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약합편정보
處 方 名 | 인삼패독산 人蔘敗毒散 |
---|---|
타 입 | 中統 十九寶 |
造 成 | 人蔘 柴胡 前胡 羌活 獨活 枳殼 桔梗 川芎 赤茯笭 甘草 各一錢 薑三片 薄荷少許
이상을 썰어 한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박하를 약간 넣고 물로 달여 복용한다. |
治 療 症 | 治傷寒 時氣發熱 頭痛 肢體痛 及傷風 咳嗽 鼻塞 聲重
상한병과 환절기 유행병으로 인해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팔다리가 아픈 증과 바람을 쏘여 기침하고 코가 막히며 목소리가 탁해지는 증을 다스린다. ① 加 天麻 地骨皮 各少許 名 [人蔘羌活散] 治小兒傷風寒 發熱 천마 지골피를 조금씩 가한 것을 인삼강활산이라 부르고 어린이가 풍한에 상해 열이 나는 증을 다스린다. ② 加 荊芥 防風 名 [荊防敗毒散] 治장疫及大頭瘟 향개 방풍을 가한 것을 형방패독산이라 부르고 온역 및 대두온을 다스린다. ③ [荊防敗毒散] 加 連翹 金銀花 名 [連翹敗毒散] 治癰疽初發寒熱 甚似傷寒 형방패독산에 연교 금은화를 가한 것을 연교패독산이라 부르고 옹저초기에 한열이 심하여 상한 같이 보이는 것을 다스린다. ④ 加 香유二錢 黃連一錢 名 [消暑敗毒散] 향유 2돈 황련 1돈을 가한 것을 소서패독산이라 부른다. <活套> 斑疹腫毒 荊防 玄蔘 黃芩黃連 惡實 山査 金銀花 隨宜可加 반진종독에는 형개 방풍 현삼 황금 황련 악실 산사 금은화를 증세에 따라 적당히 가하여 쓴다. 적응증 治傷寒 時氣發熱 頭痛 肢體痛 及傷風 咳嗽 鼻塞 聲重 상한병과 환절기 유행병으로 인해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팔다리가 아픈 증과 바람을 쏘여 기침하고 코가 막히며 목소리가 탁해지는 증을 다스린다. ① 加 天麻 地骨皮 各少許 名 [人蔘羌活散] 治小兒傷風寒 發熱 천마 지골피를 조금씩 가한 것을 인삼강활산이라 부르고 어린이가 풍한에 상해 열이 나는 증을 다스린다. ② 加 荊芥 防風 名 [荊防敗毒散] 治장疫及大頭瘟 향개 방풍을 가한 것을 형방패독산이라 부르고 온역 및 대두온을 다스린다. ③ [荊防敗毒散] 加 連翹 金銀花 名 [連翹敗毒散] 治癰疽初發寒熱 甚似傷寒 형방패독산에 연교 금은화를 가한 것을 연교패독산이라 부르고 옹저초기에 한열이 심하여 상한 같이 보이는 것을 다스린다. ④ 加 香유二錢 黃連一錢 名 [消暑敗毒散] 향유 2돈 황련 1돈을 가한 것을 소서패독산이라 부른다. <活套> 斑疹腫毒 荊防 玄蔘 黃芩黃連 惡實 山査 金銀花 隨宜可加 반진종독에는 형개 방풍 현삼 황금 황련 악실 산사 금은화를 증세에 따라 적당히 가하여 쓴다. |
適 應 症 | 제창, 감모, 독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