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정보
處 方 名 | 승마갈근탕 升麻葛根湯 |
---|---|
出 典 | 閻氏小兒方論 |
分 類 | 解表劑 - 表熱 |
造 成 | 갈근 6g, 백작약, 승마, 감초(炙) 각 3g. |
用 法 | 생강 3片, 총백 2本을 가하고 물에 다려 수시로 복용한다. |
效 能 | 解肌透疹 |
適 應 症 | ◎ 마진(홍역)의 초기나 발진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때 눈이 충혈된다.
◎ 눈물을 흘린다. ◎ 재채기를 한다. ◎ 콧물이 난다. ◎ 기침을 한다. ◎ 약간의 오한이 있거나 열감이 있다. ◎ 열이 난다. ◎ 설사를 한다.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
解 說 | 본방은 解表劑로 분류되며 葛根湯에서 麻黃 . 桂枝 . 大棗를 빼고 升麻 . 蔥白을 가한 방제로 麻疹에 대한 기본처방이다. 解肌透表의 升麻 . 葛根, 補血의 白芍, 淸熱解毒의 生甘草로 구성되어 있다. 升麻 . 葛根은 경도의 발한 . 해열작용으로 [透疹]의 효능을 가지며 발진을 충분히 돋아나게 해서 경과를 단축하고 麻疹의 內功에 의한 폐해를 막는다(升陽散火). 白芍은 脾陰을 수렴하고 和營하여 발한과다를 억제한다. 白芍 . 葛根은 근육의 경련을 가라앉힌다. 蔥白 . 生姜은 衛氣를 조화한다. 生甘草는 소염 . 해독을 돕기 위해 가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이 升麻 . 葛根으로 발진을 충분히 돋아나게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또 白芍은 자윤과 升麻 . 葛根의 과도한 작용을 막기 위한 배합이다.
해기투진(解肌透疹) 작용이 있는 승마와 갈근, 보혈 작용이 있는 백작약, 청열해독 작용이 있는 감초로 구성되어있다. |
臨 床 | ◎ 한열이 왕래할 때에는 시호를 가하고, 열이 심하면 황금을 가한다.
◎ 마진의 초기에는 총백과 소엽류를 가한다. 마진(麻疹, 홍역)의 초기 또는 발진이 충분하지 않을 때에 쓴다. |
參 考 | 초기나 胃風으로 薄荷 . 荊芥 . 牛蒡子 . 蟬退 . 防風을 가하거나 消風散을합방하는 것이 좋다.
은疹風毒에는 山査 . 樺皮 . 金銀花 . 玄蔘 . 牛蒡子 . 犀角 . 荊芥 . 防風을 가한다. 傷寒인가 痘疹인가 의심될 때는 먼저 본방을 가감하되 食滯가 겸했으면 山査 . 陳皮 . 神曲 등을 더 넣고, 감기가 겹쳤으면 蘇葉 . 忍冬 등을 더 넣어 쓴다. 왕래한열에는 柴胡를 가하고, 麻疹초기에는 蘇葉을 가하고, 두통에는 川芎 . 白芷를 가하고, 열이 심할 때는 黃芩을 가하고, 身痛背强에는 防風 . 羌活을 가하고, 咽喉腫痛에는 吉更 . 玄蔘 . 連翹 등을 가하고, 胃虛食少에는 白朮을 가하고, 복통에는 芍藥을 가하고, 酒毒에는 梔子 . 柴胡 . 黃芩 . 黃連 . 木通을 가하고, 心火에는 黃連을 가하고, 肝火에는 梔子를 가하고, 肺火에는 黃芩 . 麥門冬을 가하고, 發疹이 충분치 않고 鮮紅色을 띨 때에는 白芍을 赤芍으로 바꾸고 牧丹 . 玄蔘 등을 가하고, 咳嗽에는 杏仁 . 前胡 등을 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