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정보
處 方 名 | 형개연교탕 荊芥連翹湯 |
---|---|
出 典 | 一貫堂 |
分 類 | 淸熱劑 -淸熱解毒 |
造 成 | 당귀, 작약, 천 궁, 지황, 황련, 황금, 황백, 치 자, 연교, 감초, 형개 , 방풍, 박하, 지각 각 1.5g, 백지, 길경, 시호 각 2.0g |
用 法 | 물로 달여 복용한다. |
效 能 | 淸熱瀉火, 解毒, 止血 |
適 應 症 | 해독증체질(解毒證體質)의 청년기 병증
◎ 울증(鬱證), ◎ 허로(虛勞), ◎ 육혈( 血), ◎ 이비인후과 질환 (축농증, 만성비염, 만성편도선염, 耳鳴, 耳聾, 耳瘡, 膿耳 등), ◎ 독발증(禿髮證) |
解 說 | 본방은 淸熱劑제로 분류되며 처방구성은 血虛의 실열에 쓰는 一貫堂의 溫淸飮(黃連 . 黃芩 . 黃栢 . 梔子 . 熟地黃 . 當歸 . 白芍 . 川芎)을 기본으로 하고 祛風의 약물을 가하여 피부 . 體表部에 대한 효과를 강화하고, 薄荷 .吉更 . 川芎으로 약효를 상부 쪽으로 작용하게 한 것이다.
方中의 連翹는 화농억제, 薄荷의 止痒, 吉更의 배농작용이 여기에 첨가되어 청열해독 . 배농 . 止痒의 작용을 강화한다. 荊芥 . 防風 . 白芷는 祛風止痒 . 止痛의 작용을 하고, 여기에 배농의 只實이 배합되어 피부질환에 보다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일반적으로 耳 . 鼻 . 咽 . 氣管支 . 피부 등의 반복성 만성질환에 즐겨 사용된다. 본방에 牛蒡子와 天花粉을 배합한 것이 一貫堂의 柴胡淸肝湯이다. - 방제는 일관당(一貫堂)이 柴胡淸肝散, 龍膽瀉肝湯과 더불어 해독증체질 (解毒 證體質)에 쓰는 방제에 해당. - 해독증체질(解毒證體質) : 四物黃連解毒湯에 의해 치료되는 체질. ◎ 유년기 : 柴胡淸 肝散을 쓰고, ◎ 청년기 : 荊芥連翹湯을 쓰며, ◎ 장년기 : 龍膽瀉肝湯을 쓴다고 하였다. - 이 방제의 기본이 되는 四物黃連解毒湯은 四物湯(당귀, 천궁 , 지황, 작약)에 만병회춘(萬病回 春)의 黃連解毒湯(황백, 황련, 황금, 치자, 시호, 연교 )을 합방한 것으로 그 효능 및 효과는 溫淸飮과 마찬가지로 혈허를 보하고 혈열(血熱)을 사(瀉)해주는 작용이 있다. - 이와 같이 荊芥連翹湯은 四物黃連解毒湯에 형개, 방 풍, 박하, 지각, 감초 , 백지, 길경을 가한 것으로 사물황련해독탕(四物黃連解毒湯)의 약효에, 형개, 방풍, 박하, 지각에 의하여 두면(頭面)의 풍열(風熱)을 발산시키고 길경, 백지에 의하여 두면부(頭面部)의 거풍(祛 風) 특히 배농을 주재하도록 하였다. ◎ 형개, 방풍, 백 지 : 거풍(祛風), 진통(鎭痛) ◎ 천궁, 당귀, 생지 황, 적작약 : 보혈(補血), 양혈 (凉血), 행혈(行血) ◎ 연교, 치자 : 청열해독(淸熱解毒) ◎ 시호, 황금 : 청간담열(淸肝膽熱) ◎ 길경, 박하 : 선폐(宣肺) |
臨 床 | - 변폐(便閉)에는 防風通聖散을 합방한다 |
參 考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