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 한리(寒痢) |
---|---|
해설 | 냉리(冷痢)라고도 하며 이질의 하나.
주로 무더운 날에 날 것과 찬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 찬 기운(寒氣)이 속에 몰려 비(脾)의 양기(陽氣)를 손상해서 생긴다. 배가 끓으면서 약간씩 아프고 뒤가 뮈근하며, 오리똥처럼 허옇고 무른 대변을 누는 데 비린내가 나면 때로, 약간의 피가 섞이어 나오기도 하며, 맥(脈)은 느리다(遲). 온중거한(溫中祛寒)하는 방법으로 이중탕(理中湯)에 육두구(肉頭寇), 목향(木香), 사인(砂仁), 가자(訶子)등을 더 넣어 쓰거나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에 매실(梅實), 진피(陳皮)를 더 넣어 쓴다. 오래된 한리(寒痢)에는 황련보장탕(黃蓮補腸湯)을 쓴다. 그밖에 적석지산(赤石脂散)도 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