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상의 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소화관 통과장애가 있는 환자(배설에 지장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소화관궤양, 식도정맥류가 있는 환자(고체 그대로 소화관을 통과하기 때문에 환부를 자극할 염려가 있다.)
(2) 변비를 일으키기 쉬운 환자(변비를 악화시킬 염려가 있고, 기초질환으로 간장애가 있는 환자에서는 혈중 암모니아치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3. 이상반응
(1) 구형흡착탄 세립으로 총 증례 2,617명 중, 이상반응이 보고된 것은 139명(5.31%)이고, 주된 이상반응은 변비, 식욕부진, 구역·구토, 복부팽만감 등의 소화기증상(4.51%)였다.
|
1~2% |
1% 미만 |
피부주1) |
|
소양감, 피진 |
소화기주1) |
변비주2), 식욕부진, 오심·구토 |
복부팽만감, 위중감, 복통, 설사 |
주1)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감량 또는 일시적인 복용중단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할 것.
주2)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할 것.
(2) 국내 시판 후 조사
○ 구형흡착탄 세립
①국내에서 6년동안 4,0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사용성적조사결과 유해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3.04%(122명/4,019명, 142건)로 보고되었다.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2.56%(103명/4,019명, 119건)으로 조사되었으며, 변비 1.00%(40명/4,019명, 40건), 오심 0.37%(15명/4,019명, 15건), 소화불량 0.32%(13명/4,019명, 13건), 식욕부진 0.20%(8명/4,019명, 8건), 구토, 가스팽만 각 0.17%(7명/4,019명, 7건), 복부팽만 0.15%(6명/4,019명, 6건), 가슴 쓰림, 설사, 위장관 질환 각 0.10%(4명/4,019명, 4건), 체중감소, 여성회음통증, 복통, 삼킴곤란, 전신부종, 불면증, 두통, 어지러움, 가려움, 피부발진 각 0.02%(1명/4,019명, 1건)등이 보고되었다. 중대한 유해사례의 발현율은 0.15%(6명/4,019명, 9건)로 간성 혼수, 패혈증, 요로 감염, 설사, 토혈, 발열, 알레르기, 비특이성 호흡기폐색, 거대세포바이러스감염이 각 1건씩 보고되었다.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0.02%(1명/4,019명, 1건)로 설사가 보고되었다. 예상하지 못한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0.67%(27명/4,019명, 27건)로 소화불량 13건, 가슴쓰림 4건, 고콜레스테롤혈증, 체중감소, 여성회음통증, 삼킴곤란, 전신부종, 두통, 어지러움, 빈혈, 불면증, 피부발진 각 1건이었다. 6개월 이상 이 약을 투약한 6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장기사용성적조사결과,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1.24%(8명/644명, 9건)로 변비 0.62%(4명/644명, 4건), 복부팽만 0.31%(2명/644명, 2건), 소화불량, 두통, 피부발진 각 0.16%(1명/644명, 1건)이었으며, 이 중 예상하지 못한 약물유해반응은 소화불량, 두통, 피부발진 각 1건이었고, 중대한 유해사례는 없었다.
②시판 후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유해반응은 당뇨병성 족부 궤양, 위경련, 가슴통증, 전신쇠약 각 1건이 보고되었다. 이는 불확실한 규모의 인구집단으로부터 보고되었으므로, 그 빈도 및 이 약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가 어렵다.
4. 일반적 주의
(1) 진행성인 만성신부전으로 진단된 보존요법기의 환자를 대상으로 할 것.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는 혈청 크레아티닌의 상승에 의한 진행성 만성신부전인 것을 확인한 뒤에 투여를 고려할 것.
(2) 투석도입의 지연에 관해서는, 이 약 투여전의 혈청 크레아티닌(S-Cr)의 상승의 경우가 중등도이상(1개월 마다의 I/S-Cr의 변화가 0.01dL/mg이상)인 것을 확인한 후에 이 약의 투여를 고려할 것. 여기에 상당하는 혈청 크레아티닌치의 변화의 목표는 아래 표와 같다.
1개월 전의 혈청 크레아티닌 치 |
→ |
현재의 혈청크레아티닌 치 |
2.9 mg/dL |
→ |
3.0 mg/dL |
4.8 mg/dL |
→ |
5.0 mg/dL |
6.5 mg/dL |
→ |
7.0 mg/dL |
(3) 이 약 복용 중에는 혈청 크레아티닌 및 요독증 증상의 변화 등의 경과를 적의 관찰하고 투여개시 6개월을 목표로 투여지속의 적부를 검토한다. 개선이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는, 중지 또는 다른 요법을 고려하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할 것.
(4) 이 약 복용중에 개선이 기대되지 않는 상태에 이를 때에는 투석요법도입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할 것.
(5) 비타민과 호르몬 등의 생체내에 있어 항상성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특기할 이상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 약은 흡착제인 것을 고려하여 특히 장기투여 시에는 전신상태 등에 주의할 것.
5. 상호작용
다른 약제를 병용하는 경우, 이 약은 흡착제인 것을 고려하여 이 약과의 동시복용은 피할 것.
6. 임부, 수유부에 대한 투여
임부 또는 임신할 가능성이 있는 부인 및 수유부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할 것
7. 소아에 대한 투여
미숙아, 신생아, 유아(乳兒), 유아(幼兒) 또는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음.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의 경우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이상반응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주의하여 투여 할 것.
9. 적용상의 주의
이 약을 복용 시 입안에서 물로 붕해시킨 후 물과 함께 삼킬 것.
10. 전문가를 위한 정보
이 약은 위장관 내에서 소화·흡수되지 않고 대변으로 배설되며 위장관 내 저분자(요독) 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함으로써 약효를 나타낸다. 이러한 약물의 특성과 약리기전을 고려하여, 크레메진세립과의동등성을 In Vitro 시험 및 In Vivo 시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1) In Vitro 시험
타우로 콜산의 유무 하에서 시간에 따른 인돌 흡착률을 비교한 결과 이 약과 크레메진세립이 동등함을 확인하였다.
2) In Vivo 시험
만성신질환 랫드 모델에서 이 약 또는 크레메진세립 투여 후의 혈청 인독실 설페이트 (sIS) 농도 변화를 비교한 결과 이 약과 크레메진세립이 동등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