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의약품 상세정보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품 기본정보

허가정보 바로가기 출 력 정보 수정요청 구매가능 약국 찾기
제품명
성분 / 함량 동일성분 의약품
첨가제
도핑금지
약물정보
경기기간중 : 허용 경기기간외 : 허용 상세정보 확인

※ 상세정보는 반드시 한국도핑방지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주세요.

전문 / 일반 단일 / 복합
제조 / 수입사
제형 투여경로
성상
허가일
재심사
대조 / 생동
급여정보
642200132 - 3656원/20g/개 급여(2024-07-01)
 - 3658원/20g/개 급여(2022-01-01)
 - 3666원/20g/개 급여(2020-01-01)
 - 3676원/20g/개 급여(2018-02-01)
642200131 - 삭제(2018-03-01)
642200130 - 삭제(2016-10-01)
ATC 코드
식약처 분류
KPIC 약효분류
KPIC 학술
 팜리뷰 무좀과 복약지도, 약학정보원(김성철), 2018-06-11
대한약사저널
 한약제제 무좀 <4> 무좀 등 진균 치료에 도움되는 약제는? - 환자 상태에 맞는 약물 복용이 중요, 최해륭 약사, 2021-08-23
 한약제제 무좀 <3> 신체 내열 조절하는 역할 '지모' - 만성급성·염증으로 인한 면역계 이상증상에 도움, 최해륭 약사, 2021-08-17
 이슈트랜드 피부사상균증 병태생리의 최신 지견 <2>, 약학정보원 학술정보센터, 2021-08-09
 한약제제 무좀 <2> 소풍산, 풍습열피진에 효과 - 생선·술·담배 등 피해야, 최해륭 약사, 2021-08-09
 이슈트랜드 피부사상균증 병태생리의 최신 지견 <1>, 약학정보원 학술정보센터, 2021-08-02
 한약제제 무좀 <1> 십미패독산·황련해독탕 무좀에 활용 - 오령산 합방하면 가려움에도 효과, 최해륭 약사, 2021-08-02
제품설명서 보 기 ( 2017-10-10 게시 )
의약품안전성
정보(DUR)
포장단위
(식약처 기준)
심평원 기준 포장단위
저장방법

허가정보 ∙ 복약정보

효능 · 효과

피부사상균증(족부백선, 완선(頑癬), 체부백선) 칸다나증, 어우러기

용법 · 용량

[허가사항변경(2012년 재평가), 의약품관리총괄과-9301, 2013.12.30]

이 약을 매일 1 ∼ 2회(저녁 또는 아침·저녁) 환부 및 환부주위 약 1 cm의 건강한 피부에 균일하게 바른다. 치료기간은 감염부위 및 감염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2 ∼ 4주면 치료효과가 나타나나 재발방지를 위해 4주 투여량을 원칙으로 한다.
소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분류번호 265>       [허가사항 변경지시(재평가) (의약품관리총괄과-9301호, 2013.12.30.)]


(크림제)
1.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사용하지 말 것.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 이미다졸 항진균약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

2. 이 약을 사용하는 동안 다음의 행위를 하지 말 것.
 1) 수유중인 경우에는 영아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이 약을 유방 부위에 바르지 말 것.
 2) 안과용으로 사용하지 말 것.
 3) 눈, 코, 입 등 점막 부위와 상처 또는 염증이 있는 부위 및 심한 미란(짓무름) 부위에는 사용하지 말 것.

3.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사용하기 전에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부(많은 양을 국소부위에 사용해도 혈장에서 검출되지 않으나,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으므로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의사 및 약사의 판단하에 투여한다.)

4.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의 사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상담시 가능한한 이 첨부문서를 소지할 것.
 1) 드물게 발적, 작열감, 가려움 같은 피부자극이 나타날 수 있으며, 국소 치료시에는 그 안전성이 우수하여 어떤 독성이나 햇빛 노출시 피부 과민반응도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 첫날 약한 일과성의 발진이 일어날 수 있으나 치료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2) 크림제의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 보고된 이상반응다음 이상반응은 모두 0.1 % 미만으로 드물게 발현되었으며 이 약과의 관련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 피부변색, 균열
 3) 이전에 보고된 적이 없는 다른 이상반응이 나타난 경우
 4) 때때로, 처음 사용시에 이 약의 알코올성 성분에 의해 약간 뜨거운 느낌과 피부의 건조증이 나타날 수 있으나 보통 치료를 중단할 정도의 것은 아니다(분무제에 한함.).

5. 기타 이 약의 사용시 주의할 사항
 1) 주성분의 농도와 투여방법(경로)을 고려할 때 약물중독이 일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나, 우발적으로 복용한 경우에는 적절한 처치를 하여야 한다.
 2)칸디다증의 경우, 산성(칸디다균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pH) 비누를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6. 저장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의약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할 것.

복약정보

제조 · 수입사

회사명
회사 영문명
english name
주소
전화번호
FAX
홈페이지
http://www.naver.com
피부사상균증(족부백선, 완선(頑癬), 체부백선) 칸다나증, 어우러기
[허가사항변경(2012년 재평가), 의약품관리총괄과-9301, 2013.12.30]

이 약을 매일 1 ∼ 2회(저녁 또는 아침·저녁) 환부 및 환부주위 약 1 cm의 건강한 피부에 균일하게 바른다. 치료기간은 감염부위 및 감염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보통 2 ∼ 4주면 치료효과가 나타나나 재발방지를 위해 4주 투여량을 원칙으로 한다.
소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분류번호 265>       [허가사항 변경지시(재평가) (의약품관리총괄과-9301호, 2013.12.30.)]


(크림제)
1.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사용하지 말 것.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 이미다졸 항진균약에 과민반응이 있는 사람

2. 이 약을 사용하는 동안 다음의 행위를 하지 말 것.
 1) 수유중인 경우에는 영아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이 약을 유방 부위에 바르지 말 것.
 2) 안과용으로 사용하지 말 것.
 3) 눈, 코, 입 등 점막 부위와 상처 또는 염증이 있는 부위 및 심한 미란(짓무름) 부위에는 사용하지 말 것.

3.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사용하기 전에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부(많은 양을 국소부위에 사용해도 혈장에서 검출되지 않으나,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으므로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의사 및 약사의 판단하에 투여한다.)

4.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의 사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상담시 가능한한 이 첨부문서를 소지할 것.
 1) 드물게 발적, 작열감, 가려움 같은 피부자극이 나타날 수 있으며, 국소 치료시에는 그 안전성이 우수하여 어떤 독성이나 햇빛 노출시 피부 과민반응도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 첫날 약한 일과성의 발진이 일어날 수 있으나 치료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2) 크림제의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 보고된 이상반응다음 이상반응은 모두 0.1 % 미만으로 드물게 발현되었으며 이 약과의 관련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 피부변색, 균열
 3) 이전에 보고된 적이 없는 다른 이상반응이 나타난 경우
 4) 때때로, 처음 사용시에 이 약의 알코올성 성분에 의해 약간 뜨거운 느낌과 피부의 건조증이 나타날 수 있으나 보통 치료를 중단할 정도의 것은 아니다(분무제에 한함.).

5. 기타 이 약의 사용시 주의할 사항
 1) 주성분의 농도와 투여방법(경로)을 고려할 때 약물중독이 일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나, 우발적으로 복용한 경우에는 적절한 처치를 하여야 한다.
 2)칸디다증의 경우, 산성(칸디다균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pH) 비누를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6. 저장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의약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