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방약합편정보

處 方 名 이음전 理陰煎
타 입 上統 十一益
造 成 熟地黃五錢 當歸三錢 乾薑二錢 肉桂 甘草 各一錢
이상을 썰어 한첩으로 하여 물로 달여 식전에 복용한다.
治 療 症 治脾腎虛 當溫潤 卽理中之變方
비와 신이 허하면 반드시 온윤케 해주어야 하는데, 이 처방은 이중탕의 변방이다.

① 脈數不洪 加柴胡 맥이 삭하고 홍하지 않으면 시호를 가한다.

② 寒凝 加麻黃 한기가 맺힌데는 마황을 가한다.

③ 脈細惡寒 加細辛 甚加附子 或幷加柴胡助之
맥이 세하고 오한이 slkaus 세신을 더 넣고, 증세가 심하면 부자를 더 넣거나 혹은 시호를 가한다.

④ 泄瀉 去歸 加吳茱萸 破古紙 肉豆久 附子
설사에는 당귀를 빼고 오수유 파고지 육두구 가자를 가한다.

⑤ 滯 加陳皮 香附
체기가 있으면 진피와 향부자를 가한다.

⑥ 陰虛火盛 去薑桂 加人蔘
음히 허하여 화가 성한데는 건강과 육계를 빼고 인삼을 가한다.

⑦ 加蔘附 名 [六味回陽飮]
인삼과 부자를 넣은 것을 육미회양음이라 부른다.
適 應 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