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정보
藥品名(성분명) | 소회향 小茴香 |
|
---|---|---|
생약명 | Foeniculi Fructus | |
分類 | 溫裏藥 | |
主要 成分 | Anethole, l-Fenchone, dl-Limonen, α-Pinene, Fatty oil. | |
基源 | 傘形科(산형과;Umbelliferae) 식물인 茴香(회향;Foeniculum vulgare Mill.)의 果實. | |
性味·歸經 | 性味 : 溫, 辛 歸經 : 肝, 腎, 脾, 胃 |
|
效 能 | 散寒止痛 - 寒疝腹痛 睾丸腫痛 少腹冷痛 腎虛腰痛 經寒通經
理氣(溫中)和胃 - 脘腹冷痛 嘔吐食少 胃痛 |
|
主 治 | 寒疝腹痛, 睾丸偏墮, 胃腹冷痛, 胃寒嘔吐, 食少. | |
處 方 例 | 暖肝煎 《景岳全書》: 小茴香, 肉桂, 沈香, 烏藥, 當歸, 枸杞子,茯笭, 生薑 ; 陰寒小腹疼痛, 疝氣를 치료한다. | |
用量·用法 | 3 - 9g, 煎服한다. 혹은 丸·散劑로 사용한다. | |
禁 忌 | 熱證, 陰虛火旺한 者. | |
藥理 作用 | 1.鎭痛作用
2.健胃作用 |
|
應 用 | A. 健胃理氣
1. 小茴香에는 健胃散寒 . 理氣止痛의 효능이 있으므로 慢性胃病이 胃酸過多로 되어 약간의 寒冷한 氣를 받으면 통증이 자주 나타나고 酸水 또는 淸水를 토하며 트림과 嘔逆이 날 때 砂仁 . 蘇葉 . 白豆久 등과 같이 쓰면 근본적인 치료도 된다. 2. 慢性胃炎에서 보이는 胃寒嘔吐는 약간 過食을 하면 곧 위가 부풀어 기분이 나쁜데 이럴 때는 陳皮 . 白朮 . 半夏를 넣어 쓰면 좋다. 3. 胸脇의 통증이 좌우 한쪽 또는 양측에 일어나 痛症部位가 일정치 않고 심할 때는 등이나 어깨까지 올라오는 것은 정신적인 요인으로 생긴다. 이럴 때는 柴胡 . 香附子와 같이 쓰면 좋다. 4. 小茴香은 腸의 연동力을 증강하고 가스의 배출을 촉진하므로 통증을 緩解하는 데 쓴다. 消化器疾患이나 복부수술 후에 배에 가스가 괴는 경우에는 厚朴 . 木香 . 蒼朮과 같이 쓰면 좋다. B. 溫暖散寒 1. 小茴香은 散寒理氣止痛의 효능이 있으므로 疝證을 치료하는 要藥이다. 寒疝疼痛이나 陰囊이 붓고 아플 때는 肉桂 . 沈香 . 烏藥 등을 넣어 쓴다(暖肝煎). 또 배꼽 주위가 당기고 아픈 경우에도 흔히 활용한다. 2. 重症의 疝證으로 下腹 및 陰囊에 격심한 통증이 있을 때는 烏藥 . 玄胡索 . 川練子를 넣어 쓰면 좋다. 복용 후에는 양다리를 굽히고 엎드려 30분∼1시간 정도 있으면 통증이 멎는다. 소아에게도 활용할 수 있다. 3. 陰囊水腫 . 睾丸脹痛에는 小茴香 . 車前子 各 1兩, 食鹽 1.5錢을 함께 가루 내어 每 1.5錢씩 따뜻한 술로 1日 2회 복용하거나, 또는 五笭散에 小茴香 . 附子 . 黃耆 . 當歸를 넣어 쓰면 좋다. 단 장기간의 복용이 필요하다. 4. 만성적인 腹冷痛 혹은 發作性痛症으로 안면이 창백하고 冷汗이 나올 때는 小茴香 . 艾葉 各 5錢, 大茴香 1兩을 볶아 복부를 찜질하면 통증이 줄어든다. 계속 腹冷痛이 있을 때는 良薑 . 香附子 . 吳茱萸 . 玄胡索을 넣어 쓴다. 이것은 소화기질환에 나타나는 여러 종류의 복통 즉 수술후의 腸癒着으로 인한 복통, 冷氣로 장이 수축되어 일어나는 복통이 좀처럼 치유되지 않을 때도 쓰면 좋다. 5. 小茴香은 약간의 壯陽效果도 있으므로 性機能이 감퇴되어 頭昏 . 腰痛을 호소할 때 壯陽藥에 넣어 쓰면 좋다. 6. 腰痛이 장기화하여 허리 및 下肢에 통증이 오고 탈력감으로 보행이 어려울 때는 續斷 . 肉從蓉 . 狗脊 . 補骨脂를 넣어 쓰면 좋다. 이렇게 쓰면 脊椎의 병변으로 인하여 下肢麻痺가 생기고 말단부가 냉하며 反射 . 知覺神經의 감퇴 혹은 소실될 경우에도 좋다. 증상이 심하면 附子 . 牛膝을 더 넣어 쓴다. 7. 風濕病이 오래되어 관절이 변형하고 麻痺를 병발할 때도 小茴香을 보조약으로 쓰면 좋을 때가 있다. |
|
修治 | ||
參考 | 원래의 生藥名은 茴香이나(KP, JP) CP에서는 小茴香이라 하기 때문에 茴香보다 작은 것을 小茴香으로 오인하고 간혹 時蘿子(Anethum graveolens)가 小茴香으로 유통되고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그림참조)bc17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