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경기기간중 : 허용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상세정보는 반드시 한국도핑방지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의약품심사결과 [자료제출의약품] 가디엔정1000밀리그램(에카베트나트륨) (정보공개)_가디엔정1000밀리그램(에카베트나트륨) 허가보고서(최종).pdf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정보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KPIC 학술
 팜리뷰 소화성궤양, 약학정보원(곽혜선), 2018-11-12
 팜리뷰 식물요법 - 위·십이지장궤양, 약학정보원(황완균), 2014-05-19
 팜리뷰 해외최신의약뉴스(12) - 위식도 역류 질환의 진단 및 관리를 위한 새로운 가이드라인, 약학정보원(남궁형욱), 2013-04-22
대한약사저널
 한약제제 소화성궤양 <4> 다양한 대시호탕의 활용법 - 흉골압력을 낮추거나 열성상태면서 적체가 있을 때, 최해륭 약사, 2022-01-24
 한약제제 소화성궤양 <3> 찬 기운에 약해진 소화기 '고령탕·소건중탕' - 몸 덥히는 약제 적합, 최해륭 약사, 2022-01-17
 한약제제 소화성궤양 <2> 소화성 궤양, 습·열·한 제어로 - 화담청화탕·교태환·양혈사물탕 등 치료제로 쓰여, 최해륭 약사, 2022-01-10
 한약제제 소화성궤양 <1> 만성 장 염증에 영향 미치는 '미세순환' - 바이러스·세균 침투로 조직 위축되며 신물 발생…명치 자극, 최해륭 약사, 2022-01-03
 한약제제 소화성궤양<4> 꽉 막힌 흐름 풀면 위장도 편안합니다 - 복문(腹門) 실통 다스리는 대시호탕, 최해륭 약사, 2021-04-26
 한약제제 소화성궤양<3> 가슴쓰림·위궤양 한방치료 이렇게 - 소건중탕·향사평위산, 최해륭 약사, 2021-04-19
 한약제제 소화성궤양<2> 위장의 긴장과 경련을 다스리는 '소건중탕' - 소화관의 지나친 연동운동 항진 조절하기도, 최해륭 약사, 2021-04-12
 한약제제 소화성궤양<1> 위장관 습과 열 더해지면 궤양 유발 - 간화제어로 치유, 복직근 긴장도 풀어야, 최해륭 약사, 2021-04-05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심평원 기준 포장단위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1) 위궤양

2) 다음 질환의 위점막 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 급성 위염, 만성 위염의 급성악화기

용법 · 용량

성인 : 에카베트나트륨수화물로서 1회 1 g을 1일 2회(아침 식사후, 취침전) 경구 투여한다.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 및 그 병력이 있는 사람


2. 이상반응

때때로(0.1 % ∼ 5 % 미만), 드물게(0.1 % 미만)로 구분하였다.

이상반응이 인정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감량 또는 중지 등 적절히 조치한다.


1) 과민반응 : 드물게 발진, 가려움, 두드러기가 발생할 수 있다.

2) 소화기계 : 때때로 변비, 설사, 복부팽만감, 구역이 발생할 수 있고, 드물게 구토, 복통이 발생할 수 있다.

3) 간장 : 간기능장애, 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빈도불명).

4) 기타 : 드물게 흉부압박감, 전신권태감이 발생할 수 있다.

5) 국내 시판후 조사결과 : 에카베트나트륨수화물 과립제에 대한 국내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4,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후 조사결과 이상반응의 발현증례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0.37%(17례/4,600례)로 보고되었고,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것은 0.30%(14례/4,600례)이다. 간기능장애가 0.09%(4례/4,600례)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설사 0.07%(3례/4,600례), 복부팽만감, 오심 0.04%(2례/4,600례), 변비, 복통, 신물, 두드러기, 발진 0.02%(1례/4,600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시판 전 임상시험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새로운 이상반응으로 복통, 신물이 각 1례씩 보고되었다.

6) 에카베트나트륨수화물 과립제에 대한 일본 임상시험 :  총증례 729명 중 이상반응이 보고된 사례는 6명(0.82 %)으로 이상반응은 발진, 두드러기, 변비, 설사, 흉부압박감, 전신피로감 각 1건(0.14 %)이었다. 에카베트나트륨수화물 과립제에 대한 사용성적조사(승인시∼재심사기간 종료시)에서 총증례 5715명 중, 이상반응이 보고된 사례는 53명(0.93 %)으로 주요 이상반응은 구역 13건(0.23 %), 변비 10건(0.17 %), 설사 7건(0.12 %), 복부팽만감 7건(0.12 %) 등이었다.


3. 임부.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 중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 중 투여에 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유중인 여성에게 투여하는 것을 피하고, 부득이하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수유를 중지한다.


4.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없다.).


5. 고령자에 대한 투여

거의 흡수가 되지 않으므로 비고령자에 비해서 특별히 주의할 필요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소화기계 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변비 등의 발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6. 기타

동물을 이용한 생식 독성 시험 결과, 랫트를 이용한 수태능 및 일반 생식 독성 시험에서 3,000㎎/㎏/day을 경구 투여시 정자 형태 이상 발현율(1.6%)이 증가하였다.

복약정보

제조 · 수입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1) 위궤양

2) 다음 질환의 위점막 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 급성 위염, 만성 위염의 급성악화기
성인 : 에카베트나트륨수화물로서 1회 1 g을 1일 2회(아침 식사후, 취침전) 경구 투여한다.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 및 그 병력이 있는 사람


2. 이상반응

때때로(0.1 % ∼ 5 % 미만), 드물게(0.1 % 미만)로 구분하였다.

이상반응이 인정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감량 또는 중지 등 적절히 조치한다.


1) 과민반응 : 드물게 발진, 가려움, 두드러기가 발생할 수 있다.

2) 소화기계 : 때때로 변비, 설사, 복부팽만감, 구역이 발생할 수 있고, 드물게 구토, 복통이 발생할 수 있다.

3) 간장 : 간기능장애, 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빈도불명).

4) 기타 : 드물게 흉부압박감, 전신권태감이 발생할 수 있다.

5) 국내 시판후 조사결과 : 에카베트나트륨수화물 과립제에 대한 국내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4,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후 조사결과 이상반응의 발현증례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0.37%(17례/4,600례)로 보고되었고,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것은 0.30%(14례/4,600례)이다. 간기능장애가 0.09%(4례/4,600례)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설사 0.07%(3례/4,600례), 복부팽만감, 오심 0.04%(2례/4,600례), 변비, 복통, 신물, 두드러기, 발진 0.02%(1례/4,600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시판 전 임상시험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새로운 이상반응으로 복통, 신물이 각 1례씩 보고되었다.

6) 에카베트나트륨수화물 과립제에 대한 일본 임상시험 :  총증례 729명 중 이상반응이 보고된 사례는 6명(0.82 %)으로 이상반응은 발진, 두드러기, 변비, 설사, 흉부압박감, 전신피로감 각 1건(0.14 %)이었다. 에카베트나트륨수화물 과립제에 대한 사용성적조사(승인시∼재심사기간 종료시)에서 총증례 5715명 중, 이상반응이 보고된 사례는 53명(0.93 %)으로 주요 이상반응은 구역 13건(0.23 %), 변비 10건(0.17 %), 설사 7건(0.12 %), 복부팽만감 7건(0.12 %) 등이었다.


3. 임부.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 중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 중 투여에 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유중인 여성에게 투여하는 것을 피하고, 부득이하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수유를 중지한다.


4.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경험이 없다.).


5. 고령자에 대한 투여

거의 흡수가 되지 않으므로 비고령자에 비해서 특별히 주의할 필요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소화기계 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변비 등의 발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6. 기타

동물을 이용한 생식 독성 시험 결과, 랫트를 이용한 수태능 및 일반 생식 독성 시험에서 3,000㎎/㎏/day을 경구 투여시 정자 형태 이상 발현율(1.6%)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