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처방정보

處 方 名 온경탕 溫經湯
出 典 金궤要略
分 類 活血祛瘀劑 - 溫經散寒
造 成 오수유 3g, 당귀, 천궁 , 작약, 인삼, 계지 , 아교, 목단피, 감초 각 2g, 반하 5g, 맥문동 10g, 생강 0.3g
用 法 물을 가하여 달이고 온복(溫服)한다.
效 能 溫經散寒 補血調經 養血去瘀
適 應 症 하초허한(下焦虛寒)과 어혈조체(瘀血阻滯)로 인하여 기운이 없고 냉증이 있으며, 빈혈성인 부인이 입술이 마르고, 손바닥이 뜨겁고 아랫배가 차며 팽 만감이 있을때. 냉기가 윗쪽으로 올라오고 월경불순, 대하, 자궁출혈, 불임 증, 지장각화증이 있을 때
解 說 본방은 活血祛瘀劑로 분류되며 調經散 또는 千金調經散이라고도 한다. 본방은 이름 그대로 調經의 처방이며 기혈허로 虛寒性鬱血이 하체(골반내)에 울체되어 생긴 모든 부인병에 자주 쓰인다. 원전을 보면 [瘀血在少腹不去]라고 명시되어 있고, 또한 본방은 소음병에 속하는 부인잡병문에 들어 있다(소음문에 들어있는 것으로 보고 소음인에게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약재의 구성으로 보면 태음인약이며, 또 태음인에게 잘듣는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본방은 보혈과 온경산한에 중점을 두고 驅瘀血을부수적으로 하는 芎歸膠艾湯의 가감방이라고 보아야 한다. 다만 처방내용이 복잡 즉, 當歸建中湯 . 當歸四逆加吳茱萸生姜湯 . 當歸芍藥散 . 麥門冬湯 등의 방의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적절히 가감하여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응하는 병태는 [下焦虛寒] [血瘀] [血虛] [上熱]등으로 복잡한 편이다. 原典에 따르면 上熱下冷에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기혈이 허하여 영양실조상태가 계속되다 보니 허한으로 下焦 골반내의 동맥에 혈액순환이 불량하여져지고 이로 인하여 血瘀(정맥측의 허한성 혈울체)가 생긴 것이다. 이와같은 골반내 혈행장에는 여러 가지 하냉증상(하복냉 . 팽만불쾌감 . 하복통 . 부정성기출혈 . 무월경 . 수족마비 등)의 유인이 된다. 혈허와 하복부의 혈울체는 자궁이나 난소기능과 자율신경실조를 자져오고, 반사적으로 상부에 陰虛火旺證(허열)을 일으키게 된다. 즉 음허화가 상행하여 구순건조 . 수장번열 . 오후열감등 상열증이 있음이 특징이다. 현대 의학적으로 해석하면 주로 골반내의 순환장해로 난소 . 자궁 등의 기능실조가 생기며 전신전인 영양장해나 자율신경실조 . 이화작용항진(陰虛火旺)이 일어난 것이다. 부정성기출혈은 주로 血瘀에 의한 것이다. 월경의 지연은 血瘀 . 血虛 . 虛寒에, 월경이 빨라지는 것은(先期)는 氣虛에, 월경양이 줄어드는 것은 血瘀 . 血虛에, 월경량이 많아 지는 것은 氣虛에, 무월경 . 불임은 血虛 . 血瘀 . 虛寒에 각각 관련된다고 한다. 이상과 같이 본방이 적응하는 월경이상은 불임 . 부정성기출혈 . 월경지연 . 월경과소 . 무월경이 주가 된다고 생각된다.
방중의 當歸 . 芍藥 . 川芎은 혈허를 치하고, 麥門冬 . 阿膠는 枯燥한 혈액을 자윤하고, 人蔘 . 甘草 . 生姜은 기허를 보하고, 吳茱萸 . 生姜 . 桂枝 . 當歸는 한냉을 제거하여 신체를 따뜻하게 보온하고, 牧丹皮 . 當歸는 驅瘀血하고, 桂枝 . 生姜 . 半夏 . 麥門冬은 陰虛火가 상역한 상열증을 治한다. 主藥은 溫經散寒의 吳茱萸 . 桂枝이다. 苦溫의 吳茱萸는 溫經散寒한다. 중추신경을 흥분시켜한냉성 기상충을 下氣하고 지통도 한다. 신온의 桂枝는 혈행촉진으로 吳茱萸와 같이 온경산한하고, 한냉성 기상충 . 상열증을 하강한다. 또 生姜과 합하여 혈관확장과 혈행을 촉진하고 진통에 작용하며 신체를 溫하게 하고 冷을 제거한다. 當歸 . 川芎 . 牧丹은 혈관을 확장하여 정맥의 울혈을제거하고 자궁근 수축을 조정한다. 특히 辛寒의 牧丹은 혈열을 냉각시키면서 혈행을 촉진하는 구어혈약이다. 桂枝와 같이 쓰면 혈행촉진효과가 일층 강화된다. 當歸 . 白芍 . 阿膠 . 麥門冬은 영양자윤한다. 阿膠는 조혈작용을 하며 또 칼슘분이 있어 지혈작용을 하며 麥門冬과 함께 血燥를 潤하게 한다. 人蔘 . 甘草 . 生姜 . 半夏는 소화흡수를 촉진하고 위장의 연동을 조정하여 타약의 효능을 보조한다. 감한의 麥門冬은 생진자윤작용으로 이화작용의 억제한다. 특히 淸肺潤燥力이 강하여 진해작용도 한다. 白芍은 진경작용의 억제에 의해, 牧丹은 소염효과에 의해 각각 상부의 열증을 풀어준다.
요약하면 본방은 溫經散寒과 補血에 중점을 두며 구어혈(活血化瘀)는 보조적으로 하는 어혈을 제거하는 처방이기 때문에 실제 임상적으로 투약할 때는 적절한 가감이 필요하다.

- 이 증은 충임허한증(衝任虛寒證)에 속하고 발병원인은 瘀血의 阻滯에 있음.

▷ 월경은 충임맥(衝任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월경이 앞당겨지는 증은 熱證에 속하고, 월경이 미루어지는 증은 한증 (寒證).
* 월경이 늦어지고 아랫배가 냉하면서 아프면, 충임맥이 虛寒한 것임.
* 그 원인에는 두가지가 있다. ① 자궁이 허한한 경우 ② 瘀血이 阻滯된 경우
▷ 瘀血이 조체 ⇒ 생혈(生血)이 안됨 ⇒ 건조, 수장번열(手掌煩熱)이 옴.
☞ 오수유, 계지 : 經脈을 온화(溫化)시킴 ⇒ 寒性인 복 통에 효과 좋음.
☞ 당귀, 작약, 아교 : 보혈조간(補血調肝)
☞ 인삼, 맥문동, 감 초, 반하, 생강 : 생기조위(生氣調胃)
⇒ 기혈(氣血)의 생화자원(生化資源)을 보충시켜줌.
☞ 천궁, 목단피 : 계지를 도와 활혈행어(活血行瘀)함.
☞ 목단피 : 虛熱에 의한 手掌煩熱 을 없애며, 瘀를 제거하여 입술과 입안의 건조증은 제거된다.
☞ 계지와 목단피를 같이 쓰면 活血작용을 증가시 키면서도 寒性 또는 熱性으로 치우치는 폐단을 없애는 장점이 있다.
臨 床 冷과 복통등 下焦의 虛寒이 심할 때는 桂枝 . 生姜을 肉桂 . 乾姜을 바꾸고, 小茴香 . 艾葉 등을 가하며, 동시에 淸熱의 牧丹과 麥門冬을 빼는 것이좋다.
복부팽만과 동통등 氣滯가 뚜렷하면 香附子 . 烏藥등 이기제를 가한다.
生理色이 검고 덩어리가 섞이며 월경통이 심하는 등 血瘀의 증후가 심할 때는 阿膠를 빼고 白芍을 赤芍으로 바꾸며 桃仁 . 紅花등을 배합한다.
수장번열 . 열감 . 逆上 . 口脣건조등 陰虛火旺이 심할 때는 吳茱萸 . 桂枝 . 生姜 . 半夏를 빼고 生地黃 . 女貞子 . 旱蓮草 등을 배합한다.
不正性器출혈에서 지속성이며 색깔이 엷고 . 허리가 나른한 등 腎虛를 보이는 것에는 熟地黃 . 杜沖 . 續斷을 가하고 淸熱凉血의 牧丹을 益母草나 艾葉으로 바꾼다.
月經不順이 심할 때는 香附子와 益母草를 가하고, 氣虛에는 人蔘을 2배로 가한다.
參 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