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정보
處 方 名 | 청서익기탕 淸暑益氣湯 |
---|---|
出 典 | 脾胃論 |
分 類 | 祛暑劑 |
造 成 | 창출 4.5g, 황기, 승마 각 3g, 인삼, 백출 , 진피, 신국, 택사 각 1.5g, 황백, 당귀, 갈근, 청피, 맥문동, 감 초(炙) 각 0.9g. |
用 法 | 물로 달여 복용한다. |
效 能 | 益氣生津 淸熱化濕 |
適 應 症 | - 여름에 더위먹었을 때
◎ 장하의 습열 때문에 팔다리가 피곤하고 권태롭다, ◎ 무기력하고 동작이 느리다, ◎ 흉만하여 숨이 차다, ◎ 팔다리가 아프거나 숨소리가 작다, ◎ 신열이 있어 번갈하다, ◎ 심하부가 팽민하다, ◎ 소변이 황색이고 소변이 잦다, ◎ 대변이 설사 성향이고 횟수가 많다, ◎ 구갈이 있다, ◎ 음식생각이 없다, ◎ 자한이 있다, ◎ 몸이 허약하다 등의 증상이 있을 때 |
解 說 | 본방은 祛暑劑로 분류되며 여름철에 더위를 먹어 氣虛와 津液損傷에 대한 대표처방이다. 방명에 있는 淸暑는 淸暑利濕을 말하고, 익기는 補氣를말한다. 보기건비의 人蔘 . 白朮 . 炙甘草와 黃耆, 生津의 麥門冬, 보혈의 當歸, 수렴의 五味子, 이기의 陳皮, 청열화습의 黃柏, 신량해표의 升麻 . 葛根, 利水의 蒼朮 . 澤瀉 및 消導和胃의 靑皮 . 神曲 . 生姜 . 大棗로 구성되어 있다.
적응하는 병태는 비위기허한 자가 감염되어 염증증상을 일으킨 것에 暑熱의 기후가 이에 겹침으로서 탈수가 일어나고 기능이 떨어진 것이다. [暑濕]이란 염증과 함께 위장장애나 수분의 흡수 . 배설장애가 보이는 것으로 특히 무더울 때 일어난다고 하여 붙여진 증후이다(습열로 생각해도 좋다). 원래 본방은 더위를 먹었을 때의 방제가 되지만, 여름철 발한으로 인한 脫水와 피로라는 氣津兩虛의 병태에 대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여름철에만 사용하는 처방이라고 고집하면 그 응용범위가 좁아진다. 黃柏이 淸熱에 작용하는 것으로 미루어 일단은 여름철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지만 量은 적다. 본방은 益氣生津의 生脈散에 덧붙여 中樞의 흥분성을 높이고 전신의 기능을 촉진하는 黃耆와 소화흡수를 강화하는 白朮 . 炙甘草로 [益氣]의 면을 증강하고, 當歸는 [生津]을 보조하며, 陳皮는 위액분비를 촉진하고 연동운동을 도와 他藥의 흡수를 높이고 있다. 黃柏은 염증을 가라앉힌다. 이상과 같이 염증을 없애고 위장을 조정하여 수분대사를 개선하며 暑濕의 증후를 풀어서 氣와 진액의 손상을 개선한다. - 淸暑益氣湯은 補中益氣湯과 비교하여 강심효과가 좋은 방제라 할 수 있다. |
臨 床 | 고열이 있으면 石膏 . 知母 . 黃連 등을 가하고, 下痢가 심하면 葛根 . 蒼朮등을 가하고, 口渴이 심하면 玄蔘 . 生地黃 . 天花粉 등을 가한다. |
參 考 | 無濕熱者, 陰寒證者는 주의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