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정보
處 方 名 | 육울탕 六鬱湯 |
---|---|
出 典 | 丹溪心法 |
分 類 | 理氣劑 |
造 成 | 향부자 6g, 천궁, 창 출 각 4.5g, 진피, 반하(제) 각 3g, 적복령, 치자 인 각 2.1g, 사인, 감초 각 1.5g |
用 法 | 생강 3조각을 가하고 물에 달여서 따 뜻할 때 복용한다. |
效 能 | 理氣解鬱, 和胃化濕 |
適 應 症 | ◎ 여러 가지 울화(鬱火)로 우울하다
◎ 초조하다 ◎ 가슴과 배가 꽉차서 답답하다 ◎ 옆구리가 결린다 ◎ 배가 아프다 ◎ 트림이 난다 ◎ 구토한다 등의 기체 (氣滯)의 증후에 입맛이 없다 ◎ 입이 끈적거린다 ◎ 메스껍다 ◎ 신물이 올라온다 ◎ 가슴앓이가 있다 등의 습열(濕熱) 증후를 수반하면서 오심, 구토 등의 담습(痰濕)증후가 심할 때. |
解 說 | 본방은 理氣劑로 분류되며 越菊丸에 半夏 . 陳皮 . 茯笭 . 砂仁 . 只角 . 貝母 . 蘇葉 . 連翹 . 甘草를 가한 것, 혹은 香蘇散에 梔子 . 川芎 . 神曲 . 連翹 . 茯笭 . 貝母 . 只角을 가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본방은 氣 . 血 . 痰 . 火 . 濕 . 食의 六鬱에 대한 처방이라고는 하나 기본은 理氣이다. 적응하는병태는 자율신경긴장이나 항진으로 위장평활근 긴장이나 연동 異常때문에 소화흡수가 순조롭지 않고 gas의 정체나 점막의 충혈과 가벼운 염증을 일으킨 상황이라 생각한다. 월경통도 자율신경긴장에 따르는 자궁수축으로 발생한다. 주약은 理氣解鬱의 香附子로 蘇葉과 함께 氣鬱을 풀어준다(肝氣鬱結을 완화). 芳香化濕의 蒼朮은 健胃작용으로 소화관내의 水分을 제거한다. 梔子는 利膽작용을 보조하는 이외에 염증(連翹와 함께 火鬱을 풀어 줌)을 가라앉힌다. 半夏 . 陳皮 . 砂仁으로 制吐 . 健胃작용을 강화하고 茯 과 蒼朮로 利水하여 痰濕(濕鬱)을 없앤다. 理氣活血의 川芎은香附子와 함께 자궁수축을 억제하여 월경통을 멎게 한다. 蒼朮 . 香附子 . 川芎 . 蘇葉에는 진정작용이 있어 자율신경과항진을 억제한다. 香附子 . 川芎 . 蘇葉으로 行氣解鬱(氣鬱)을 도모하고, 蒼朮 . 陳皮는 理氣化濕한다. 蒼朮 . 神曲은 食積(食鬱)을 풀어준다. 理氣의 只角(川芎과 함께 血鬱을 풀어 줌)은 위장의 연동을 촉진하여 복부팽만감 . 복통 등을 제거한다.蘇葉과 陳皮는 去痰과 함께 오심. 구토를 멈춘다. 貝母는 氣道의 분비를 억제하여 喀痰(陳皮와 함께 痰鬱을 풀어 줌)을 자윤시키고 가슴에 열이 있을 때 心肺를 맑게 한다. 連翹는 十二經을 순행하여 鬱火를 열어주고 梔子와 함께 열을 없애준다. 여기에서 風寒을 말하지 않는 것은 風寒이 鬱하면 熱化하여 熱鬱(火鬱)이 되기 때문이다. 즉 火鬱에는 梔子 + 連翹, 濕鬱에는 茯笭 + 蒼朮, 氣鬱에는 香附子 + 蘇葉, 食鬱에는 蒼朮 + 神曲, 痰鬱에는 貝母 + 陳皮가 작용하니 기억해 두면 편하다. ◎ 월국환(越鞠丸)에서 신국을 빼고 반하, 진피, 복령, 축사, 감초를 가한 방제 ◎ 월국환(越鞠丸)의 적응증에 오심, 구토 등의 담습의 증상이 강할 때 쓴다. ◎ 월국환(越鞠丸) 기(氣), 혈(血), 화(火), 습(濕), 담(痰), 식(食)의 육울(六鬱)을 치료하는 방제. ◎ 이상과 같은 월국환(越鞠丸)의 방증에 담습(痰濕)의 증후가 강하여 신국을 빼고 반하, 진피 , 복령, 축사, 감초를 가하여 기(氣)를 운행시키고 담습 (痰濕) 을 제거시키도록한 것이 이 방제이다. |
臨 床 | ◎ 氣滯에 의해 팽만감 . 복통이 심할 때는 木香 . 鬱金 . 烏藥 등을 가한다.
◎ 焦燥 . 憂鬱感 . 易怒등 肝氣鬱結의 증후가 심하면 柴胡 . 白芍을 가한다. ◎ 지속성으로 심한 동통등 血瘀의 증후가 있으면 桃仁 . 紅花를 배합하고, 악취성의 트림과 舌苔가 두터운 등 食滯가 뚜렷하면 麥芽 . 山査를 가한다. ◎ 오심 . 구토가 심하면 厚朴을 가하고, 口苦 . 口渴등 열증이 심하면 黃連 . 竹茹를 가한다.(일반적인 처방은 香附子 蒼朮 神曲 梔子 連翹 陳皮 川芎 赤茯笭 貝母 只角 蘇葉各4.0 砂仁 甘草2.0 生姜3이다.) ◎ 參考로 入門의 加減법을 보면 ◎ - 기울(氣鬱) : 목향, 빈랑자, 오약, 자소엽 - 습울(濕鬱) : 백출, 강활, 방기 - 열울(熱鬱) : 황련, 연교 - 담울(痰鬱) : 남성, 괄루인, 해분 - 혈울(血鬱) : 도인, 목단피, 구즙 - 식울(食鬱) : 산사자, 신국, 맥아 |
參 考 | 越菊丸(行氣解鬱) : 蒼朮 香附子 川芎 神曲 梔子各等分(胸膈脹悶, 脘腹脹滿, 呑酸嘔吐, 飮食不和) - 본방은 六鬱증상을 치료하는데 氣鬱을 위주로 하며 간과 비장과 관계된다. 肝은 조달하는 것을 즐기고 억울되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만일 사려가 지나치면 간기가 울체되므로 흉격이 막힌 듯이 답답하고 상쾌하지 못하다.
간장은 혈을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간기가 울적되면 간혈에 영향을 주어 간혈울적으로 흉협부에 고정된 통증이 나타나고 바늘로 찌른 듯 아프며 간과 담은 같이 붙어 있으며 담은 相火가 거주하는 곳으로서 간기울결로 영향을 받아 痰火가 울체되면 신물을 토한다. 氣 . 血 . 火 三鬱의 근원이 간과 담에 있다. 간의 질병은 쉽게 비장에 전달되는데 비장은 운화기능을 주관하고 건조한 것을 좋아하고 습한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간기가 울결되어 소설기능이 실조되면 비장의 운화기능에도 영향을 주어 비장이 습기를 운송하지 못하여 습이 생기고 濕鬱이 없어지지 못하고 모여 痰이 되어 痰鬱로 변한다. 비허로 운화기능이 실조되면 食鬱이 나타나고 飮食不消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濕 . 痰 . 食 세 가지가 중초에 울체되며 병은 비 . 위장에 있게 된다. 본 처방은 六鬱證을 치료하지만 기울치료를 위주로 하며 병의 근원은 간과 비장에 있게 된다. 치료시에는 육울증을 行氣解鬱法으로 약을 쓰니 기가 통하고 혈이 통하므로 痰 . 火 . 濕 . 食 등의 울적이 자연적으로 제거된다. 처방중의 香附子는 行氣解鬱散結의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氣鬱을 치료하므로 군약으로 사용되고, 臣藥으로 川芎을 사용하여 행기활혈 작용으로 血鬱을 치료하며, 梔子의 청열사화 . 除煩 작용으로 火鬱을 제거하고, 蒼朮의 건비조습작용으로 脾臟을 건전하게 하므로 습기가 사라져 濕鬱을 제거하며 神曲은 소식도체 작용이 있으므로 食積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렇게 다섯 약으로 六鬱울 치료하는데 氣鬱인 때에는 濕이 모이며 담이 생기고 담은또 기에 따라 승강하므로 기의 기능이 순통하여 五鬱이 제거되면 痰鬱도 함께 제거되기 때문에 본 처방에서 담을 제거하는 약재를 더 가하지 않아도 "痰을 치료하려면 기를 먼저 다스리고 기의순행이 순조로우면 痰은 자연 제거된다"는 말의 도리에 부합되는 것이다. 만일 기울이 심한 편이면 香附子를 위주로 하면서 木香 . 檳郞 . 靑皮 . 烏藥 등을 가해 行氣解鬱하고, 血鬱이 심하다면 川芎을 위주로 하고 桃仁 . 紅花 . 丹蔘을 가해 활혈하며, 火鬱이 심하면 蒼朮을 위주로 하고 黃連 . 靑黛 . 黃芩을 가하여 청열하여야 하며, 濕鬱이 심하면 蒼朮을 위주로 하고 茯笭 . 澤瀉 .薏苡仁을 가해 利濕하여야 하며, 食鬱이 심할 때에는 神曲을 위주로하여 麥芽 . 山査 . 砂仁을 가해 消積化食하여 야 하며, 痰鬱이 심할 때는 南星 . 瓜蔞仁 . 半夏를 가하여 痰을 제거하여야 한다. 단 본 처방이 치료하는 모든 울증은 모두 실증에 속하므로 허증의 울체에는 단독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기허가 심한자는 주의하여 써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