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정보
藥品名(성분명) | 호장근 虎杖根 |
|
---|---|---|
생약명 | Pplygoni Cuspidati Rhizoma | |
分類 | 活血祛瘀藥 | |
主要 成分 | emodin, physcion, chrysophanol등. | |
基源 | 마디풀과(Polygonaceae)식물인 虎杖(Polygonum cuspidatum S. et Z.)의 根莖과 根. | |
性味·歸經 | 性味 : 微苦, 微凉. 歸經 : |
|
效 能 | 散瘀定痛(活血祛瘀) - 瘀阻로 인한 閉經, 跌打損傷, 風濕痺痛
淸熱利濕 - 濕熱黃疸 淋濁帶下 淸熱解毒 - 水火탕傷 瘡癰腫毒 毒蛇咬傷에 도포 化瘀止咳 - 肺熱咳嗽 그 외 瀉下通便 - 熱結便秘 |
|
主 治 | 關節疼痛, 濕熱黃疸, 慢性 氣管支炎. 外用--탕火傷(끓은 기름에 데인것), 跌打損傷. | |
處 方 例 | ||
用量·用法 | 9∼15g. 外用時에는 適量을 사용한다. | |
禁 忌 | ||
藥理 作用 | ||
應 用 | 1. 虎杖根은 血中地質을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다. 2兩을 진하게 달여 매일 1/20씩 20일간에 다 복용한다. 검사로 血中地質이 정상임이 증명되면 투약을 중단한다. 만일 정상이 아니라면 20일을 더 복용한다.
2. 虎杖根은 祛風除濕 . 止痛 . 散瘀通經 . 抗菌消炎의 효능이 있으므로 關節痛 . 神經痛 . 麻木 . 麻痺 등에 쓴다. 1회의 용량은 5錢∼1兩으로 진하게 달여 복용하면 좋다. 술에 담가 복용해도 좋다. 急 . 慢性 어느 것에도 좋은 止痛效果가 있다. 3. 虎杖根은 利膽退黃 효과가 강하므로 黃疸性肝炎의 치료에 쓴다. 發病初期에는 虎杖根 . 茵蔯 . 梔子 . 車前子 各 5錢을 달여 복용하면 좋다. 또 金錢草를 넣어 써도 좋다. 4. 無月經 . 生理痛 또는 經行不暢으로 經血이 暗紫色이고 血塊가 섞일 때는 桃仁 . 玄胡索 . 香附子를 넣어 쓰면 生理痛을 멎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단 姙娠中에 써서는 안 된다. 5. 打撲傷이나 骨折 교정 후에 腫脹 . 疼痛이 있는 경우에는 當歸尾 . 紅花 . 桃仁 . 赤芍을 가루 내고 食醋로 볶아 환부에 바르면 좋다. 6. 虎杖根은 綠膿菌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으므로 火傷의 치료에 쓰면 상처의 癒合을 촉진하고 化膿을 방지할 수 있다. 虎杖根末을 참기름에 섞어 발라도 좋고 地楡 . 黃連과 섞어 써도 좋다. 7. 虎杖根을 달인 물로 씻으면 祛濕止痒 . 消腫止痛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皮膚瘙痒에 쓰면 좋다. 8. 熱淋 . 尿赤澁痛에는 虎杖根 1兩을 달여 복용하거나 石葦 . 木通 . 滑石 등을 넣어 쓰면 좋다. 9. 虎杖根은 肺熱咳嗽에도 활용한다. 肺炎이나 氣管支炎에는 黃芩 . 魚腥草 . 枇杷葉 등을 넣어 쓴다. 10. 또 熱結便秘 . 瘡瘍腫毒 . 毒蛇咬傷 . 陰痒帶下 등에도 利用한다. |
|
修治 | ||
參考 | 膽石症, 尿路結石에 加 金錢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