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정보
處 方 名 | 시함탕 柴陷湯 |
---|---|
出 典 | 重訂通俗傷寒論 |
分 類 | 和解劑 -表裏不和 |
造 成 | 시호 길경 각 3g, 반하 9g, 황련 2.4g, 황금, 지실 각 4.5g, 괄루인 15g, 생강즙(庶服) 4滴. |
用 法 | 물로 달여 복용한다. |
效 能 | 淸熱, 化痰, 和解. |
適 應 症 | ◎ 반표반리증(半表半裏證)에 해수, 흉통, 흉내고민이 있고
◎ 황색의 끈적끈적한 가래가 있으며 심하비.구건 등의 열담증후가 있을 때. |
解 說 | 본방은 和解劑로 분류되며 氣管支 . 肺 . 肋膜 등의 염증으로 半表半裏證을 나타내는 것에 대한 처방으로 평소에 자주 애용하는 시함탕의 人蔘 . 甘草 . 大棗 대신 파기화담하는 只實과 선폐거담 .
배농소종의 吉更을 가한 것이다. 淸熱化痰의 瓜蔞仁은 소염 . 항균 . 去痰작용을 가진다. 黃連은 苦寒하여 淸心瀉熱하고 半夏는 辛溫하면서도 苦하고 化痰하므로 두 藥을 합하면 辛開苦降으로 痰熱이 합친 것을 치료한다. 여기에 瓜蔞仁을 배합함으로써 淸熱開結去痰한다. 柴胡 . 黃芩은 소염 . 해열을 보다 강하게 한다. ◎ 건성늑막염에 일차로 선택되는 名方 |
臨 床 | 복통에는 黃芩을 빼고 芍藥을 가한다. 咳嗽가 심하면 生姜을 빼고 五味子 . 乾姜을 가한다. |
參 考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