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정보
藥品名(성분명) | 소자 蘇子 |
|
---|---|---|
생약명 | Perillae Semen | |
分類 | 止咳平喘藥 | |
主要 成分 | 精油, Fat oil, Vitamin B₁. . | |
基源 | 脣形科(Labiatae) 차조기(Perilla frutescens (L.) (주름소엽)의 成熟한 種子 | |
性味·歸經 | 性味 : 溫, 辛 歸經 : 肺, 大腸 (潤降止嗽化痰) |
|
效 能 | 止咳平喘 - 痰壅氣逆 咳嗽氣喘 痰多
下氣消痰 滑腸通便 - 腸燥便秘 咳嗽上氣 : 蘇子降氣湯 |
|
主 治 | 痰壅咳喘, 胸膈不利, 便秘. | |
處 方 例 | 蘇子降氣湯 《和劑局方》 : 蘇子, 半夏, 甘草, 肉桂, 前胡, 陳皮,厚朴, 當歸, 生薑 ; 痰飮壅盛, 肺氣上逆作喘한 者를 치료한다. | |
用量·用法 | 6 - 9g, 煎服한다. | |
禁 忌 | 軟便인 者는 愼用한다. 氣虛久嗽, 脾虛便滑者, 陰虛喘逆 | |
藥理 作用 | ||
應 用 | A. 化痰平喘
1. 蘇子는 氣管支의 분비를 억제하고 氣管支平滑筋의 경련을 弛緩시키기 때문에 消痰平喘의 要藥이다. 喘息, 咳嗽, 呼吸促迫, 喀出하기 힘든 粘稠多痰, 胸悶感에는 白芥子 . 蘿覆子를 넣어 쓴다(三子養親湯). 2. 老人의 慢性氣管支喘息은 증상이 완고하여 치료가 곤란하고 冬季에 발작하기 쉽다. 發作時에는 痰이 아주 많아져서 粘稠한 白色痰이 좀처럼 喀出되지 않고 咳喘氣急症狀이 보이는데는 蘇子를 君으로 하고 半夏 . 前胡 . 厚朴 . 當歸 . 肉桂를 배합한 蘇子降氣湯을 쓰면 좋다. 3. 小兒의 慢性氣管支喘息은 寒冷한 기후의 자극으로 발작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고 반듯이 누울 수 없으며 粘稠한 白色痰을 다량 喀出할 때는 半夏 . 麻黃 . 厚朴을 넣어 쓰면 좋다. 4. 氣管支擴張症으로 咳嗽 . 呼吸促迫에 粘稠한 白色痰이 다량 喀出될 경우에는 桔梗 . 半夏 . 杏仁을 넣어 쓰면좋다. 증상이 심하여져 粘稠한 黃色痰이 다량 喀出될 때는 자완 . 款冬花 . 前胡를 넣어 쓰면 좋다. 蘇子는 氣管支炎이나 咳喘에 대한 작용은 우수하나 氣管支擴張症 . 肺氣腫에서 보이는 咳喘多痰에는 효과가 떨어지므로 補助藥으로 쓴다. 5. 평소 虛弱者가 急性氣管支炎에 걸려 계속하여 咳嗽 . 喘息으로 咽喉에 痰이 다량 정체하고 惡寒 . 發熱이 수반되는 경우에는 杏仁 . 半夏 . 前胡를 넣어 쓴다. B. 潤腸通便 1. 蘇子는 다량의 지방유가 들어 있어 潤腸하며 그 작용은 麻子仁 . 杏仁과 유사하다. 蘇子는 急 . 慢性咳喘으로便秘를 수반하는 경우에 쓰면 좋다. 咳喘에 口咽乾燥 . 腹部膨滿 . 便秘가 수반될 때는 玄蔘 . 麥門冬 . 杏仁 . 枇杷葉을 넣어 쓰면 좋다. 2. 평소 몸이 약하여 貧血 . 便秘가 있거나, 産後血虛로 便秘가 보일 때는 苦寒瀉下藥을 쓰지 않고 潤腸藥을 써서 通便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蘇子는 1회에 2∼3錢을 찧어 설탕을 약간 넣고 물로 복용하면 좋다. 단독으로 써서 효과가 나지 않을 때는 麻子仁 2錢이나 杏仁 . 枳殼을 넣어 쓴다. {濟生方]에 있는 紫蘇麻仁粥은 이 두 약으로 죽을 만들어 먹는 것이다. C. 其他應用 1. 蘇子는 祛濕止痛 . 消腫의 효능이 있어 木瓜 . 吳茱萸를 배합하면 脚氣治療에 좋다. 이것은 鷄鳴散에 蘇葉을 쓰는 것과 동일한 이치이다. 2. 추워지면 증상이 심해지는 風濕性關節炎에는 獨活 . 牛膝 . 五加皮를 넣어 쓰면 祛濕止痛의 효과가 있다. 老人으로 발이 아파 보행이 곤란할 때는 蘇子 5錢에 乳香末 3錢, 製川烏末 3錢을 넣고 찧어 환부에 바르고 붕대로감아두면 祛濕止痛의 효과가 있다. |
|
修治 | 生用, 微炒 | |
參考 | 炙用하면 潤肺에 쓰고, 炒하면 약성이 완화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