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복사
경기기간중 : 허용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국소투여경로 등 예외 적용이 있을 수 있으니, KADA 누리집으로 연결되는 "상세정보 확인"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복사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정보
670606050 - 삭제(2019-07-01)
 - 82원/1정 급여(2018-02-01)
 - 83원/1정 급여(2017-02-01)
658108160 - 삭제(2023-12-01)
 - 81원/1정 급여(2021-05-01)
647205290 - 삭제(2021-11-01)
 - 81원/1정 급여(2020-01-01)
 - 82원/1정 급여(2019-01-01)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복사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복사
심평원 기준 포장단위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복사

말기 신부전환자의 고인산혈증

용법 · 용량

복사

1) 초기용량: 매 식사 중 2정씩 경구로 복용한다.

2) 유지용량: 고칼슘혈증을 유발하지 않는 상태에서 혈중 인산의 농도가 6mg/dl 이하가 될 때까지 용량을 점차 증가시킨다.

 통상 식사중 3-4정을 복용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복사

복약정보

복사

제조 · 수입사 복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법적 고지

(재)약학정보원은 정확하고 독립적인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본 사이트의 정보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과 학술 자료를 기반으로 하나, 의학적 진단·처방을 대체할 수 없으며, 사용 전 반드시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편집 과정에서의 오류·누락, 허가사항 변경, 최신 연구 결과 반영 지연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재)약학정보원은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은 (재)약학정보원에 있으며, 무단 복제·배포·전송·변형·게시행위를 금합니다.

말기 신부전환자의 고인산혈증
1) 초기용량: 매 식사 중 2정씩 경구로 복용한다.

2) 유지용량: 고칼슘혈증을 유발하지 않는 상태에서 혈중 인산의 농도가 6mg/dl 이하가 될 때까지 용량을 점차 증가시킨다.

 통상 식사중 3-4정을 복용한다.
1.다음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말 것

 1) 고칼슘혈증 환자


2.부작용

 고칼슘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경증의 고칼슘혈증(Ca>10.5mg/dl)은 무증상이거나 변비, 식욕부진, 오심, 구토를 일으킬 수 있으며, 중증은 착란, 지각상실, 혼수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경증일 경우는 복용량을 줄이거나 복용을 중지하고, 중증일 경우는 복용을 중지하고 혈액투석을 실시한다.


3.일반적 주의사항

 1) 이 약의 복용량은 초기에 결정하여 필요에 따라 조정한다.

 2) 이 약의 과량투여는 고칼슘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용량을 결정하는 치료초기 단계에 혈중 칼슘농도를 1주일에 2회 측정한다. 

 3) 고칼슘혈증은 심부정맥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디기탈리스를 부여하는 환자에게는 이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4) 혈중 인산농도는 정기적으로 측정하여야 한다.

 5) 비 처방된 제산제의 복용을 피한다.

 6) 인산과 결합된 혈중칼슘은 66을 넘지 않아야 한다.


4.상호작용

 이 약은 테트라사이클린의 생물학적 활성을 낮출 수 있다.


5.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이 약을 투여하여 실시한 동물시험에서는 최기형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임부에게 투여할 경우에는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할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소아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6.기타

 고칼슘혈증의 증상을 환자에게 인지시켜 주의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