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검색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사용자GNB바

의약품검색

약학정보원

컨텐츠

의약품 상세정보

  • 의약품검색
  • 상호작용

약물 상호작용

다른 약물
성분 / 함량

상호작용 ( 총 3 건 )

성분 1 성분 2 내용
EstriolRifabutin
  • Estrogens/Rifamycin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에스트로겐 제제의 효과가 감소하여 월경주기 변화, 파괴성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 기전 : 리파마이신계 약물은 간에서 에스트로겐 제제의 약물대사효소를 유도한다. 대사는 생체실험(in vivo)과 시험관내(in vitro)에서 4배 증가하였으며, AUC와 반감기는 감소하였다. 리팜피신과 호르몬성 피임제의 병용투여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성분의 간 대사가 증가되며, 또한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ex hormone binding globulin)의 용량(capacity)이 증가하여 유리 호르몬(free hormone)의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여성에게 호르몬 피임제의 실패 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하며, 에스트로겐 제제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필요시 에스트로겐 피임법 대신 대안의 피임법을 고려해야 한다.
EstriolRifampicin
  • Estrogens/Rifamycin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에스트로겐 제제의 효과가 감소하여 월경주기 변화, 파괴성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 기전 : 리파마이신계 약물은 간에서 에스트로겐 제제의 약물대사효소를 유도한다. 대사는 생체실험(in vivo)과 시험관내(in vitro)에서 4배 증가하였으며, AUC와 반감기는 감소하였다. 리팜피신과 호르몬성 피임제의 병용투여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성분의 간 대사가 증가되며, 또한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ex hormone binding globulin)의 용량(capacity)이 증가하여 유리 호르몬(free hormone)의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여성에게 호르몬 피임제의 실패 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하며, 에스트로겐 제제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필요시 에스트로겐 피임법 대신 대안의 피임법을 고려해야 한다.
EstriolRifapentine
  • Estrogens/Rifamycins
  • 임상효과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 에스트로겐 제제의 효과가 감소하여 월경주기 변화, 파괴성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 기전 : 리파마이신계 약물은 간에서 에스트로겐 제제의 약물대사효소를 유도한다. 대사는 생체실험(in vivo)과 시험관내(in vitro)에서 4배 증가하였으며, AUC와 반감기는 감소하였다. 리팜피신과 호르몬성 피임제의 병용투여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성분의 간 대사가 증가되며, 또한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ex hormone binding globulin)의 용량(capacity)이 증가하여 유리 호르몬(free hormone)의 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 처치 : 두 약물의 병용투여시에는 여성에게 호르몬 피임제의 실패 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하며, 에스트로겐 제제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필요시 에스트로겐 피임법 대신 대안의 피임법을 고려해야 한다.