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정보
處 方 名 | 황련아교탕 黃連阿膠湯 |
---|---|
出 典 | 傷寒論 |
分 類 | 淸熱劑 -淸瀉肝膽 |
造 成 | 황련 6g, 황금, 아교각 12g, 백작약 15 g, 계자황 1개. |
用 法 | 먼저 황련, 황금, 작약을 물에 달이고 찌꺼기를 버리고 아교를 넣어 녹인 다음 조금씩 식혀서 계자황을 넣어 저어 따뜻하게 하루 세 번 복용한다. |
效 能 | 養陰淸熱 |
適 應 症 | ◎ 불안하다
◎ 가슴이 쓰리고 아프다 ◎ 잠이 오지 않는다 등의 심화왕(心火旺) 의 증상이 나타날 때. ◎ 입이 마른다 ◎ 인후에 건조감이 있다 ◎ 머리가 휘청 거린다 ◎ 여윈다 ◎ 다리와 허리에 힘이 없다 등의 음허의 증상을 수반할 때. |
解 說 | 본방은 淸熱劑로 분류되며 陰虛火旺의 불면에 대한 처방이다. 淸熱瀉火의黃連 . 黃芩과 滋陰補血의 白芍 . 阿膠 . 鷄子黃으로 구성되어 있다.
흥분하거나 정신적으로 어떤 충격을 받았을 때에는 가슴이 답답하고, 심장이 뛰고, 얼굴에 열이 오르고, 머리가 아프고, 마음이 불안해 진다. 이러한 증상은 술을 마셔 일어나는 사람이 있고, 또 체질적인 특성을 가진 사람도 있다. 이때 우선 생각나는 처방이 三黃瀉心湯이다. 三黃瀉心湯은 心의 혈열을 끄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매우 유효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몸이 쇠약하거나, 또는 피로가 겹쳐 있을 때 이러한 증상이 일어나면 三黃瀉心湯을 사용하기에는 약간 무리라고 생각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방을 사용하는 것이 마땅하다. 三黃瀉心湯은 심의 실열을 다스리고, 본방은 허열인자를 다스리는 작용이 있다. 흔히 경험하는 일로 몸이 몹시 피로할 때 신경을 많이 쓰면 짜증이 나서 머리가 아프고, 얼굴에 열이 달아오르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허열이 상충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본방은 곧 이러한 경우에 적응하는 것이다. 즉 본방은 몸이 허약한 자가 심흉부에 열이 울체하고, 가슴이 답답하여 괴로워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것을 心火旺이라고 한다. 가슴에 불이 나서 타오르는 것이라고 해석된다. 심흉부에 화가 있어서 상충하기 때문에 마음이 초조하고, 잠이 잘 오지 않으며, 흥분하기 쉽고, 얼굴에 열이 달아오르는 것을 느끼게 된다. 또 심장이 뛰고 머리가 무거우며 아픈 증상을 호소한다. 몸이 허약한 데다가 열이 있으니 당연히 체내의 수분이나 혈액이 건조하게 된다. 따라서 입과 목이 마르고, 머리가흔들리며, 허리와 다리의 힘이 빠지고, 몸이 여위어 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것을 음허라고 한다. 또 토혈, 객혈, 안출혈, 혈뇨 등의 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적응하는 병태는 열병으로 체액이 소모되거나 또는 만성질환 등으로 인하여 영양불량 상태로 되었기 때문에 뇌의 억제과정이 약해지고 상대적으로 흥분성이 높아져서 자율신경이 흥분상태로 된것이라 해석된다. 酸棗仁湯이 적응되는 병태보다 영양불량이나 탈수의 정도가 진행된 상태이다. 청열사화의 黃連 . 黃芩은 해열 . 소염 . 항균작용을 하기 때문에 심흉부의 혈열을 청해한다. 따라서 뇌의 충혈을 완해하고 자율신경의 흥분을 억제한다. 또 黃芩과 芍藥을 조합한 것은 壽世保元의 二仙湯과 같은 것으로서 허약한 어린이가 마진이 內攻하여 폐렴이나 뇌증상을 일으켜 위독한 상태로 되었을 때 이것을 구하는데 사용된다. 滋陰補血의 白芍 . 阿膠 . 鷄子黃은 자양강장작용이 있어 몸을 영양 . 자윤하고 뇌의 억제과정을 강화함으로써 진정작용을 한다. 특히 阿膠와 鷄子黃(卵黃)은 그 성미가 진득진득하여 수분을 흡수 보유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혈액이 건조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혈을 화하며 번열을 제거한다고 한다. 芍藥은 그 성미가 서늘하여 혈액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혈액의 울체를 제거한다. 이상과 같은 본방의 효능을 滋陰降火 . 安神除煩이라고 한다. - 방증 : 열(熱)이 신(腎)에 들어가 진음(眞陰)을 소모시켜 화(火)만 남게했기 때문에 불안, 심번 및 불면 등의 심화왕(心火旺)에 의한 증후나 구고, 인건, 두운, 여윔, 요슬연약 등의 음허에 의한 증상이 나타날 때에 쓴다. => 양음청열법(養陰淸熱法) ☞ 황금, 황련 : 남아도는 심화(心火)를 瀉함. ☞ 백작약, 아교 : 영음(營陰)의 부족을 보(補)하게 하며, ☞ 계자황 : 자음청열(滋陰淸熱)하게 한다. - 혈허(血虛)일 때에는 당귀와 천궁을 가하고, - 출혈이 멎지 않으면 지유를 가하며, |
臨 床 | . |
參 考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