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정보
藥品名(성분명) | 상기생 桑寄生 |
|
---|---|---|
생약명 | Loranthi Ramulus | |
分類 | 舒筋活絡藥 | |
主要 成分 | β-Amyrin, Inositol, Avicularin, Quercitrin, Viscotoxin,Viscine, Arabinose, Oleanolic acid | |
基源 | 상기생과(Loranthaceae) 뽕나무겨우살이(Loranthus parasiticus (L.) Merr.)의 帶葉한 莖枝(누에를 치지 않는 늙은 뽕나무에 기생) | |
性味·歸經 | 性味 : 平, 甘, 苦 歸經 : 肝, 腎 |
|
效 能 | 補益肝腎 强壯筋骨 - 風濕腰痛 關節不利 筋骨酸痛 筋骨無力
祛風除濕 - 風濕痺痛 腰膝酸痛 益血安胎 - 胎漏下血 胎動不安 降壓(+ 夏枯草, 決明子, 白芍) |
|
主 治 | 肝腎不足, 風濕痺痛, 筋骨위弱, 沖任不固로 인한 胎動不安, 崩漏下血. | |
處 方 例 | 壽胎丸《喪中參西錄》: 兎絲子, 桑寄生, 續斷, 阿膠 ;滑胎를 치료 | |
用量·用法 | 10 - 15g, 煎服한다. | |
禁 忌 | 風濕이 없는 者, 目예者 | |
藥理 作用 | 1.降壓作用
2.Cholesterol 降下作用 3.利尿作用 4.抗菌作用 5.抗 Virus作用 |
|
應 用 | A. 祛濕强筋
1. 桑寄生은 祛濕鎭痛 . 强筋壯骨의 효능이 뛰어나 주로 류머티즘 등 만성화된 風濕病에 쓴다. 체력이 허약할 때는 補身藥과 같이 쓰면 風濕을 제거하는 작용이 증가된다. 장기간 복용하여도 해가 없으며 關節疼痛이나 發赤腫脹 . 熱感이 없을 때는 當歸 . 川芎 . 黃耆 . 黨蔘과 같이 散劑나 丸으로 써도 좋다. 2. 慢性腰腿痛에는 止痛藥만으로 효과를 얻기 어렵고 보신약과 같이 써야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狗脊 . 杜沖 . 黃耆 등과 같이 쓴다. 桑寄生은 치료보다는 예방 쪽에 효과가 우수하다. 3. 桑寄生은 腰腿의 과로에 의한 손상에 가장 효과가 좋으므로 川芎 . 當歸 . 威靈仙 . 續斷 등을 넣고 丸을 만들어 복용하면 좋다. 동시에 脊椎肥大를 보이면 桃仁 . 丹蔘 . 鷄血藤을 넣어 活血化瘀를 꾀하면 骨質이 그 이상 증식하는 것을 방지한다. 4. 桑寄生은 麻痺를 치료하고 骨髓 및 末梢神經의 손상에 의한 麻痺에 좋다. 脊髓炎이나 脊髓壓迫症候群에는 동물성 약과 같이 쓰면서 桑寄生의 용량을 증량할 필요가 있다. 腦卒中에 의한 片麻痺가 1개월 이상 계속될 때는 補陽還五湯에 桑寄生을 넣어 쓰면 좋고, 丸劑로 만들어 써도 좋다. 5. 오랫동안 風濕으로 肝腎이 손상되어 腰膝酸痛하고 軟弱無力한 痛痺에는 獨活 . 牛膝 . 杜沖 . 當歸 . 熟地黃 등을 넣어 쓴다(獨活寄生湯) B. 安胎止血 1. 桑寄生은 流産防止에 중요한 약으로 流産의 징조가 있으면 何首烏 . 當歸 . 黨蔘 등과 같이 쓰면 유산방지와 止血이 된다. 流産防止의 良藥인 保胎無憂湯에 桑寄生을 넣어 쓰면 더욱 좋다. 肝腎不足이나 衝任不固로 인한 胎漏 . 胎動不安 . 腰背痛에 黃芩 . 白朮 . 續斷 . 兎絲子 . 阿膠 등을 加하여 쓰면 좋다. 習慣性流産이 있는 부인은 미연에 杜沖 . 續斷 . 黃耆 . 何首烏 . 當歸 등과 같이 丸을 만들어 쓰면 아주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過多月經이나 機能性子宮出血의 경우에 經血이 暗紫色이 아니고 血塊가 없는 것은 신체의 허약에 의한 것이다. 이럴 때는 歸脾湯에 桑寄生을 넣어 쓰면 좋다. 즉 婦人科의 3대 病證인 月經異常 . 帶下 . 産前産後病證에는 桑寄生이 자주 쓴다. 補中益氣湯과 같이 쓰면 子宮下垂에 좋고, 産後에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는 黃耆 . 木通과 같이 쓰면 좋다. 3. 桑寄生은 血小板減少에 의한 紫斑病 . 慢性胃潰瘍 出血 . 肺結核出血 등 慢性出血症狀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證에 따라 加減하여 쓰면 좋다. C. 其他應用 1. 桑寄生에는 降壓效果가 있으나 穀奇生(樹奇生)이 더욱 좋다. 動脈硬化에 의한 心疾患과 高血壓치료에 쓰며 또 콜레스테롤치를 내리는 효과도 있다. 降壓效果는 완만하지만 지속되며 안정되어 있고 血壓上昇이 반복되는 일은 적다. 肝腎陰虛로 인한 頭痛 . 眩暈 . 耳鳴 . 動悸 등을 보이는 陰虛陽亢型 高血壓에는 生地黃 . 赤芍 . 忍冬 등을 넣어 쓰면 좋다. 心博動이 완만하고 脈이 무력할 때는 心筋의 수축기능을 증강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天王補心丹 . 生脈散과 같이 자주 쓴다. 2. 桑寄生은 冠狀動脈을 확장하고 血流의 저항을 줄이며 血流를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狹心症에 써도 좋다. 1회에 桑寄生 2錢, 降香 5分을 복용시켜 止痛效果를 얻을 수 있다. 3. 桑寄生에는 壯陽澁精의 효능이 있으므로 impotence . 早漏 . 遺精 . 足膝肢冷 . 面白無華 등의 증상에 腎氣丸과 같이 쓰면 좋다. 4. 소아의 軟骨病에는 桑寄生을 肥兒丸과 같이 쓰면 좋다. 5. 神經衰弱으로 頭昏腰酸 . 失眠健忘 . 肢軟無力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용모가 초췌하고 피부와 머리에 윤기가 없을 때는 桑寄生을 다른 壯陽藥과 같이 쓰면 좋다. 6. 皮膚乾燥症(肌膚甲錯)에 쓰면 '光肌膚'의 효과가 있다고 한다. 7. 小兒麻痺에 淫羊藿을 加하여 사용한다. |
|
修治 | 生用, 酒炒 | |
參考 | 續斷 . 桑寄生 . 狗脊 . 骨碎補의 비교
【공통점】苦溫, 肝 . 腎經, 祛風濕 . 補肝腎 . 强筋骨작용 【차이점】續斷 - 通血脈, 肝經入하여 續筋하는 특징 骨碎補 - 下元溫化, 腎經入 接骨하는 특징 桑寄生 - 養血 . 安胎에 능하고 腰膝 痛 및 胎動不安을 치료 狗脊 - 督脈入 腰膝痛을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