸經 性味 : 甘, 平. .脾, 肺, 腎에 入한다(三 臟器의 陰을 보함)
歸經 :
效 能 益氣養陰(健脾) - 脾虛泄瀉, 婦女帶下
補脾肺腎 - 肺虛久咳
澁精止帶(益腎益精) - 腎虛遺精, 小便頻數, 消渴, 糖尿(太陰人)
補氣하면서 補陰하여 脾陰虛, 陰虛에 모두 쓴다.
小兒發熱, 久痢, 虛弱者, 癰瘡에 도포하여 消腫硬
補土 → 土生金 → 金生水 → 益肺腎
主 治 脾胃虛弱, 食少倦怠, 軟便久泄, 脾虛帶下, 肺虛咳嗽, 腎虛遺精,消渴尿頻.
處 方 例 玉液湯《喪中參西錄》:山藥, 黃耆, 知母, 生鷄內金, 葛根, 五味子,天花粉 ; 消渴을 치료한다.
用量·用法 9 - 30g, 煎服한다. 혹은 丸·散劑로 사용한다.
禁 忌 濕盛中滿, 積滯(養陰助濕 때문) 濕熱積滯가 있는 者는 적합하지 않다.
藥理 作用 1.滋養作用
2.消化促進作用
3.止瀉作用
4.祛痰作用
應 用 A. 健脾補肺

1. 山藥은 滋養作用이 뛰어나서 食餌療法의 우수한 보조제로 쓰이며, 消化 . 呼吸 . 泌尿 . 生殖器係의 虛弱症에 쓰이고, 또 腎虛症의 치료에도 좋다.

2. 山藥에는 止瀉 . 消化 . 健胃에 효과가 있는 다량의 전분과 디아스타제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慢性의 泄瀉를 반복하고 약간이라도 차거나 기름기가 있는 음식 혹은 야채를 먹으면 泄瀉가 심해지는 경우에 黨蔘 . 白朮 . 茯笭 . 白扁豆와 같이 쓰면 좋고, 陳皮 . 半夏 . 神曲을 넣어 쓰면 健胃止瀉의 효과 외에 식욕을 촉진하고 胃腸의 積滯를 제거하는 효과도 있다.

3. 慢性痢疾이 반복되어 얼굴이 창백하고 피로하며, 食事量도 적고, 식후에 배가 부른 것은 脾氣虛로 寒濕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黨蔘 . 木香 . 黃連 . 枳殼을 넣어 쓰면 좋다. 便檢査에서 아메바가 발견되면 黃柏 . 黃芩 등을 더 넣어 쓰면 좋다. 老人의 慢性泄瀉에는 白朮 . 木香 . 白扁豆와 같이 쓰면 健胃止瀉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小兒가 慢性消化不良으로 야위고 食少 . 泄瀉 . 腹脹 등의 증상을 보이면 黨蔘 . 白朮 . 白扁豆 . 鷄內金 . 山査를 넣어 散劑로 만들어 복용시키면 좋다.

5. 山藥은 身體를 보하고 호흡을 안정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氣管支疾患으로 장기간 咳嗽나 喘息이 멎지 않고 백색의 가래가 많으며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는 경우에는 沙蔘 . 茯笭 . 補骨脂 . 百合 등과 같이 쓰면 좋다. 小兒의 慢性氣管支炎에는 山藥을 白朮 . 紫河車와 함께 가루 내어 쓰면 좋다.

6. 肺結核으로 盜汗 . 潮熱 . 咳嗽 등의 증상을 보이면 百合 . 玄蔘 . 麥門冬 . 沙蔘을 加하여 쓰면 저항력을 증강하고 체질강화에 효과가 좋다.

7. 肺虛로 인한 喘息과 咳嗽에는 黨蔘 . 貝母 . 茯笭 . 杏仁 등을 加하여 쓰거나 山藥만 단독으로 달여 복용하고, 肺腎虛性 喘息에는 熟地黃 . 山茱萸 . 五味子를 加하여 쓴다(都氣丸).

B. 固精收澁

1. 山藥은 壯陽效果는 없으나 補精效果는 우수하므로 腎虛遺精에 활용한다. 특히 靑壯年의 遺精에는 5錢 이상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검인 . 金櫻子 . 蓮子 . 熟地黃 . 牡蠣 . 龍骨과 같이 쓰면 더욱 좋다. 가끔 遺精이 있을 때는 山藥을 보조식품으로 삼아 검인 . 百果 . 蓮子와 같이 넣고 죽을 쑤어 먹으면 좋다.

2. 山藥의 收澁作用은 頻尿 . 多尿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慢性腎炎이나 몸이 허약하여 소변을 자주 볼 때는 補骨脂 . 兎絲子 . 巴戟 등을 加하여 쓰거나, 益智仁 . 烏藥을 넣어 쓴다.(縮泉丸) 尿崩症인 경우에는 黨蔘 . 黃耆 . 附子 . 益智仁과 같이 쓰면 좋다. 또 山藥은 腎機能을 증강하므로 尿蛋白이 장기간 소실되지 않고 尿量減少나 浮腫 . 疲勞倦怠感이 있을 때 黃耆 . 澤瀉 . 兎絲子와 같이 丸으로 만들어 쓰면좋다.

3. 婦人에게 白帶下가 많은 것은 허약하거나 빈혈이 있을 때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細菌이나 眞菌性이 아닌 膣炎에는 白朮 . 黃耆 . 黨蔘 . 龍骨과 같이 쓰면 좋다. 丸劑로 만들어 쓰면 더욱 좋으며, 평소에도 山藥에 검인과 蓮子를 넣고 복용하면 좋다. 만약에 濕熱을 겸하면 黃柏을 넣어 쓰고(易黃湯), 腎虛不固에 속하면 兎絲子 . 巴戟 . 補骨脂 . 枸杞子 등을 加하여 쓴다.

4. 山藥은 消渴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要藥이다. 消渴證이 가벼울 때는 매일 山藥 250g을 끓여 茶로 대용하면 좋다. 上消 단계에서 심한 口渴을 호소하고 물을 많이 먹고 소변도 자주 볼 경우에는 黃耆 . 葛根 . 天花粉 . 知母 등을 加하여 쓴다(玉液湯). 津液의 부족으로 인한 口渴에는 麥門冬 . 玉竹 등을 加하여 쓴다. 食餌療法으로 山藥 . 黃耆 . 沙蔘을 돼지 췌장과 같이 고아 먹어도 좋다.

5. 山藥은 盜汗과 虛汗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신체가 허약하여 땀구멍이 이완된 경우에는 黃耆 . 浮小麥 . 牡蠣 . 大棗를 넣어 쓰면 止汗效果가 아주 좋아진다. 기타의 질환으로 인한 盜汗 . 多汗에도 山藥을 넣어 쓰면 좋다.
修治 生用 - 養陰, 炒黃 - 健脾止瀉
參考 補脾止瀉(脾虛泄瀉) - 山藥 + 白朮
山藥과 白扁豆의 비교
【공통점】脾氣를 補益하므로 脾虛證에 사용
【차이점】山藥 - 肺腎의 氣를 補益하고 肺腎의 陰을 자양
白扁豆 - 化濕滯 . 消暑邪에 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