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정보
處 方 名 |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 |
---|---|
出 典 | 脾胃論 |
分 類 | 補益劑 -補氣劑 |
造 成 | 황기 4.5g, 감초(炙), 인삼, 백출 각 3g, 當歸身(酒洗), 진피 각 1.5g, 승마, 시호 각 0.9g |
用 法 | 이상을 1회량으로 하여 물 2잔을 가하고 1잔이 될 때까지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아침식사 후에 뜨거울 때 복용한다. |
效 能 | 보기건비(補氣健脾), 승양거함(升陽擧陷), 감온제열(甘溫除熱 |
適 應 症 | ◎ 중기하함(中氣下陷), 청양불승(淸陽不升), 비불통혈(脾不統血), 기허(氣虛)에 의한 발열(發熱) 등.
◎ 脾胃氣虛 + 中氣下陷 ◎ 내력 - 이 동원(李 東垣)의 처방 : 내외상변혹론(內外傷辯惑論) → 비위론(脾胃論) ◎ 이명(異名) : 의왕탕(醫王湯) - 생강과 대추가 들어 있다는 것이 타당 |
解 說 | 본방은 補益劑로 분류되며 中이란 中焦 비위 즉, 소화기계통을 말하며 광범위하게는 여러 諸臟器를 포함한 위장기능을 말한다. 이 위장기능을 도와(中을 補) 氣를 益한다는 것이 본방의 목적이다. 따라서 본방은 비위기허를 보하여 익기하는 대표처방이며, 益氣升陽(中氣下陷)하고 비위를 補하는 데 가장 많이 쓰여진다. 즉 본방은 허증의 피로병을 보익하는 효과가 있어서 보제의 왕자라 할 수 있기 때문에 醫王湯이라고 한다.
본방은 補中益氣 . 升陽固表 . 止汗하는 黃耆를 君藥으로, 益氣健脾하는 人蔘 . 白朮 . 甘草를 臣藥으로, 理氣和胃하는 陳皮와 補血하는 當歸를 佐藥으로, 下陷된 陽氣를 升提하는 柴胡 . 升麻가 使藥으로 작용한다. 익기건비하는 약 중 茯笭을 거한 이유는 약성이 감평하고 燥하며 水를 降下利尿하므로 익기승양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본방증에 잘 나타나는 위아토니 . 遊走腎 . 脫肛 . 子宮脫 . 헤르니아 등도 지지조직의 긴장저하에 의한 것이다. 胃의 평활근긴장저하에 의한 위확장이나 장평활근이 풀려 분변배출력이 저한된 변비 또는 泥狀∼水樣便이 나타난다. 특히 배변시에는 꼬챙이 같은 것을 이용하여 변을 파내야할 경우가 많다. 분변은 장관내에 오래 정체되면 수분의 과잉 흡수 때문에 兎糞狀의 변이 된다. 이밖에 방광의 긴장력이 저하하면 다량의 尿를 저류하게 되고 수축력이 약해지므로써 배뇨의 회수도 줄어들어 한번에 많은 배뇨를 하게 되지만 배출되는 힘은 약하다. 소아나 노인에서는 괄약근의 기능저하로 실금할 때도 있다. 또 말초혈관의 저항이 약해지면 뇌의 허혈성증후도 보인다. 현훈 . 두부둔통 . 졸림 . 頭暈 . 권태무력감 . 꼼짝도 하기 싫은 증후가 이에 해당하는데 이 같은 상태를 [淸陽不升]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저혈압의 경향을 보이며 특히 최저혈압이 낮다. 뇌의 흥분성저하나 한선평활근의 긴장력이 저하하면 조금만 움직여도 땀이 나는 증상이 따른다(自汗). 중초가 허하므로 비위기허하여 음식물의 소화흡수기능이 불충분하면 후천지기의 공급이 안되어 [脾不統血]과 [氣虛發熱] 증상이 생긴다. 기허증에서 잘 보이는 소량으로 지속되는 출혈은 혈관벽 평활근의 긴장이 저하되거나 혈소판무력증 또는 소화기능의 저하에 따른 응고인자의 공급부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출혈을 [氣不攝血]이라고도 부른다. 월경주기의 단축이나 과다월경도 자궁근의 긴장저하나 혈액응고인자의 공급부족도 큰 요소가 아닌가 생각한다. 이런 상태가 오래 계속되면 항상 수족권태를 호소하고 몸이 무거워진다. 漢醫學에서는 [元氣가 귀할 곳을 잃으면 陽(氣)이 浮越하여 즉 發熱한다]고 하는데, 이것은기허상태 즉, 전신의 기능이나 대사가 저하됨으로써 자율신경계의 실조를 가져오고 이로 말미암아 기능적으로 열의 산생이 증대하여 발생하는 [기능성미열] 혹은 [체질성과온증]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때는 늘 피로하고 . 권태감 . 식욕이 없는 등 기허의 증후가 있으며 피로함으로써 열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氣虛發熱). 이밖에 기허한 자가 감기에 걸렸을 때의 발열도 이에 포함된다고 생각하며 역시 본방이 유효하다. 본방으로 치료하는 기허발열의 이론적 근거를 李東垣은 [비위기 內傷하면 그 기가 상한다. 외감풍한은 곧 그 형을 상하게 한다. 그 외가 상하여 부족하면 이를 보한다. 다만 辛甘溫劑로써 그 중초를 보하고 그 양을 승하게 하며, 甘寒으로 그 화를 사하면 나아진다. 《內經》에 이르기를 勞者는 이를 溫하고, 損者는 이를 益한다. 溫으로 덮으면 대열이 제거되며, 苦寒의 약으로 胃土를 瀉하는 것은 大忌이다. 그래서 지금 補中益氣湯을 마련하였다]라고 {內外傷辨惑論}에서 말하였다. 黃耆는 황색의 신약으로 으뜸되는 약이란 뜻이다. 黃耆는 중추신경의 흥분 . 강심 . 성호르몬 작용 등으로 전신대사를 촉진하여 이 결과 보기 . 승양 . 固表작용을 나타낸다. 실험적으로도 피부혈관확장과 혈행촉진으로 한선의 기능을 조정(止汗)함과 아을러 세포성면역능증강작용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黃耆는 升壓작용이 있다(소량에서는 血壓을 올리지만 30g이상에서는 血壓을 내린다). 감고온의 人蔘은 보기생진작용으로 脾와 肺를 보한다. 뇌의 흥분성을 높이고 소화흡수를 촉진하여 전신의 기능상태를 증강하여 대보원기한다. 人蔘과 黃耆의 보기작용을 비교해 볼 때, 人蔘이 보기 작용이 제일 우수하고 생진과 진정작용까지 있다. 黃耆는 보기작용은 좀 못하나, 固表 . 이수 . 지한작용이 있다. 白朮도 보기작용은 있으나 약하고, 건비이수작용이 있는 점이 특이하다. 감온의 白朮은 소화흡수를 촉진하여 소화관내 잉여수분을 尿로 배설하며, 人蔘 . 黃耆와 합하여 골결근 . 평활근 흥분성을 높여, 수족권태감을 고치는 주역을 한다. 감온의 炙甘草도 전신의 기능을 높이고 黃耆의 효능을 강화한다. 또 黃耆 . 白朮 . 人蔘은 當歸와 합하여 단백합성을 높이고 식욕을 증진하고 인체의 저항력을 기른다. 고한의 柴胡 . 甘辛寒의 升麻는 자율신경계에 작용하여 근긴장도를 높이 고 소량에서는 升提에 작용하여(대량에서는 해열작용) 黃耆 . 白朮 . 人蔘등의 補氣藥에 의한 근육의 흥분성을 높인다. 실험적으로도 人蔘 . 黃耆에 柴胡 . 升麻를 가하면 근긴장력이 현저하게 높아지고 지속시간도 연장됨을 볼 수 있다. 補血의 當歸는 자양강장과 순환촉진을 위하여 보조적으로 배합된 것이며, 補氣 . 升提의 약물이 燥性이란 점에서 진액소모를 막는다는 의미도 있고, 黃耆와 합하여 육아형성을 촉진한다. 보기약 중에 보혈약을 소량 넣는 것은 漢醫學의 [血爲氣母]에 해당된다. 陳皮 . 生姜은 위액분비와 연동촉진에 의하여 他藥의 흡수를 높이고 大棗는 제약을 조화하 여 消化를 높인다. 補氣藥을 주로 한 甘溫의 성미를 지닌 약물에 의해 해열한다는 데서 본방과 같은 해열효과를 [甘溫除熱]이라 한다. 이상과 같은 배합으로 본방은 전신권태와 대사작용 . 뇌흥분성을 강화하여 골격근 . 평활근 . 지지조직긴장력을 높여, 사지권태 . 무력감을 없앤다. 이와 동시에 본방은 소화흡수력을 촉진하므로 補氣(益氣)健脾(補中)한다. 본방의 특이한 약효의 하나는 기허발열에 잘 듣는 다는 점이다. 즉 보기약을 주로 한 감온성 약으로 보약이면서도 비위허약한 사람의 발열에 해열작용을 하는 특이한 처방이기도 하다. - 방제의 특징 ☞ 君藥 - 황기 : 益氣固表 ☞ 시호와 승마는 군약이 아니다. * 중기하함의 근본 : 昇陽擧陷 * 시호, 승마 = 발산작용 => 과량은 정기를 상할 수 있다. |
臨 床 | 脫肛 . 子宮脫에는 黃耆 . 升麻를 증량하고, 只角이나 只實 . 益母草 . 赤石脂(赤石脂湯)를 가하면 효과가 좋아진다.
출혈이 강할 때는 艾葉 . 阿膠 . 側柏葉 같은 지혈약을 배합한다. 氣虛의 발열에는 柴胡를 증량하고 黃芩 . 葛根을 가한다. 감기에 걸려서 열이 날 때는 蘇葉 . 桂枝(혹은 羌活, 白芷를) 등을 배합한다. 두통에는 蔓荊子 . 藁本 . 細辛 . 川芎 등을, 변비에는 麻子仁 . 大黃 등을 가한다. 혹은 麻子仁丸을 병용하여도 좋다. 산후의 체력회복에는 芎歸調血飮을 합방한다. 본방에 五味子 . 麥門冬을 가한 味麥益氣湯은 구갈이 있으면서 마른기침을 하고 도한이 심한 경우에 쓴다. 凉血에는 知母 . 黃栢을 가하고, 自汗에는 附子 . 麻黃根 . 浮小麥을 가하고, 이질로 인한 水腫에는 附子를 가하고, 鼻塞에는 麥門冬 . 梔子를 가하고, 遺尿症에는 山藥 . 五味子를 가하고, 이질후의 吃逆에는 附子 . 竹茹 . 生姜을 가하고, 滑泄에는 訶子 . 肉豆久를 가하고, 姙婦의 氣陷症(아랫배가 처짐)에는 升麻 . 防風을 가하고, 전신의 감각이 둔해지고 氣虛한데는 木瓜 . 烏藥 . 香附子 . 靑皮 . 川芎 . 防風 . 桂枝를 가하고, 肺寒證과 脫肛에는 訶子 . 樗根白皮를 가하고, 氣虛로 인한 小便不利에는 檳郞 . 木香 或은 車前子 . 澤瀉를 가하고, 裏急後重에는 木香 . 檳郞 . 黃連을 가하고, 氣虛 로 인한 潮熱에는 柴胡를 증량하고 別甲을 가하여 쓴다. - 배가 아플 때 : 백작약과 자감초 - 두통 : 만형자 - 자한 : 부자, 마황근, 부소맥 - 비색(鼻塞) : 맥문동, 산치자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은 유명한 명방이고 그 활용하는 범위도 넓은 데 그 응용 목표는 손발을 움직이기가 싫다, 말소리가 작다, 눈에 힘이 없다, 입안 에 거품이 생긴다, 음식 맛이 없다, 따뜻한 음식이나 물을 찾는다, 제상(臍上)에 동계 (動悸)가 있다, 맥은 홍대하고 힘이 없다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
參 考 | 東醫寶鑑을 보면 '濕熱과 煩熱을 治하는 聖藥, 自汗의 通治方'이라고 했으며, 여름철에는 補中益氣湯에 生脈散을 합하여 원기를 돋아주라고 되어 있다. 補中益氣湯은 계절에 상응하게 해준다.(조금만 추우면 몸이 얼어붙은 것 같고, 조금만 더우면 답답한 곳에 가거나 땀을 뚝뚝 흘리는 것도 계절에 상응하지 못한 것으로 본다) 또 먹는 것에 비해서 일을 훨씬 많이 할 때(勞倦傷으로 본다), 즉 피부에 주름이 많을 때 쓴다. 주
름이 많다는 것은 일을 많이 해서 津液이 고갈되어 쭈그러진 것이다. 특히 시골사람에게 많이 응용할 수 있다. 계절에 따라 가감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알레르기성 鼻炎도 계절 변화에 상응하지 못하여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렇게 가감하여 쓰면 잘 듣는다. <補中益氣湯의 季節加減法> 春 : 加 荊芥 防風 川芎 蘇葉 柴胡 薄荷 夏 : 加 葛根 石膏 麥門冬 薄荷 秋 : 加 羌活 荊芥 防風 冬 : 加 麻黃 桂枝 乾姜 또 남자가 여자같이 생겼을 때도 활용한다. 남자가 여자같이 생기면 착실하고, 꼼꼼하다, 그러면 많이 써먹게 된다. 먹는 것에 비해서 많이 써먹다 보면 勞倦傷이 올 가능성이 많다. 또 코가 들리고 눈 꼬리가 올라간 것은 中氣가 약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升陽시켜 주라'는 의미도 가진다. 여기에는 補中益氣湯이나 錢氏異功散을 활용하면 좋다. 허리가 약할 때는 知母 . 黃柏 . 白芍 . 牛膝 . 杜沖을 넣어 쓰면 좋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성격이 급하여 식사를 할 때도 너무 급하게 하고, 일을 할 때도 밥을 먹지 않고 일은 한다. 이 자체를 勞倦內傷이라고 한다. 만일 키가 큰 사람이라고 하면 뿌리는 약하고 잎만 무성하다는 뜻이다. 또 中氣가 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럴 때도 본방을 활용하면 된다. 여자가 남자같이 생겼거나, 남자가 여자같이 생겨도 勞倦內傷이 잘 온다. 나이에 비해 늙어 보이고, 주름살도 많고, 이런 것도 역시 많이 써 먹은 때문이다. 운동선수도 어떻게 보면 노동자라 할 수 있다. 가만히 있지 못하는 성질에도 本方을 쓸 수 있다. 주름살이 많은 사람은 노인이다. 그래서 노인들한테도 溫補시킬 목적으로 많이 활용하면 좋다. 노인이 小便短小(급하다는 뜻으로 보고 싶을 때 참지를 못하는 것, 小便頻數은 그냥 자주 보는 것)가 있을 때는 車前子 . 澤瀉를 가하여 쓰고, 便秘가 있을 때는 木香 . 檳郞을 가하여 쓴다. 원래 연세 드신 분들은 "팬티에 소변이 좀 묻지 않습니까?"고 물어보고 나도 시원치 않고, 다 보고 나서도 한 두 방울씩 떨어진다고 할 때는 却病延壽湯을 쓴다. 소변이 시원치 않으면 다리를 똑바로 못 걷는다. 일종의 津液이 세는 현상이기 때문에 다리도 말라 들어가 두 다리가 몸을 지탱하지 못한다(정주영씨). 위장도 허약하면 增損白朮散을 합방하면 좋다. 만약 膽體로 수척하고 검은 색이면 腎氣丸에서 澤瀉를 빼고 茯神 . 益智仁을 넣어 쓰면 좋다. 益智仁을 잊어서는 안 된다. 노인들은 대 . 소변을 좋게 해주면 치매도 다스릴 수 있다. 본방은 술에 상하여 頭痛이 있거나 嘔吐 . 眩暈이 있을 때도 쓸 수 있다. 내상으로 기가 허하여 眩暈이 있을 때 본방을 쓴다. 滋陰建婢湯도 기억하라. 內傷에 보기를 시킬 때도 본방이 기본이다. 注夏病에 쓴다. 生脈散을 합방하여 쓰면 좋다. 食後困倦에 쓴다. 만약 食後倒飽가 있을 때는 香砂六君子湯을 쓴다. 胃氣가 부족하여 능히 접속하지 못하여 딸꾹질이 날 때는 본방에 竹瀝 . 生姜 . 附子를 가하여 쓴다. 積聚가 있는 자가 元氣가 허약하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며, 四肢가 무겁고 나른하면 본방에 三稜 . 蓬朮 . 靑皮 . 香附子 . 吉更 . 藿香 . 益智仁 . 肉桂를 가하여 쓴다. 본방은 12經脈을 좋게 해주는 약이다. 그러므로 老人을 補養하는데 기본적으로 쓰인다. 少氣의 경우에도 본방이 쓰인다. 少氣의 특징은 ① 말이 힘차지 못하다 ② 눈동자가 총명하지 못하다 ③ 자꾸 했던 말을 반복한다 ④ 겁이 많다 ⑤ 얼굴이 창백하다 ⑥ 말소리가 가늘다. 아이들을 보면 등을 반듯하게 세우고 앉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구부정하게 않는 아이들이 있다. 억지로 펴게 하면 금방 다시 구부정하게 된다. 이것은 복부의 율동(호흡)이 안되어서 오는 발현상이다. 이런 아이들한테 말을 시켜보면기어 들어가는 소리가 겨우 대답을 한다. 이것 역시 少氣로 본다. 주로 본방이나 益胃升陽湯(女子), 獨蔘湯도 쓰인다. 無時로 땀이 날 때도 본방이 쓰인다. 즉 自汗의 聖藥으로 본방이나 雙和湯을 들 수 있다. 그럼 둘을 구분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雙和湯은 犯房傷寒에 쓰는 것으로 형을 보거나, 나이를 보거나, 기혼의 유무를 물어 보면 된다. 만약 地積象이라면(밑이 튼튼하여 Sex를 좋아한다) 雙和湯을 쓴다. Sex할 때 勃起는 안되고 진득진득한 땀만 난다고 하면 雙和湯을 쓰고, 그 외에는 본방을 활용한다. 黃耆建中湯도 기억해야 한다(사 내아이라면 등에서 땀이 더 많이 난다). 脾虛하여 運化하지 못하여 痰飮이 생기면 六君子湯에 竹瀝 . 姜汁을 가하여 쓰거나 본방에 竹瀝 . 半夏 . 姜汁을 가하여 쓴다. 胃가 약하고 혈이 말라서 月經이 나오지 않을 때는 본방에 川芎 . 生地黃 . 天花粉을 가하여 쓴다. 氣를 돋구면 血이 생하기 때문이다. 본방은 前陰에도 基本藥이라는 것을 잊지 말라. 莖中이 가렵고 自津이 나오는 증은 흔히 脾土가 부족해서 金水를 자생하지 못하여 肝經의 血虛와 火燥 때문이니 오전에는 본방을 오후에는 淸心蓮子飮을 쓴다. 交腸症(대변과 소변이 섞여 나오는 증)에 五笭散을 쓰고 본방을 쓴다. 물을 마시고 나서 바로 소변을 눌 때도 본방을 쓴다. 滑泄(氣가 下陷에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대나무 통에서 물을 확 품어내는 것 같은 설사)에는 본방에 白芍 . 訶子 . 肉豆久를 가하여 쓴다. 久泄의 원인은 흔히 眞陰이 부족하고 元氣가 下陷하여 생기는 증이니 本方과 四神丸을 써 그 본원을 자양하지 않으면 뒤에 반드시 胸痺와 淋證 . 腹脹 등증이 발생하여 不治하는 수가 많다. 陰挻 . 陰脫에도 활용한다. 窒 위에 조갯살 같은 것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肝脾가 鬱해서 그런 것이다. 交接出血에는 歸脾湯과 본방을 합방하여 쓰면 좋다. 脫肛은 본방에 訶子 . 樗根白皮를 넣어 쓴다. 虛火로 燥熱이 있어 입은 마르면서도 갈증이 없는 것은 人蔘地骨皮散이나 본방에 芍藥 . 黃柏을 넣어 쓴다. 본방에 黃柏3分 . 紅花2分을 가하면 心에 들어가 養血시킨다. 이 처방은 조잡증에 활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