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방정보
處 方 名 | 청금강화탕 淸金降火湯 |
---|---|
出 典 | 古今醫鑑 |
分 類 | 祛痰劑 -潤燥化痰 |
造 成 | 진피, 행인 각 4.5g, 적복령, 반하, 길경 , 패모, 전호, 괄 루인, 황금, 석고 각 3g, 지각, 감초 0.9g |
用 法 | 생강 3편을 가하여 물로 달여서 공복 에 복용한다. |
效 能 | 淸肺降火·和痰止咳 |
適 應 症 | ◎ 폐위(肺胃)의 화울(火鬱)로 인하여 기침하고,
◎ 숨이 가쁘고, ◎ 가래는 적으나 누렇고 끈적끈적하며, ◎ 목구멍이 답답하고 얼굴색은 붉으며, ◎ 구갈이 있다 등 의 증상을 보일 때. |
解 說 | 본방은 祛痰劑로 분류되며 방의 이름에서 淸金降火란 淸肅肺氣와 같은 뜻이다.
즉 肺熱로 肺氣가 상역하는 증후를 가라앉힌다는 것이다. 본방은二陳湯에 吉更 . 只角 . 瓜蔞仁 . 貝母 . 杏仁 . 前胡 . 石膏 . 黃芩을 가한 방제이다. 肺胃의 열을 내리고 가래를 삭이며 기침을 멈춘다. 瓜蔞仁 . 黃芩 . 石膏는 肺와 胃의 열을 꺼 주고, 吉更 . 貝母 . 陳皮 . 赤茯笭 . 半夏 . 生姜은 가래를 제거하고, 只角 . 吉更은 利膈快氣하고, 杏仁 . 前胡 . 只角은 肺氣를 宣通하여 기침과 喘息을 멈춘다. 甘草는 제약을 조화한다. 腎水가 부족하여 瀉火가 肺에 머무르면 乾性咳嗽가 일어나기 쉽고 또 胃中의 鬱火가 肺金으로 침범하면 痰을 건조시켜 뱉어 내기가 어렵게 된다. 본방은 鬱痰咳嗽와 火熱咳嗽를 치료한다. 또 四時를 불문하고 소아들이 百日咳처럼 얼굴이 붉어지면서 마른기침할 때도 좋다. - 방증 : 폐위(肺胃)의 울화 → 진액을 작상(灼傷)함 → 담(痰)을 만듦 → 담은 기(氣)의 흐름을 막음 → 기침하고 숨이 찬 증상이 나타 남. - 치법 ; 폐위(肺胃)의 화(火)를 사(瀉)하여 화(火)를 내리게 하는 방법을 쓴다. ◎ 황금 : 청금(淸金)하여 강화(降 火)함. ◎ 석고 : 폐위의 울화를 청설(淸泄)시 키고, ◎ 패모, 괄루인 ; 청폐(淸肺)하여 담을 없앤다. ◎ 진피, 반하, 복령 , 감초 ; 담(痰)을 제거하고 이기 (理氣)작용을 발휘하고, ◎ 전호, 행인 : 강기(降氣)하여 기침을 그치게 하며, ◎ 지각, 길경 : 선폐(宣肺)하여 순기(順氣)시키고, 강기(降氣)하여 담(痰)을 삭힘. |
臨 床 | 폐열로 咳嗽가 심하면 桑白皮를 가한다. |
參 考 | 肺寒痰者, 위장허약자는 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