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화면사이즈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인삼양영탕 人蔘養營湯
出 典 和劑局方
分 類 補益劑 -氣血雙補劑
造 成 백작약 6g, 숙지황, 복 령, 오미자, 방풍 각 2.25g, 인삼, 황기 , 백출, 당귀, 진피 , 감초(炙), 육계 각 3g, 원지 1.5g.
用 法 생강 3조각, 대추 2개를 가하여 불에 달인 후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복용한다.
效 能 益氣養血, 安神定志
適 應 症 ◎ 비폐기허(脾肺氣虛),
◎ 영혈부족(營血不足)으로 놀라기를 잘하고 건망증이 있다
◎ 숨을 얕게 쉰다
◎ 번열하고 자한이 있다
◎ 식사를 적게 하고 음식 맛이 없다
◎ 몸이 피로하고 여윈다
◎ 얼굴색이 피지 않고 정신이 위축되어 있다
◎ 머리칼이 빠진다
◎ 팔다리가 침체되어 있다
◎ 허리와 등이 몹시 아프다
◎ 잠을 깊이 못 잔다
◎ 가슴이 두근거린다
◎ 기침을 한다
◎ 가래가 있다
◎ 팔다리가 차다 등의 증상 이 나타날 때.
解 說 본방은 氣血雙補劑로 분류되며 十全大補湯의 川芎을 빼고 收斂의 五味子 . 安神의 遠志 . 理氣의 陳皮를 가한 것에 해당한다. 혹은 十全大補湯에서 川芎을 빼고 陳皮 . 遠志 . 生麥散(五味子 人蔘 麥門冬)을 가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적응하는 병태는 十全大補湯은 기혈양허하고 허냉한데 쓰이나, 본방은 補肺生氣 . 生津(生麥散)과 안신(遠志)하는 힘이 강화되어 있다. 따라서 경쟁이 격심한 현대사회에 살다보니 신경성으로위장이 약한 사람이 심신과로한 결과 心血虛證(건망, 불면, 淺眠, 動悸, 驚悸)과 肺氣虛證(自汗, 惡寒, 모발탈락, 사지냉, 顔色無潤澤)이 되어 기혈양허 . 허로권태 . 자한 등이 보인다.
즉 계속적인 氣血兩虛로 기능이 저하하여 호흡기계의 기능저하와 순환부족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원전을 보면 [脾肺俱虛 發熱 惡寒 四肢倦怠 肢肉消瘦 面黃短氣 食少作瀉 驚悸 自汗 若 氣血虛而諸證現者]를 治한다고 되어 있다. 四君子湯加黃耆로 전신기능대사 . 면역능 . 소화기능 . 뇌흥분성을 촉진하여 보기를 먼저 하고, 그다음 脾虛하면 영양분(脾土之氣)가 상승하지 못하므로 자연 脾氣가 허약해져서 자한 . 喘咳 . 숨이 차고 . 구갈 . 권태로와 진다. 이를 보하는 것이 生麥散이다. 生麥散의 주약인 人蔘은 補肺生氣하고, 麥門冬은 潤肺淸心하고, 五味子는 斂肺生津한다.
끝으로 여기에 四物湯去川芎으로 滋養强壯하며, 肉桂로 혈행순환을 촉진하여 虛寒을 쫓는다. 桂枝는 發汗解肌 . 溫經通脈하나, 肉桂는 元陽(命門火)을 보하고 脾를 가온하여 積冷을 제거한다. 또 발한을 과하게 하여 血液의 고갈로 근육에 영양공급을 하지 못하여 筋척肉순하는 것도 다스린다. 收澁의 五味子는 진해 . 止汗작용을 갖는다.
또 五味子는 옛날부터 喘咳에 많이 쓰여진 약이며 국산이 제일 품질이 좋은 것으로 유명하다. 그 이름의 유래는 皮와 肉은 甘酸하고, 종자는 辛苦하고, 전체적으로는 鹹味하여 五味가 모두 구비되었다 해서 이름했다고 한다.
현대 약리학 시험에 의하면 중추신경과 호흡중추신경 흥분작용과 강심작용이 있다.
이것을 한방적으로 표현하면 斂肺 . 滋腎 . 生津 . 收汗 . 益氣이다. 즉, 平喘의 효능이 있기 때문에 허약자의 喘息에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安神의 遠志(辛苦溫)는 정신을 안정시키고 去痰의 효능도 갖는다. 기의 항진을 진정하고 기의 울적을 풀어서 건망불면 . 驚悸 . 해수객담 등을 주치한다. 흥분작용을 하는 川芎을 遠志로 대신했기 때문에(신온의 川芎은 기혈순행력이 어느 약보다 강하기 때문에 혈허자에게 쓰면 혈의 소모가 더 많아진다.
보통 위장이 약한 자에게 쓸 때는 川芎의 양을 줄이든가 빼는것이 상식이다.) 淺眠 . 多夢의 心血虛에도 적합하고, 또 止咳 . 化痰작용이 있는 遠志 . 陳皮 . 五味子를 배합함으로써 慢性咳嗽에도 적합하다. 陳皮는 연동을 촉진하여 他藥의 소화흡수를 증강시키고 去痰시킨다. 이상과 같이 제약의 종합적인 효과로 본방은 氣血兩虛를 十全大補湯 및 生麥散으로 보하고, 또 虛寒을 개선하며 동시에 安靜 . 鎭咳 . 去痰의 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본방은 기혈양허하여 虛寒 . 心氣虛 . 肺氣虛 . 脾氣虛한데 쓰는 좋은 보약이다.

-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去천궁 + 오미자, 원지, 진피 기허(氣虛), 혈허(血虛)를 보(補)함 오미자 : 염음(斂陰), 진해, 보익(補 益) 진피 : 건위, 거담, 진토 원지 : 진정, 거담

- 십전대보탕의 효능 + 염한고표(斂寒固表)- 황기, 오미자 + 안신정지(志) - 원지, 복령

- 이 방제는 천궁을 거하여 행혈을 억 제하게 하였고, 진피를 가하여 행기하 게 함.(보기제에 행기제를 가하지 아니하면 기허가 심할 경우에는 기가 약하여 움직여 주지 아니하고, 보혈제에 행혈약을 쓰면 혈허가 심할 경우 에는 혈이 없어 피가 돌지 않는다.)

- 四君子湯加黃耆 : 보기 작용의 증강 四物湯去川芎 : 자양강장 황기, 육계 : 이허한(裏虛寒)을 제거 오미자, 원지, 진피 : 진해, 거담

- 기혈양허(氣血兩虛)와 허한(虛寒)을 개선하고 정신안정, 진해, 거담작용 을 나타내도록 한 방제.
臨 床 ◎ 기허다한하면 黃耆를 증량하고, 기허로 설사하면 人蔘을 증량한다.
◎ 血虛枯燥로 변비가 있으면 熟地黃 . 當歸를 증량하고 白朮을 줄인다.
◎ 동통에는 桂枝 . 薏苡仁 . 牛膝 . 杜沖 . 木瓜를 가한다.
◎ 불면이 심할 때는 茯神 . 酸棗仁을 가하고, 신경성이 심하면 柴胡 . 靑皮 . 香附子를 가한다.
◎ 遺精이 있으면 龍骨을 가한다.
◎ 허약감기에는 桂枝 . 羌活 . 防風 . 葛根 . 柴胡 등을 가한다.
◎ 기침이 심하면 貝母 . 百合 . 杏仁 . 阿膠 등을 가한다. 遺精이 있으면 龍骨을 가한다.
參 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