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정보
處 方 名 | 연령고본단(환) 延齡固本丹(丸) |
---|---|
出 典 | 萬病回春 |
分 類 | 補益劑 -補陽劑 |
造 成 | 천문동, 맥문동, 생지황, 숙 지황, 산약, 우슬, 두충 (去皮, 薑酒炒), 파극, 오미자, 구기자, 산수유, 백복령, 인삼 , 목향, 백자인 각 60g, 촉초, 석 창포, 택사 각 30g, 원지(甘草水泡, 去心), 육종용 각 120g, 복분자, 차전자, 토사자, 지골피 각 45g |
用 法 | 이상을 고운가루로 하고 술을 섞은 풀로 오동자 크기의 환을 만들어 매 80 환을 공복에 따뜻한 술로 복용한다. |
效 能 | 補肝腎, 補陰陽氣血 |
適 應 症 | ◎ 오로칠상(五勞七傷),
◎ 모든 허손증(虛損證)으로 얼굴빛이 초췌해지고 ◎ 몸이 여위며 중년에 양위증(陽 證)이 오고 정신적인 피로감이 있으며, ◎ 수염과 머리칼이 일찍 희어질 때 눈이 잘 보이지 않고 ◎ 허리에 힘이 없으며, 정신 이 늘 맑지 않고 손발을 쓰지 못하며, 다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아플 때 소장산기(小腸疝氣)가 있고, 부인들이 임신을 못하며 하초(下焦)의 원기(元 氣)가 허냉할 때 |
解 說 | 본방은 補陽劑로 분류되며 음혈과 腎精 . 腎氣를 보하는 玄兎固本丸에 흰머리를 검게하는 草還丹과 신음을 보하는 六味丸에서 牧丹을 뺀 것, 심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는 定志丸에서 朱砂를 뺀 것 등을 합한 처방이다. 天門冬 . 熟地黃은 精을 보하고, 生地黃 . 麥門冬은 心血을 보하며, 人蔘은 원기를 보하여 血을 돕고 生津하며 安神한다. 兎絲子 . 肉從蓉 . 巴戟 . 枸杞子는 주로 肝腎을 보하여 補精 . 强精작용을 하고 陽萎症을 낫게 한다. 石菖蒲 . 遠志 . 柏子仁은 心을 자양하고 安神하며 기억력을 좋게 한다. 杜沖 . 牛膝 . 覆盆子 . 車前子는 精髓를 보하여 腰膝을 강화하고 눈을 밝게 한다.
地骨皮는 허열을 없애고, 山藥은 肺陰을 보하며, 山茱萸 . 五味子는 肝腎을 보하고 固精한다. 茯笭 . 木香 . 川椒는 비위의 기능을 도와 소화흡수를 촉진한다. 澤瀉는 腎熱을 끄고 이뇨작용을 한다. 노화를 막는 데는 확실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된 처방이다. - 방의 : 현토고본환 + 초환단 + 육미환거목단피 + 정지환 ◎ 현토고본환 : 토사자, 숙지황, 건지 황, 천문동, 맥문동, 오미자, 백복신, 산약, 연육, 인삼, 구기자 ⇒ 음혈(陰血), 신정(腎精), 신기(腎氣)를 보함. ◎ 초환단 : 생지황, 지골피, 원지, 석 창포, 우슬, 토사자 ⇒ 백발을 검게 함. ◎ 육미환(六味丸) : 신음(腎陰)을 보함. ◎ 정지환 : 석창포, 원지, 인삼, 복령 , 주사 ⇒ 보심영심(補心寧心) - 처방의 구성 ◎ 파극, 육종용, 두충, 우슬 ⇒ 보간신(肝腎), 강근골(筋骨) ◎ 천문동, 복분자, 숙지황 ⇒ 보신음, 명목, 흑발 ◎ 맥문동, 생지황 ⇒ 보심혈(心血) ◎ 백자인, 석창포, 원지 ⇒ 보심기 (心氣), 영심안신 ◎ 인삼, 산약 ⇒ 폐(肺)와 비(脾)를 보하며 ◎ 목향, 천초 ⇒ 소화 ◎ 지골피, 택사, 백복령 ⇒ 제습열(濕熱), 이뇨 ◎ 감초 ⇒ 약성(藥性)을 조화한다. - 토사자, 육종용, 천문동, 맥문동, 우슬, 생지황, 숙 지황은 술에 축여 볶은 것 을 쓰고, 두충, 감초는 생 강즙에 축여 볶은 것을 쓴다. |
臨 床 | 부인은 당귀, 적석지를 가한다. |
參 考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