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정보
| 藥品名(성분명) | 마황근 麻黃根 |
|
|---|---|---|
| 생약명 | Ephedrae Radix | |
| 分類 | 止汗藥 | |
| 主要 成分 | ephedradine I,II,III | |
| 基源 | Ephedra sinica Stapf E.equisisetina Bge. E. intermedia Schrenk et Mey.등의 뿌리를 건조한 것 | |
| 性味·歸經 | 性味 : 性味 : 甘, 平 效能 : 收斂止汗 - 自汗盜汗 歸經 : |
|
| 效 能 | ||
| 主 治 | ||
| 處 方 例 | ||
| 用量·用法 | 6~9g | |
| 禁 忌 | 表邪가 있는 경우 | |
| 藥理 作用 | ||
| 應 用 | 一切 虛汗에 隨證配合하여 활용한다. 氣虛自汗에는 黃耆 . 白朮 등을 함께 쓰고, 陽虛自汗에는 人蔘 . 附子 등을 같이 쓰며, 陰虛盜汗에는 生地黃 . 熟地黃 . 山茱萸 등을 가하며, 만약 氣陰不足 . 衛陽不固로 인한 自汗 . 盜汗에는 黃耆 . 牡蠣 등을 배합하여 益氣固表 . 斂陰止汗한다(牡蠣散), 産後虛汗에는 黃耆 . 當歸 등을 加하여 標本兼施하며, 龍骨 . 牡蠣 등과 함께 가루로 만들어 止汗에 外用하기도 한다. | |
| 修治 | ||
| 參考 | 浮小麥과 麻黃根의 비교
【공통점】自汗 . 盜汗에 사용 【차이점】麻黃根 - 收斂作用만 있고 扶正作用은 없음. 浮小麥 - 益氣除熱止汗, 扶正祛邪의 의미가 있음. 氣虛有熱의 自汗 . 盜汗에 적합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