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정보
處 方 名 | 분심기음 分心氣飮 |
---|---|
出 典 | 直指方 |
分 類 | 和解劑 -脾胃不和 |
造 成 | 소엽 3.6g, 감초 2.1g, 반하, 지각 각 1.8g, 청피, 陳皮, 목통, 대복피, 상백피, 목향, 적복령, 빈랑, 봉출, 맥문동, 길경, 계지, 향부자, 곽향 각 1.5g. |
用 法 | 생강 3片, 대추 2枚, 등심 10莖을 가하여 달이고 수시로 복용한다. |
效 能 | 調和脾胃 |
適 應 症 | 일체의 기불화(氣不和)
◎ 걱정 근심이 많다. ◎ 화를 잘 낸다. ◎ 걱정을 하면서 식사를 한다. ◎ 일이 여의치 않다. ◎ 걱정을 떨쳐버리지 못한다 등으로 심흉이 비민하다, ◎ 옆구리가 당긴다. ◎ 속이 편안치 않다. ◎ 신트림을 한다. ◎ 구역질을 하고 속이 메스껍다. ◎ 머리와 눈이 어지럽다. ◎ 팔다리가 피곤하다. ◎ 얼굴이 누렇다. ◎ 입맛이 없고 혀가 마른다. ◎ 나날이 여윈다. ◎ 대장이 허하여 변비가 있다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병 후에 가슴속이 괜히 답답하고 식욕이 부진할 때 |
解 說 | 본방은 和解劑로 분류되며 二陳湯의 가감방이다. 方中의 只角 . 香附子 . 靑皮 . 木香은 가슴과 腸胃에 울체된 氣를 헤쳐 잘 통하게 하여 통증을 멈춘다. 半夏 . 陳皮 . 藿香은 濕痰을 삭이고 비위를 튼튼하게 하며, 桑白皮 .木通 . 赤茯笭 . 燈心은 이뇨작용으로 몸안의 정체되어 있는 수독을 제거한다. 蘇葉 . 吉更은 肺氣를 잘 통하게 하여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檳郞.
蓬朮은 積을 풀며 대변을 잘 나가게 하며 통증을 제거한다. 桑白皮 . 大腹皮는 行水行氣하여 脹滿을 낫게 하고, 麥門冬은 허열을 끄며, 桂皮는 양기를 잘 돌게 하여 血脈의소통을 촉진한다. ◎ 걱정, 근심, 우울 때문에 여러 기(氣)가 정체(停滯)된 것을 대소변으로 통리(通利)시켜 준다. ◎ 기울(氣鬱)에 의한 여러가지 증상에 효과가 좋고, 수울(水鬱)에도 효과가 좋다. ◎ 소엽 , 지각 , 청피, 陳皮, 대복피,목향, 빈랑, 봉출, 곽향 등은 이기약(理氣藥)으로 기울(氣鬱)을 제거한다. ◎ 반하는 건구(乾嘔), 탄산(呑酸)을 개선한다. |
臨 床 | . |
參 考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