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화면사이즈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한약정보

  • 학술정보
  • 한약정보

방제학용어

방제학용어 구토(嘔吐)
해설 위(胃)의 내용물을 토하는 병증.
한의고전에 토하는 형태에 따라 소리를 내면서 위(胃)의 내용물이 나오지 않는 것을 "구(嘔)"라 하고 소리없이 위(胃)의 내용물만 토하는 것을 "토(吐)"라 하며, 욕지기 소리도 나고 위(胃)의 내용물도 나오는 것을 "구토(嘔吐)"라고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구(嘔)와 토(吐)를 구분하지 않고 구토로 쓰고 있다. 다만 욕지기 소리만 나면서 위(胃)의 내용물을 토하지 않는 것을 건구(乾嘔)라고 하였다.

구토는 생리적으로 내려가야 할 위기(胃氣)가 일련의 병적요인[외감(外感), 식체(食滯), 담음(痰飮), 비위허약(脾胃虛弱), 7정내상(七情內傷)]에 의해 거꾸로 치밀어 올라가서 생긴다. 실증(實證)때는 발병(發病)기간이 짧고 증상이 급하며, 토하는 위(胃)의 내용물이 많고 시큼한 냄새가 난다. 허증(虛證)때는 발병기간이 오래고 토하는 위의 내용물이 많지 않고 시큼한 냄새도 심하지 않다. 치밀어 오르는 위기(胃氣)를 내리는 것을 기본으로 하면서 실증(實證) 때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사기(邪氣), 식체(食滯), 담(痰)을 없애고 막힌 기(氣)를 소통시키는 방법으로 치료하며, 허증(虛證)때는 비위(脾胃)를 보양(補養)하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두루쓰는 처방으로는 생강귤피탕(生薑橘皮湯), 생강반하탕(生薑半夏湯)등이다. 이밖에 중완(中脘),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비유(脾兪) 혈(穴) 등에 침(鍼)을 놓거나 뜸(灸)을 뜬다.

원인과 증상에 따라 외감구토(外感嘔吐), 내상구토(內傷嘔吐), 허증구토(虛證嘔吐), 실증구토(實證嘔吐)등으로 나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