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정보
藥品名(성분명) | 호로파 胡蘆巴 |
|
---|---|---|
생약명 | Trignonellae Semen | |
分類 | 補陽藥 | |
主要 成分 | trigonelline. Gallactose, mannose,choline | |
基源 | 豆科(콩과:Leguminosae)식물인 胡蘆巴(Trigonella foenumgraecum L.)의 種子 | |
性味·歸經 | 性味 : 辛, 苦, 溫 歸經 : 肝, 腎 |
|
效 能 | 溫腎助陽 - 腎臟虛冷 寒濕脚氣
散寒止痛 - 腹脇脹痛 寒疝腹痛 |
|
主 治 | 腹脇寒氣脹痛, 寒濕脚氣, 疝氣. | |
處 方 例 | 호로파산 | |
用量·用法 | 3∼10g | |
禁 忌 | ||
藥理 作用 | ||
應 用 | A. 壯陽固精
1. 葫蘆巴의 壯陽作用은 비교적 약하므로 단독으로 응용하지 않고 다른 壯陽藥과 배합하여 쓴다. 약성이 溫暖하여 양위 . 早漏의 치료에 쓰이는 데 주로 附子 . 補骨脂 . 兎絲子 . 巴戟 . 肉從蓉 . 鹿茸 등과 같이 쓰면 좋다. 2. 일반적으로 性機能이 감퇴되면 主症狀 외에 下半身의 寒冷感이나 下肢沈重無力을 호소하므로 壯陽散寒을 도모해야 좋은데 이에는 肉從蓉 . 補骨脂 . 巴戟과 같이 쓰면 좋다 3. 葫蘆巴는 重症의 夢精에도 쓰인다. 이에는 金櫻子 . 肉從蓉 . 龍骨 . 牡蠣 등과 같이 쓰면 좋다. 만약 性器가 냉하고아랫배에 통증이 있으면 鹿茸 . 蛤 등과 같이 쓰면 좋다. 4. 頸椎骨이 退化하여 일어난 脊髓性麻痺는 빨리 壯陽을 주로 하면서 氣血을 조화하고 通絡을 꾀하지 않으면 회복이늦어지므로 肉從蓉 . 肉桂 . 附子를 넣어 쓴다. 이 약물은 약리실험에서 脊髓神經의 운동기능을 흥분시키고 關節神經에 영양을 공급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이 증명되어 麻痺治療에 좋은 良藥임을 알 수 있다. 5. 腰腿部가 軟弱無力하고 시큰거리며 통증이 있을 때는 祛風濕藥 이외에 葫蘆巴 . 續斷 . 巴戟 . 杜沖 . 狗脊 등을 같이 쓰면 祛濕溫補의 효능이 더욱 좋아지고 통증을 제거할 수 있다. B. 祛寒化濕 1. 葫蘆巴는 腹部虛寒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寒疝으로 피로하거나 차게 하였을 때 陰囊이 빠지려하는 激痛을 보일 때 小茴香 . 吳茱萸 . 玄胡索 . 川練子 . 烏藥과 같이 쓰면 散寒止痛에 좋은 효과가 있다. 헤르니아가 일어나 통증을 참을 수 없을 때 小茴香 . 吳茱萸와 같이 쓰면서 동시에 무릎을 세우고 누워 있게 하면 좋다. 2. 慢性睾丸炎으로 차게 하면 붓고 아플 때는 小茴香 . 肉桂 . 沈香 . 橘核 등과 같이 쓰면 좋다. 胡蘆巴丸은 睾丸炎의 치료에 상용되는 방제이다. 3. 經痛 . 少腹冷痛에는 小茴香 . 艾葉 등과 같이 쓰면 좋다. 4. 水疝(睾丸固有 膜腔에 液體가 저류하는 질환)은 老人에게 잘 보이는 완고한 질환으로 치료가 어려운데 이에는 小茴香 . 附子 . 肉桂 . 澤瀉 . 비해 . 車前子와 같이 달여서 따뜻할 때 복용시키면 좋다. 단, 장기 복용해야 효과가 좋다. 5. 심한 冷으로 인한 慢性腹痛이나 腸癒着에 의한 腹痛은 심할 때는 冷汗도 수반하는데 이에는 肉桂 . 川練子 . 玄胡索을 넣어 쓰면 좋다. 6. 환자가 下腹部寒冷 . 胸膈壅塞感을 느끼고 심할 때는 嘔吐 . 食慾不振을 보이며 冷汗을 자주 흘릴 때는 川練子 . 肉桂와 같이 쓰면 좋다. 7. 寒濕脚氣(足部膝脛疼痛, 步行無力, 溫覺減退, 排尿困難, 腰 등을 보이는 것)에는 補骨脂 . 木果 . 鷄血藤 . 牛膝 . 吳茱萸 등을 加하여 쓰면 좋다. 8. 頑固하고 난치성의 貧血頭痛에는 當歸 . 何首烏 . 三稜 . 桃仁 . 紅花 . 柴胡와 같이 쓰면 좋다. 腦震蕩 후의 완고한 頭痛에는 丹蔘 . 桃仁 . 巴戟 . 黃耆를 같이 쓰면 좋다. 단 가벼운 頭痛에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9. 慢性精神病에 壯陽藥物을 쓰면 精神衰退를 방지할 수 있는데 이에는 肉從蓉 . 酸棗仁 . 巴戟 등과 같이 쓰면 좋다. |
|
修治 | ||
參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