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화면사이즈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청심련자음 淸心蓮子飮
出 典 利劑局方
分 類 補益劑 -補陽劑
造 成 연자 6g, 인삼, 황기, 적 복령 각 3g, 황금, 차전자, 맥문동, 지골피, 감초 각 2.1g
用 法 물에 달여 복용한다.
效 能 益氣陰, 淸心火, 利濕濁
適 應 症 심화망동(心火妄動), 기음양허(氣陰兩虛), 습열하주(濕熱下注)
◎ 불안, 초조, 불면, 다몽(多夢)
◎ 입과 인후의 건조감, 구내염, 동계(動悸), 수장번열(手掌煩熱), 심번(心煩) 등의 심화왕(心火旺) 증후에,
◎ 원기가 없다
◎ 피로하다
◎ 팔다리가 권태롭다
◎ 기력이 없다
◎ 식욕이 없다 등의 기허증을 수반하고,
◎ 요량감소
◎ 농축뇨
◎ 빈뇨
◎ 배뇨통
◎ 잔뇨감 임탁(淋濁)
◎ 유정(遺精)
◎ 혈붕(血崩)
◎ 대하(帶下)
◎ 부정성기출혈 등이 보일 때.
解 說 본방은 補陽劑로 분류하였는데 이는 조제지침서의 잘못이다.
본방은 [上盛下虛]증을 목표로 하여 주로 만성화된 비뇨기계 질환에 쓰는 방이다. 上盛下虛라 함은 상부의 심열이 왕성해짐에 따라 상하조화가 깨져 하초 腎의 기능이 약화되고 비뇨기에 병적증상을 나타내는 일종의 氣虛淋에 속한다.
즉, 요의빈삭 . 배뇨통 . 잔뇨감 . 요혼탁 . 遺精 등 만성방광염 . 만성신우염 . 대하 . 만성임질 등에 주로 사용된다. 본방은 보기건비를 주체로 하고 生津 . 이수 . 안신 . 청열을 합작시킨 처방이지만, 보기생진하는 氣陰雙補劑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원전의 기재는 복잡하여 [心勞에 의한 躁急 . 우울 . 淺眠 . 多夢 . 수족작열감 . 구갈 . 多飮 . 사지이완감과 아울러 배뇨통 . 배뇨곤란 . 농축뇨 . 대하 등에 적용한다]고 되어 있다.
이것들은 心陰虛에 의한 증후로 병태의 주체는 陰虛라는 것을 시사한다. 본방은 심화를 청해하고(淸心)신기를 자음하는(益腎)의 蓮肉이 주약이다. 이에 보기건비의 人蔘 . 黃耆 . 甘草, 補陰의 麥門冬, 청열의 黃芩, 청허열의 地骨皮, 利水의 茯笭 . 車前子로 구성되어 있다. 적응하는 병태는 소하흡수기능과 전신기능의 저하와 함께 탈수 . 이화작용항진 . 자율신경계 및 뇌흥분성의 증대등 상성증에 기인하여 하초허 즉 방광괄약근의 긴장과 이완의 실조 . 탈수에 따르는 농축뇨와 뇌흥분 때문에 요로가 자극된 것으로 생긴 것이라고 볼 수 있다. 遺精은 뇌의 흥분성 증대로, 부정성기출혈은 氣不攝血(脾不統血)로 발생한다. 감평의 蓮肉은 蓮의 子實을 건조한 것으로 蓮子라고도 한다. 蓮肉은 심화를 청해하여 정신안정과 자양강장작용을하여 뇌의 흥분성을 진정시키고 몸을 자윤한다.
심화가 왕하므로 신음이 부족(心腎不交)되어 수면시 불안 . 번조 . 동계 . 口乾 . 몽정 . 尿濃 등 허상을 나타낸다. 蓮肉은 이런 심화를 청열시키는 동시에 腎陰을 자윤하는 淸心益腎작용이 있다. 일종의 흥분성 신경쇠약을 진정하는 것이다. 흥분성이 심할 때는 진정작용이 강한 蓮心을 쓰는 것이 좋다. 고한의 蓮心은 같은 연실의 胚芽 만을 말한다.
하지만 고가이고 구입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고한의 黃芩은 진정 . 해열 . 강압작용을 가지며 뇌흥분성을 진정한다. 감한의 地骨皮는 枸杞子의 근피로 캐낸 즉시 썰어서 말려야 한다. 주로 소모성 발열이나 허열을 꺼주는 작용이 있으나, 감기와 같은 열에 쓰는 해열제는 아니다. 地骨皮는 주로 허로성 폐열(폐결핵)로 인한 潮熱 . 도한 . 해수 . 번열 . 토혈 . 惡瘡을 治한다. 고인은 [地骨皮는 有汗骨蒸을 治하고, 牧丹皮는 無汗骨蒸을 治하는 陰虛火淸熱凉血劑]이라 했다. 甘苦寒의 麥門冬은 자음강장작용으로 체액을 자윤하고 강심에도 작용하며 이화작용의 항진에 의한 심화을 진정한다. 補氣의 人蔘 . 黃耆 . 甘草는 소화흡수를 촉진하여 전신의 기능을 높이고 타약의 효능을 보조하며, 출혈을 방지한다.
또한 造血과 육아생성작용으로 신체의 진액을 보존하여 자윤을 한다. 감평의 茯笭은 위장기능을 조정하여 위장내 정수를 혈중으로 흡수하여 배설하므로 소화흡수를 촉진하고, 진정작용도 한다. 감한의 車前子는 청열이수작용이 있어서 소염이뇨제로 널리 응용되며 약간의 滋養작용도 가진다. 즉 人蔘 . 麥門冬 . 甘草와 안신의 蓮子 . 茯笭으로 心陰虛를 개선하고 체액을 자윤하며, 다시 이수의 茯笭 . 車前子 . 黃耆로 尿를 희석하여 고침투압의 자극을 억제하고 요량을 늘여 요로계의 자극성을 풀어준다. 단, 소염효과는 강하지 못하여 요로계의 심한 염증에는 적합하지 않다. 만성질환이나 급성질환의 회복기에 氣陰兩虛가 생겨 배뇨이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하면 좋다.

- 심화(心火)가 망동(妄動)하여 기음(氣陰)이 부족하고 심신(心腎)이 불교 하여 습열(濕熱)이 하주(下注)하기 때문에 생기는 증상에 대하여 심화(心 火)를 내리고 기음(氣陰)을 보익(補益)하며 습탁(濕濁)을 이(利)하게 하는 부정거사법(扶正祛邪法)을 이용하고 있다.
臨 床 ◎ 요도염으로 인한 배뇨통.
◎ 혈뇨에는 木通. 石斛을 배합하여 청열진통작용을 하고, 하리에는 白朮을 배합하여 지사작용을 하고, 甘菊 . 決明子를 배합하여 眼目충혈 . 동통을 治하고, 대하에는 山藥 . 蒼朮을 배합하고, 咳痰에는 杏仁 . 吉更을 배합해서 쓴다. 구갈 . 咽乾 등이 심하면 石斛, 玉竹, 天花粉, 生地黃을 가하고, 불안 . 動悸 . 불면 등 心火旺의 증상이 심하면 蓮心 . 竹葉 . 黃連 . 梔子나 酸棗仁 . 遠志 . 百合 등을 가한다.
◎ 열 : 시호, 박하
參 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