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경기기간중 : 허용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국소투여경로 등 예외 적용이 있을 수 있으니, KADA 누리집으로 연결되는 "상세정보 확인"을 클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정보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심평원 기준 포장단위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생후 2개월 이상의 영아에서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B형 간염, 폴리오(소아마비) 예방 및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에 의해 발생되는 침습성 질환의 예방

용법 · 용량

용량

기초접종: 출생 시 B형간염백신을 접종 받은 영아를 대상으로 1회 용량 0.5mL씩 생후 2, 4, 6개월에 3회 주사한다.

용법

근육주사(IM) 한다. 권장되는 주사부위는 대퇴부 전외측이다.

혈관내, 피내 또는 피하 주사로 투여해서는 안 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복약정보

제조 · 수입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생후 2개월 이상의 영아에서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B형 간염, 폴리오(소아마비) 예방 및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ib)에 의해 발생되는 침습성 질환의 예방
용량

기초접종: 출생 시 B형간염백신을 접종 받은 영아를 대상으로 1회 용량 0.5mL씩 생후 2, 4, 6개월에 3회 주사한다.

용법

근육주사(IM) 한다. 권장되는 주사부위는 대퇴부 전외측이다.

혈관내, 피내 또는 피하 주사로 투여해서는 안 된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백신을 이전에 투여한 후 아나필락시스 반응의 이력이 있는 자

2) 주성분 및 이 백신의 첨가제, 미량 잔류물(글루타르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네오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폴리믹신 B), 백일해 백신에 대한 과민반응이 있었던 자 및 이 백신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성분이 포함된 백신을 이전에 투여한 후 과민반응이 있었던 자

3) 백일해 포함 백신(전세포 또는 무세포 백일해 백신)으로 이전에 예방접종을 실시한 후 7일 이내에 발생된 병인을 알 수 없는 뇌병증을 경험한 자

4) 백일해 백신은 조절되지 않는 신경계 장애 또는 조절되지 않는 간질이 있는 사람의 경우 그러한 상태에 대한 치료가 확립되고, 상태가 안정화되고, 백신 접종에 따른 유익성이 위해성을 명백하게 상회하기 전에는 투여해서는 안 된다.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중등증 내지 중증의 급성 열성 질환 또는 감염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접종을 연기해야 한다. 경미한 감염 및/또는 미열(Low-Grade Fever)이 있는 경우 접종을 고려할 수 있다.

2) 생물의약품 투여 전, 투여를 실시하는 사람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기타 반응의 예방을 위하여 알려진 모든 주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모든 주사용 백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백신을 투여한 후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발생된 경우 적절한 의학적 치료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3) 백일해 포함 백신을 투여 받은 후 다음의 사례가 발생된 것으로 알려질 경우, 백일해 포함 백신의 추가접종 여부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ㆍ 백신 접종 후 48시간 이내에 다른 뚜렷한 원인에 의하지 아니한 40°C 이상의 발열;

ㆍ 백신 접종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된 허탈 또는 쇼크 유사 상태(저긴장성-저반응성 에피소드);

ㆍ 백신 접종 후 48시간 이내에 발생된 지속적이며 통제가 불가능한 3시간 이상 지속되는 울음;

ㆍ 백신 접종 후 3일 이내에 발생된 발열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경련.

4) 백일해 발생률이 높은 경우와 같이 백신투여에 따른 잠재적 유익성이 백신 투여로 인한 위해성을 상회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5) 백신접종과 관련 없는 열성경련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백신접종이 금기는 아니나, 특별히 백신접종 후 48시간 동안 체온을 감시하고, 해열제를 규칙적으로 투여하도록 한다.

6) 파상풍 톡소이드 포함 백신을 이전에 투여 받은 후 길랑-바레 증후군 또는 상완신경염(Brachial neuritis)이 발생된 경우, 파상풍 톡소이드 포함 백신의 투여 여부는 잠재적 유익성과 발생 가능한 위해성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예: 기초접종 완료 여부).

7) 백신의 면역원성은 면역억제 치료 또는 면역결핍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그러한 치료 또는 질병이 종료될 때까지 접종을 연기하도록 권장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IV 감염 등 만성 면역결핍 상태인 사람의 경우 항체 반응이 제한적일 수 있지만 접종이 권장된다.

3. 약물이상반응

1) 안전성 프로파일 요약

임상시험에서 이 백신을투여 받은 자들에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반응은 주사부위 통증, 과민성, 울음, 주사부위 홍반이었다.

1차 투여 후의 기재된 반응원성(Reactogenicity)은 이후 차수의 투여 시와 비교하여 약간 더 높게 관찰되었다.

2) 약물이상반응 요약표

약물이상반응 분류를 위해 아래의 범례가 사용되었다;

매우 흔하게 (≥1/10)

흔하게 (≥1/100 ~ <1/10)

때때로 (≥1/1,000 ~ <1/100)

드물게 (≥1/10,000 ~ <1/1,000)

매우 드물게 (<1/10,000)

알 수 없음 (현재 자료로 평가할 수 없음)

임상시험 및 시판 중 보고된 약물이상반응


기관대분류

빈도

이상사례

면역계 이상

때때로

과민반응(Hypersensitivity reaction)

드물게

아나필락시스 반응*

대사 및 영양 이상

매우 흔하게

식욕부진(식욕감퇴)

신경계 이상

매우 흔하게

울음, 졸음증

흔하게

비정상적인 울음(장기간 울음)

드물게

발열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경련*

매우 드물게

저긴장성 반응 또는 저긴장성-저반응성 에피소드(HHE)

소화기계 이상

 

매우 흔하게

구토

흔하게

설사

피부 및 피하조직 이상

드물게

발진

전신 이상 및 투여부위 상태

매우 흔하게

주사부위 통증, 주사부위 홍반, 주사부위 부기

과민성(Irritability)

발열(체온 ≥ 38.0°C)

흔하게

주사부위 경결

때때로

주사부위 결절

발열(체온 ≥39.6°C)

드물게

광범위한 팔다리 부기†

* 자발 보고에 의한 약물이상반응. † 섹션 3) 참조.

3) 특정 이상약물반응에 대한 설명

광범위한 팔다리 부기: 주사부위에서 확대되어 한쪽 또는 양쪽 관절을 침범하는 광범위한 팔다리 부기를 포함하여 큰 주사부위 반응(50 mm 초과)이 소아에서 보고되었다. 이러한 반응은 접종 후 24~72시간 이내에 발생하고, 주사부위의 홍반, 열감, 압통 또는 통증이 관련될 수 있으며, 3~5일 이내에 자연적으로 소실된다.

4) 잠재적 이상사례(이 백신의 구성요소 또는 성분이 1개 이상 포함된 다른 백신 접종 시 보고되었으나 이 백신 투여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이상사례)

신경계 이상

- 파상풍 톡소이드 포함 백신 접종 후 상완신경염(Brachial neuritis) 및 길랑-바레 증후군이 보고되었다

- B형 간염 항원 포함 백신 접종 후 말초 신경병증(다발성신경근염, 안면마비), 시신경염, 중추신경계 탈수초화(다발성 경화증)가 보고되었다

- 뇌병증/뇌염

호흡, 흉부, 종격동 이상

극미숙아(재태기간 28주 이하)에서의 무호흡

전신 이상 및 투여부위 상태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 type b)가 포함된 백신으로 접종 후 한쪽 또는 양쪽 다리에 부종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반응이 발생된 경우, 이는 주로 기초접종 후 그리고 접종 후 처음 몇 시간 이내에 발생된다. 이러한 반응은 청색증, 발적, 일시적 자반증 및 심한 울음을 동반할 수 있다. 모든 반응은 24시간 이내에 후유증 없이 자연적으로 소실된다.

4. 일반적 주의

1) 이 백신은 Corynebacterium diphtheriae(디프테리아), Clostridiumtetani(파상풍), Bordetella purtussis(백일해), B형 간염 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또는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type b)이 아닌 병원체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은 예방하지 않는다.

2) 이 백신은 A형 간염, C형 간염, E형 간염 또는 다른 간질환 병원체와 같이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간염 감염에 대해 예방할 수 없다.

3) B형 간염은 잠복기가 길기 때문에, 인지되지 않은 B형 간염 감염이 접종 시점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백신은 이러한 상황에서 B형 간염 감염을 예방할 수 없다.

4) 이 백신은 다른 유형의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수막염에 대해 예방 효과를 제공하지 않는다.

5) 모든 주사용 백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백신은 혈소판감소증 또는 출혈 질환이 있는 사람에 대해 주의하여 투여해야 한다. 근육주사 후 출혈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6) 극미숙아(재태기간 28주 이하)와 호흡계 미성숙 기왕력이 있는 영아에 대해 기초접종을 실시할 경우 무호흡의 잠재적인 위험과 48~72시간 동안 호흡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영아에서 접종의 유익성이 높으므로 접종을 하지 않거나 지연하여서는 안 된다.

7) 모든 백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백신은 접종 받은 모든 피접종자가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8) 본 백신은 생균 혹은 생바이러스를 포함하지 않으며, 본 백신이 예방하는 감염성 질환을 일으킬 수 없다.

5. 상호작용

1) 다른 백신과의 병용투여를 고려할 경우, 접종 부위를 달리하여 접종한다.

2) 이 백신을 다른 백신 또는 다른 주사제로 투여되는 의약품과 혼합해서는 안 된다.

3) 면역억제요법의 경우를 제외하고 다른 치료제 또는 생물의약품과 유의한 수준의 임상적 상호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4) 실험실 검사에 대한 간섭: Hib 피막 다당체 항원이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접종 후 1~2주 이내에 소변검사 시 양성 결과가 관찰될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Hib 감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른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6. 임부, 수유부에 대한 투여

본 백신은 가임기 여성에 투여하지 않는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생후 6주 미만의 영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으며, 가용한 자료는 없다.

8. 특수군에 대한 투여

미숙아에 대해 가용한 자료는 없다. 그러나, 보다 낮은 면역반응이 관찰될 수 있으며 임상적 예방 정도는 알 수 없다.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은 유전적 다형성(Genetic polymorphism) 측면에서 연구되지 않았다.

만성 신기능 부전 및 신부전 환자의 경우, B형 간염 반응 저하가 관찰되며 B형 간염 백신의 추가 투여 여부는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anti-HBsAg)에 대한 항체 수준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

9. 과량투여

과량투여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10. 적용상의 주의

1) 접종 전 프리필드 주사기를 흔들어 균질한 흰색의 현탁액이 되도록 준비한다.

2) 접종 전 현탁액을 육안 검사해야 한다. 이물질 및/또는 물리적 특성 변화가 관찰된 경우, 프리필드 주사기를 폐기한다.

3) 주사바늘이 부착되지 않은 주사기의 경우, 주사기에 주사바늘을 1/4을 비틀어 돌리면서 단단히 고정시킨다.

4) 미사용 의약품 또는 폐기물질은 국내 규정에 따라 폐기해야 한다.

11.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포장용기에 명시된 유효기한이 경과되었을 경우 사용하지 않는다.

냉장 보관한다(2°C ~ 8°C).

동결하여서는 안 된다.

차광을 위하여 포장용기에 보관한다.

본 백신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게 보관하여야 한다.


12.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리작용 정보

이 백신은 다음의 감염을 일으키는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항체)를 유도한다: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B형 간염, 폴리오(소아마비) 및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2) 임상시험 정보

이 백신의 각 성분에 대한 결과는 아래 표에 요약하였다:

표1. 이 백신 기초접종(3회 접종) 1개월 후 혈청방어율/혈청양전율*


항체 기준

3회 접종 (2-4-6 개월)

N = 934-1270

(%)

N = 132 **

(%)

Anti-diphtheria (≥ 0.01 IU/mL)

97.1

100.0

Anti-tetanus 

(≥ 0.01 IU/mL)

(≥ 0.1 IU/mL)

 

100.0

99.5

 

100.0

99.2

Anti-PT

(혈청전환‡‡)

(백신반응§)

 

96.0

99.7

 

94.6

98.4

Anti-FHA

(혈청전환‡‡)

(백신반응§)

 

97.0

99.9

 

91.7

97.7

Anti-HBs

(≥ 10 mIU/mL)

- 출생 시 B형간염백신 접종

99.7***

97.7

Anti-Polio type 1

(≥ 8 (1/dilution))

99.9

100.0

Anti-Polio type 2

(≥ 8 (1/dilution))

100.0

100.0

Anti-Polio type 3

(≥ 8 (1/dilution))

99.9

100.0

Anti-PRP (≥ 0.15 µg/mL)

98.0

100.0

N = 계획서 순응 분석군에 따라 분석된 시험대상자수 (Per Protocol Set)

* 혈청방어율(anti-diphtheria, anti-tetanus, anti-HBs, anti-polio virus type 1, 2, 3, anti-PRP), 항체양전율(anti-PT, anti-FHA)

‡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멕시코 및 페루에서 수행한 임상시험

**출생 시 B형간염백신을 접종한 생후 2, 4, 6개월 (한국)

*** 출생 시 B 형간염백신을 접종한 생후 2, 4, 6 개월(코스타리카와 콜롬비아)

‡‡ 항체양전: 백신 접종 전 (1차 접종 전) 대비 항체 농도 최소 4배 증가

§ 백신반응: 백신 접종 전 항체 농도가 8 EU/mL 미만인 경우, 백신 접종 후 항체 농도는 8 EU/mL 이상이어야 한다. 이외의 경우, 백신 접종 후 항체 농도는 백신 접종 전 항체 농도 이상이어야 한다.

3) 비임상 정보

반복투여독성시험 및 국소독성시험에서 사람에 특이할만한 유해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주사부위에서 천천히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성 염증성 조직 변화가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