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 태루(胎漏) |
---|---|
해설 | 병증명(病證名). 포루(胞漏), 누태(漏胎), 누포(漏胞), 수경( 經)이라고도 함.
《素問病機氣宜保命集》에 나와 있음. 《醫學入門》에서 "不痛而不血者, 爲胎漏" [아랫배가 아프지 않으면서 음도(陰道:膣)에서 피가 흘러 나오는 것을 태루라 한다.]라고 하였다. 임신후에 기혈(氣血)이 허약해지고 신(腎)이 쇠약하며, 혈분(血分)에 사열(邪熱)이 몰리어 있는 등으로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튼튼하지 못하여 출혈을 멎게 하지 못하고 태아를 길러(攝血養胎) 주지 못하는 것이다. 주요 증상은 음도(陰道:膣)에서 갑자기 피가 흘러 나오거나 적은 양으로 달마다 출혈이 있으나 허리가 시큰시큰 쑤시고 배가 아픈(腰酸腹痛) 증세 및 아랫배가 아래로 처지는(少腹下墜) 등의 증상이 없는 것이다. 기(氣)가 쇠약한 자는 겸하여 의기소침(意氣銷沈)해지고 몸이 나른하여 말을 하기 싫어하는 등의 증상이 있으니 보기안태(補氣安胎)를 위주로 하여야 하므로 거원전(擧元煎)에 아교(阿膠)를 더 넣어 쓰고, 혈(血)이 부족한 자는 겸하여 얼굴빛이 누르스름하며(顔色淡黃), 정신이 피로하고 힘이 없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니 보혈안태(補血安胎)를 위주로 하여야 하므로 태원음(胎元飮)을 쓰며, 신(腎)이 쇠약한 자는 겸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頭暈耳鳴), 소변이 잦는(尿頻)등의 증상이 나타나니 고신안태(固腎安胎)를 위주로 하여야 하므로 수태환(壽胎丸)을 쓰고, 혈분(血分)에 사열(邪熱)이 몰리어 있는 경우에는 겸하여 입이 마르고 목구멍이 바싹 마르며(口乾咽燥), 마음이 번거롭고 답답하여 편안하지 않은(心煩不寧)등의 증상이 있으니 청열양혈(淸熱?血), 안태(安胎)를 위주로 하여야 하므로 보음전(保陰煎)을 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